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2 수요일
흐림
서울 8˚C
맑음
부산 13˚C
흐림
대구 16˚C
비
인천 8˚C
흐림
광주 10˚C
비
대전 9˚C
맑음
울산 10˚C
흐림
강릉 9˚C
구름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외환당국'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외환보유액 '마지노선' 붕괴…4년 9개월 만 최저
[이코노믹데일리] 한국은행이 사수해온 외환보유액 4100억 달러가 무너졌다. 전체 외환보유액 규모가 지난 2020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외환보유액은 4092억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18억 달러 줄었다. 전체 외환보유액 규모도 지난 2020년 5월(4073억 달러)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외환보유액은 작년 말 12억 달러 증가한 4156억 달러를 기록하다 올해 1월 4110억 달러로 46억 달러 떨어졌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해 12월 기자설명회에서 "외환보유액이 4100억 달러 밑으로 내려가는 정도는 아니다"라고 해명했지만 두 달 만에 마지노선을 하회했다. 한은 관계자는 "미국 달러 약세로 인한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증가 등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규모 확대 등으로 외환보유액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외환당국은 앞서 12·3 비상계엄 이후 환율이 급등하자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한도를 500억 달러에서 650억 달러로 확대했다. 외환스와프는 당국이 외환보유에서 달러를 공급하고 국민연금이 이를 활용해 해외자산을 사들인 후 차후에 달러로 갚는 방식으로, 외환보유액이 줄어들게 된다. 다만 지난달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인덱스는 약 0.5% 떨어지면서 환율 안정을 위한 시장 개입 수요는 크지 않았다. 특히 외환보유액 중 국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3573억8000만 달러로 46억4000만 달러 감소하며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예치금은 280억1000만 달러,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특별인출권(SDR)은 148억4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각각 27억1000만 달러, 1억3000만 달러 늘었다. 금(매입 당시 가격 기준)은 47억9000만 달러였다. 한은은 지난 2013년 20톤(t) 금을 추가 매입한 후 현재까지 104.4t 규모를 유지 중이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지난 1월 기준 세계 9위에 머물렀다. 주요국의 외환보유액은 △중국 3조2090억 달러 △일본 1조2406억 달러 △스위스 9173억 달러 △인도 6306억 달러 △러시아 6208억 달러 △대만 5776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 4343억 달러 △홍콩 4215억 달러 △독일 4003억 달러로 집계됐다.
2025-03-07 10:21:00
커지는 환율 1500원 공포…코스피·코스닥 4일 만에 반등
[이코노믹데일리]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원/달러 환율이 급격히 등락하고 있다. 1500원대까지 오를 것이라는 불안감도 커지는 상황에서 전문가는 당분간 1400선을 유지할 것이라 전망한다. 다만 코스피와 코스닥은 지난 3일 비상계엄 이후 4거래일 만에 상승하며 불확실성을 낮췄다. 10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 전일 대비 10.1원 떨어진 1426.9원이었다. 이날 환율은 6.1원 전일보다 6.1원 떨어진 1430.9원에 개장했다. 장 시작가 기준으로 지난 2022년 10월(1444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중 1438.3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윤 대통령의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후 주간 종가 기준 환율은 △3일 1402.9원 △4일 1410.1원 △5일 1415.1원 △6일 1419.2원 △9일 1437.0원 △10일 1426.9원 흐름을 보였다. 일주일간 1.71% 상승했다. 외환당국은 이날 재차 급격한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오전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에서 "과도한 시장 변동성에 대해서는 시장심리 반전을 거둘 수 있을 만큼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전날 10조원 규모의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 증권금융 외환유동성 공급 등 시장안정 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것이라 공언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환율이 장기화될 경우 금융사 영업 측면에서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증안펀드 등이 얼마나 효과가 나타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예측했다. 전문가는 당분간 1400원대 환율이 지속될 것이라 보며 정치적 이슈가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윤 대통령 탄핵 거론으로 인해 당분간 국내 정치적 혼란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환율은 1400원대에서 등락을 이어갈 전망이지만 정치적 이슈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과거 2004년과 2016년 사례를 볼 때 탄핵 이슈로 인한 환율 상승은 단기에 그쳤다"며 "취약한 국내 경기 펀더멘털, 도널드 트럼프 집권 2기의 무역 갈등 심화 등을 감안할 때 미 달러의 추세적 약세 전환 전까지 환율은 1400원대에서 쉽사리 내려오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금융 위기 당시와 같이 경제가 0%대 성장의 심각한 위기를 반영하지 않는 이상 1500원대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나 1%대 성장을 고려해 볼 때 1400원대에서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은 지난 3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4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코스피는 전일 대비 57.26p(2.43%) 증가한 2417.84에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닥도 전장보다 34.58p(5.52%) 급등한 661.59에 거래를 마쳤다. 기관이 유가증권시장에서 4596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는 각각 1490억원, 4220억원 매도했다. 개인은 3거래일 연속 매도 우위를 보였다.
2024-12-10 19:36:4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6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7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8
'완전 자본잠식' 발란, 정산 지연에 기업회생 의혹까지 '첩첩산중'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