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22 금요일
맑음
서울 26˚C
맑음
부산 26˚C
맑음
대구 27˚C
흐림
인천 27˚C
맑음
광주 26˚C
흐림
대전 27˚C
흐림
울산 26˚C
흐림
강릉 26˚C
맑음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우크라니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美 증시, 대형 이벤트 앞두고 주춤…랠리 피로감 뚜렷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백악관 우크라이나 평화 협정 논의와 월마트·타깃 등 주요 소매업체 실적 발표, 잭슨홀 심포지엄 등 굵직한 이벤트를 앞두고 관망세를 보였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S&P500 지수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결국 0.01% 하락하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다우지수는 0.08% 떨어졌고, 나스닥100 지수는 0.01% 오르는 데 그쳤다. 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만 0.35% 상승했다. 시장은 백악관 회담에 주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럽 정상들과 만나 러시아를 포함한 3자 회담 추진 의사를 내비쳤다. 하지만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었다. 개별 종목에선 블룸버그가 트럼프 행정부의 인텔 지분 약 10% 인수 검토를 보도하면서 인텔 주가가 약세를 보였다. 반면 인수설이 불거진 데이포스는 26% 급등했다. 태양광 업종인 선런과 퍼스트솔라도 미 재무부 세제 혜택 완화 기대감에 각각 11%, 9% 이상 뛰었다. 채권시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였다. 10년물 국채금리는 2bp 올라 4.34%를 기록했다. 달러 인덱스는 98선으로 올라섰고, 금 가격은 소폭 하락했다. 월가 전문가들은 증시 랠리의 피로감을 경고했다. 웰스파고의 스콧 렌은 "이번 주 소매업체 실적은 관세 부담과 인플레이션, 경기 둔화 우려를 드러낼 것"이라며 "최근 증시 랠리가 멈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밀러 타박의 맷 메일리는 "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하는 무책임하다. 이는 거품을 키우고 결국 더 큰 위기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오는 금요일 예정된 파월 연준 의장의 잭슨홀 연설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그마저도 실망으로 귀결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의 조 칼리쉬는 "파월은 정책적 여지를 남기려 할 것이기에 투자자들은 발언에서 기대만큼 얻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5-08-19 08:05:15
러, 우크라이나 공습 지속…하르키우서 1명 부상
[이코노믹데일리] 우크라이나를 겨냥한 러시아군의 공습이 이어지고 있다고 dpa통신 등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수 차례의 공격이 보고된 동북부 도시 하르키우에서는 밤새 여러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며 46세 여성 1명이 부상을 입었다. 동남부 자포리자 지역도 전투용 드론의 공격을 받아 민간 기업과 농장, 창고가 손상됐으며 아직 부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남부 도시 미콜라이우에서도 드론 공격과 폭발이 보고됐다. 타스통신은 이날 새벽 우크라이나의 즈히토미르, 키로보그라드, 니콜라이에우, 츠헤르니고우 등 4개 지역에서 공습경보가 울렸다고 전하며 키이우, 수미, 하르키우 등지에서도 공습경보가 발령됐다고 덧붙였다. 러시아군은 지난 3일 밤∼4일 새벽에도 총 550대의 드론, 미사일을 동원해 전쟁 발발 이후 최대 규모의 공습을 감행하고 있다. 이에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영상 메시지에서 미국 방산 기업, 유럽 우방국과 드론 생산 확대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주요 기업 중 하나와 드론 생산을 큰 폭으로 늘리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며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가 올해 수십만 대를 추가로 확보하고 내년에는 훨씬 더 많은 양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덴마크 등 주요 파트너 국가와 드론 등 무기 공동 생산 협정을 체결했다고 덧붙였다.
2025-07-06 17:54:5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대통령 지시에도…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는 법적 근거 없다
2
이재명 대통령 "산재 사망사고 직보"…건설사 옥죄는 정부, 구조 개선은 뒷전
3
AI가 키운 전력 수요…해법은 '에너지 고속도로'
4
"미국선 웃고 중국선 울었다"...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희비'
5
스페이스X 스타링크, 장비 인증 통과…'우주 인터넷' 드디어 한국 온다.
6
[김지영의 전대미문]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7
은행권, 핀테크·유통업권과 '경쟁→협업'…플랫폼 동맹 가속
8
5대 생보사 상반기 희비…삼성·신한 웃고, 한화·교보·NH농협 울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위고비, 치료제지 미용이 아니다...의료계 주객전도 되지 말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