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9 토요일
비
서울 16˚C
흐림
부산 16˚C
구름
대구 17˚C
비
인천 14˚C
흐림
광주 19˚C
흐림
대전 19˚C
흐림
울산 19˚C
흐림
강릉 15˚C
안개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일양약품'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건강기능식품, 약국 밖으로…다이소에 이어 편의점까지 진출되나
[이코노믹데일리] 제약사들이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시장 확대를 위해 다이소·편의점 등 다양한 유통채널로 진출했거나 계획을 밝히고 있다. 이는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연령층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대한약사회는 약국 중심의 유통 질서를 흔든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일양약품, 대웅제약, 종근당건강이 약국뿐만 아니라 다이소에도 건기식을 입점시키며 새로운 유통망을 개척했다. 특히 다이소에서 판매된 제품은 한 달분 용량에 3000~5000원대의 저렴한 가격으로 책정돼 전연령 소비자층 공략에 나섰다. 기존 약국에서 판매되는 건기식 제품과 비교했을 때 가격 경쟁력과 소비자 접근성을 높혀 다양한 타겟층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제약사들은 건기식이 의약품이 아닌 만큼 다양한 유통망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과거 건강기능식품이 주로 약국을 통해 유통됐지만 최근에는 온라인 쇼핑몰, 대형마트, 홈쇼핑, 편의점 등 다양한 채널로 판매가 확산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제약사들도 유통 채널 다변화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대한약사회는 다이소에서 판매되는 저가 건기식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며 반발했다. 대한약사회는 지난달 말 다이소에 입점한 제약사 3곳과 면담을 진행한 뒤 입장문을 통해 "제약사가 수십년간 건강기능식품을 약국에 유통하면서 쌓아온 신뢰를 악용해 약국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용품점에 공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시정을 촉구했다. 이러한 압박 속에서 일양약품은 지난달 28일 다이소 전용 저가 건기식 판매를 출시 닷새만에 철수를 결정했다. 반면 대웅제약과 종근당건강 측은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면서 현재까지 철수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대해 대한약사회 관계자는 “제약사가 오랫동안 약국과 상생해왔음에도 다이소에 저렴한 건기식을 판매해 약국이 폭리를 취하는 듯한 인식을 조성하는 것에 반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약사들은 다이소에 이어 편의점으로도 건기식 입점을 추진하고 있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이 건기식 판매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현재 여러 제약사들로부터 납품 가능한 상품 리스트를 받아 편의점 판매 적합성을 논의 중”이라며 “만약 입점이 결정된다면 편의점 특성에 맞게 적정한 가격으로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약업계는 편의점은 24시간 운영되고 접근성이 높아 소비자들이 쉽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편의점 입점 시 건기식 판매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2025-03-06 21:55:12
국산 신약 개발 감소…제약업계 미래는
[이코노믹데일리] 1999년 1호 신약 출시 이후 2024년까지 국산 신약은 다양한 질병을 겨냥한 혁신 치료제를 내놓으면서 큰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허가되는 신약 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올해 허가 받은 국산 신약은 한 개에 그치면서 업계의 시장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에서 조사한 국내 신약개발 현황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24년까지 총 37개 의약품이 허가를 받았다. 그 가운데 대웅제약과 동아에스티가 각각 3개 품목으로 가장 많은 허가를 받았다. 허가 제품은 ▲대웅제약의 △이지에프외용액 △펙수클루정 △엔블로정과 ▲동아에스티의 △시벡스트로정 △시벡스트로주 △슈가논정이다. 2개 품목을 허가 받은 기업은 ▲SK케미칼 ▲동화약품(구 동화약품공업) ▲JW중외제약 ▲LG생명과학 ▲종근당 ▲유한양행 ▲일양약품 ▲한미약품 등 8개 기업이다. 1개 품목을 허가 받은 기업은 ▲동아제약 ▲부광약품 ▲대원제약 ▲보령제약 ▲신풍제약 ▲카엘젬백스 ▲크리스탈지노믹스 ▲일동제약 ▲퓨처켐 ▲CJ헬스케어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온코닉테라퓨틱스 ▲구주제약 ▲CJ제일제당 등 15개 기업이다. 국내 첫 신약은 1999년 7월 15일 허가된 SK케미칼의 위암 항암제 ‘선플라주’이며,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여년의 개발 기간을 거쳐 탄생했다. 선플라주는 위암을 적응증으로 하는 제3세대 백금 착제 항암제다. 제품명은 태양(SUN)과 백금(platinum)의 앞 글자를 따온 것으로 암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을 준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름처럼 선플라주는 DNA 복제를 저해해 암세포의 증식과 성장을 억제하며 기존 백금 착제 항암제보다 효과는 높고 부작용은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23년 1월 1일 기준 허가를 취소해 현재는 판매되지 않고 있다. 국내 신약 현황 목록에 보면 2015년은 국내 신약개발에서 가장 많은 신약이 허가된 해로 총 5개의 신약이 승인받았다. 약 25년 기간 동안 최고 기록이다. 허가받은 신약은 △크리스탈지노믹스의 골관절염치료제 ‘아셀렉스캡슐’ △동화약품의 퀴놀론계 항생제 ‘자보란테정’ △동아에스티의 항균제 ‘시벡스트로정’ △동아에스티의 항균제 ‘시벡스트로주’ △동아에스티의 경구용 혈당 강하제 ‘슈가논정’이다. 반면 올해 허가된 국내 신약은 온코닉테라퓨틱스의 ‘자큐보정’ 뿐이다. 마지막 국산 신약 허가일과 1년 5개월 차이가 나며 제품 수도 평균 1.5개에 미치지 못한다. 갈수록 국산 신약의 수가 줄어들고 다음 제품의 출시일이 길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약해지는 국산 신약 시장에 대해 “첫 신약 출시 후 25년간 개발될 수 있는 만성질환 치료제가 대부분 만들어진 것 같다”며 “더 이상 개발될 분야가 없어 개발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내의 낮은 약가로는 신약이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기 어렵고 국내 가격이 해외 진출 시에도 영향을 미쳐 종종 해외에서 먼저 출시되는 경우가 있다”며 “국산 제약사 신약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가 필요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2024-11-07 06: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넥슨, '마비노기' 패브릭 브랜드 '키티버니포니' 굿즈에 담아 현실로
2
예측불허 관세 정책에도 웃는 LG엔솔·SK온과 적신호 켜진 삼성SDI
3
은마 재건축 본궤도…49층·5962가구 '역세권 인센티브' 적용
4
[단독] 3년 연속 적자에도 이사 보수 한도 7천억원…쓰리빌리언 '보수 잔치' 논란
5
EU의 주요 ESG 규제 간소화 위한 입법안 통과
6
삼성전자 반려로봇 '볼리' 출시 임박…소비자 수요 많을까
7
동원F&B, 상폐 후 동원산업 완전 자회사로…'글로벌 식품 사업군' 출범
8
[속보]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구역서 지반 침하…당국 현장 통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사람보다 AI가 낫다?"…개발자 넘어 전 직군 위협, 인력시장 구조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