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30 수요일
흐림
서울 35˚C
구름
부산 32˚C
흐림
대구 37˚C
흐림
인천 32˚C
흐림
광주 33˚C
흐림
대전 35˚C
흐림
울산 31˚C
흐림
강릉 31˚C
비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자가시설 인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Made in USA 체계 구축완료...美 관세 대응 '준비 완료'"
[이코노믹데일리] “셀트리온은 미국 내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 10월 초까지 본계약을 완료하고 연내 인수를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29일 오전에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미국 의약품 관세 대응을 위한 셀트리온의 중장기 전략 이행 현황과 하반기 주요 사업 계획이 발표됐다. 서 회장은 이번 미국 위탁생산(CMO) 공장 인수를 통해 미국 내에서 직접 제품을 생산하는 ‘Made in USA’ 체계를 구축해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겠다는 방침을 내보였다. 입찰이 진행 중인 인수 공장은 이미 항암제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생산 중인 미국 내 대형 제약공장이다. 비밀유지협약으로 구체적 기업명은 공개할 수 없지만 생산 안정성은 물론 확장 부지까지 모두 갖춘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계약 상 기존 제품 공급 의무도 있어 셀트리온은 초기부터 손실 없이 운영할 수 있다. 인수 및 초기 운영에 투입되는 자금은 약 7000억원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관세 적용 범위에 따라 3000~7000억원이 추가 투자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서 회장은 “자가시설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신규 공장 건설보다 기존 공장 인수가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라 판단했다”며 “미국 시설을 직접 운영할 시 의약품 원가는 기존 CMO 원가보다는 낮아질 것”이라며 답했다. 현재 셀트리온은 미국 내 CMO 업체들과 계약을 체결해 제품을 공급받고 있는데 이번 자가시설 인수 이후 병행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생산시설 인수 외에도 일부 국내 인력 파견도 병행될 예정이며 해당 공장에서는 셀트리온의 의약품 생산도 추진된다. 서 회장은 “이번 공장 인수를 포함한 신사업 추진으로 미국 의약품 관세 대응을 완료했다”며 “미국 정부 방침에 맞춰 모든 준비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오너가 존재하는 한국 기업들은 유럽이나 일본보다 빠르게 관세 대응 전략을 실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서 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올해 셀트리온의 매출을 기존 5조원으로 설정했으나 4조5000억~4조6000억원으로 영업이익은 1조5000억원 수준으로 조정했다.
2025-07-29 14:28:1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내 최대'가 '국내 최다 하자'로… 흔들리는 현대건설의 신뢰
2
SKT 해킹 피해, 내 정보는...오늘부터 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
3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최종 선발전, 네이버·LG·SKT 등 10개팀, 기술·세력 과시 총력전
4
美 통상압력에 볼모가 된 '온플법'…빅테크 규제 공약, 모두 '올스톱'
5
국가인공지능위원회 2기 내달 출범...민간 전문가 중심 'AI 컨트롤타워'로
6
[시승기] 앙증맞은 외모에 강인한 성능...미니 쿠퍼, 소형 전기차 시장 주도한다
7
크래프톤, '인수 대박'이 '3447억 소송 대란'으로… M&A 후폭풍 맞나
8
한미 관세 협상, D-4…'시계 제로' 韓 제조업 초비상 '25% 관세 장벽'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