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22건
-
"역시 세나"…'세븐나이츠 리버스', 5일 만에 구글·애플 1위…기념 보상 쏜다
[이코노믹데일리] 넷마블의 신작 수집형 RPG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출시 초반 거센 흥행 돌풍을 일으키며 국내 양대 앱마켓 매출 1위를 석권했다. 넷마블은 지난 15일 출시된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7시간 만에 애플 앱스토어 매출 1위를 달성한 데 이어 출시 5일 만인 19일 구글플레이에서도 매출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넷마블은 양대마켓 매출 1위 달성을 기념해 특별 보상을 지급한다. 오는 26일 오전 9시까지 게임에 접속하는 모든 이용자는 우편함을 통해 영웅 소환 이용권 10개, 픽업 소환 이용권 10개, 골드 100만, 열쇠 100개 등 풍성한 아이템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넷마블은 '세븐나이츠 리버스' 공식 유튜브 채널에 웹 예능 ‘세나 3대의 보상’을 공개했다. 이번 웹 예능에는 김정기 총괄 PD를 포함한 게임 개발진이 등장해 운동 유튜버 ‘말왕’, 인플루언서 ‘박민정’과 함께 스쿼트, 벤치 프레스, 데드리프트 등 3대 운동 기록을 측정하고 단계별 보상을 지급하는 내용을 담았다. 미션 완료 보상으로 사황 에이스, 100만 골드, 열쇠 상자 10개 등이 지급되며 게임에 접속만 하면 누구나 수령 가능하다. 현재 넷마블은 '세븐나이츠 리버스' 정식 출시를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접속만 해도 영웅 소환 이용권 최대 20개를 제공하는 ‘웰컴 출석 이벤트’와 10일마다 전설 영웅, 30일마다 스페셜 영웅을 획득할 수 있는 ‘매일 출석 이벤트’가 열리고 있다. 또한 오는 29일까지 제이브, 레이첼, 바네사 영웅 픽업 소환 이벤트와 영웅 소환 지원 이벤트도 진행된다. 이 외에도 모험 클리어, 결투장 플레이 등 미션 달성을 통해 보상을 얻는 ‘포인트 미션 이벤트’와 ‘레이드 돌파 이벤트’도 함께 운영된다.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원작 '세븐나이츠'의 리메이크 프로젝트로 스토리 및 전투 시스템 등 주요 게임 요소를 계승하고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한층 향상된 재미를 선사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가수 비비가 공식 모델로 선정돼 ‘더 뉴 세븐나이츠 송’을 공개하는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2025-05-19 17:02:17
-
-
-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비비 인터뷰 영상 공개로 기대감 고조
[이코노믹데일리] 넷마블이 오는 5월 15일 출시 예정인 수집형 RPG ‘세븐나이츠 리버스’의 광고 모델 비비(BIBI)의 인터뷰 영상을 공개하며 출시 전 화제성을 높이고 있다. 공개된 영상은 비비가 ‘세븐나이츠 리버스’와의 협업 소감, 뉴 세븐나이츠 송의 매력, 촬영 비하인드를 전하며 팬들의 관심을 끌었다. 비비는 “뉴 세븐나이츠 송은 반복되는 멜로디가 포인트”라며 “가사에 맞춰 분위기가 바뀌는 반전 매력에 주목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전략적 모험편 영상에서는 영웅들의 강인한 감정을 눈빛으로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고 밝혔다. 영상은 청량하고 몽환적인 분위기와 강렬한 콘셉트로 스타일링된 비비의 다채로운 모습을 담아냈다. 해당 영상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2014년 출시돼 글로벌 70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한 ‘세븐나이츠’의 리메이크작이다. 원작의 스토리와 턴제 전투 시스템을 계승하면서 최신 트렌드에 맞춘 그래픽과 시스템 개선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전략적 플레이를 강화하고 출석만으로 영웅을 획득할 수 있는 등 이용자 부담을 줄인 점이 특징이다. 현재 사전등록이 진행 중이며 공식 브랜드사이트, 앱마켓, 네이버 라운지에서 참여 가능하다. 사전등록자 전원에게는 전설 등급 캐릭터 ‘레이첼’, 영웅 소환 이용권 10장, 100만 골드, 10만9000원 상당의 ‘5성 크로아 팩’이 제공된다. 추가로 사전등록 인증 이벤트를 통해 연희 쿠션, 구글 기프트 카드 등 경품도 증정한다. 넷마블은 출시 후 2주 간격으로 콘텐츠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7월에는 ‘세나의 달’ 대규모 이벤트를 예고했다.
2025-05-12 17:33:00
-
-
-
-
-
-
-
스마일게이트, 'NKS' 3강 굳히기… 크로스파이어 건재 속 로스트아크 주춤 '과제'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게임 산업계에 'NKS'(넥슨·크래프톤·스마일게이트)라는 새로운 강자 구도가 뚜렷해지고 있다. 스마일게이트 그룹의 지주사인 스마일게이트홀딩스가 지난해 견조한 실적을 기록하며 업계 3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 간판 게임 '크로스파이어'의 꾸준한 활약이 성장을 견인했지만 또 다른 핵심 축인 '로스트아크'의 실적 감소는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스마일게이트홀딩스가 지난 14일 공시한 2023년 연결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해 매출 1조5222억원, 영업이익 5146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0.2%, 4.9%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스마일게이트는 국내 게임사 중 영업이익 기준으로 넥슨(1조1157억원), 크래프톤(1조1825억원)에 이어 세 번째 자리를 차지하며 'NKS' 시대를 본격화했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넥슨(4조91억원), 크래프톤(2조7098억원), 넷마블(2조6638억원)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4735억원으로 전년 대비 4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전체 매출에서 게임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97.5%에 달했으며 나머지는 용역, 금융, 로열티 등 기타 매출로 구성됐다. 스마일게이트홀딩스의 2023년 경영 성과는 매출·영업이익·순이익 등 구체적인 수치와 증감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주요 경쟁사인 넥슨, 크래프톤, 넷마블과 비교하면 스마일게이트는 영업이익 3위, 매출 4위를 기록해 ‘NKS’ 구도의 한 축임을 입증했다. 이러한 호실적의 중심에는 '크로스파이어'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핵심 자회사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가 있다.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는 지난해 매출 718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7.6% 성장했다. 이는 그룹 전체 매출의 47.2%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영업이익 역시 4051억원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3477억원으로 집계됐다. 2007년 출시된 '크로스파이어'는 2008년 중국 시장 진출 후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2015년에는 전 세계 1인칭 슈팅(FPS) 게임 동시 접속자 수 1위를 기록하는 등 스마일게이트를 대표 게임사 반열에 올려놓은 일등공신이다. 특히 중국과 동남아시아 시장에서의 꾸준한 인기가 실적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룹 전체의 긍정적인 실적을 이끈 핵심 요인을 분석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의 실적(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및 그룹 내 비중)을 상세히 설명하고 그 배경에 '크로스파이어'의 장기 흥행 특히 중국 및 동남아 시장에서의 건재함이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스마일게이트의 현재 경쟁력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반면 그룹의 또 다른 주요 성장 동력인 '로스트아크' 개발사 스마일게이트RPG의 실적은 다소 주춤했다. 스마일게이트RPG는 지난해 매출 4758억원, 영업이익 2233억원을 기록했다. 2000억원이 넘는 견조한 영업이익 규모를 유지했으나 전년 대비로는 각각 9.1%, 17.0% 감소한 수치다. 순이익은 302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로스트아크' IP의 라이프사이클 관리와 함께 새로운 성장 모멘텀 확보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처럼 스마일게이트RPG의 실적은 그룹 전체의 성장세 속에서도 일부 사업 부문에서는 과제가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앞서 설명한 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의 실적과 비교하면 그룹 내 부문별 실적이 명확히 대비되는 것을 알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스마일게이트는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와 사업 효율화에 나서고 있다. 최근 한국, 대만, 홍콩, 마카오에 동시 출시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로드나인'은 실적 개선에 기여할 새로운 카드로 분석된다. 자동 전투 기반의 편의성과 경쟁 요소를 갖춘 이 게임은 출시 초기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얻고 있다. 모바일 시장 조사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로드나인'은 출시 후 40일간 약 3000만 달러(약 425억원) 수준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그룹 내 벤처캐피털(VC) 역할을 하는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매출 194억원, 당기순이익 45억원을 기록하며 투자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동시에 스마일게이트홀딩스는 비주력 사업 정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19년 투자했던 에듀테크 기업 아키핀의 보유 지분(34.8%) 전량을 매각했으며 독일 법인(Smilegate Games GmbH)과 스페인 바르셀로나 법인(Smilegate Barcelona S,L.)을 청산하며 해외 거점 운영 효율화에도 나섰다. 이 같은 움직임은 스마일게이트가 현재의 실적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 성장을 위한 전략적 준비에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로스트아크’의 실적 감소를 상쇄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신작 ‘로드나인’을 출시했으며 출시 초기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더불어 투자 전문 자회사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의 실적과 비핵심 자산 매각, 해외 법인 청산 등은 그룹 차원의 사업 구조 재편과 선택과 집중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스마일게이트는 '크로스파이어'라는 강력한 캐시카우를 기반으로 'NKS' 3강 체제를 확립했지만 '로스트아크'의 성장세 둔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로드나인'과 같은 신규 IP 발굴과 함께 비주력 사업 정리를 통한 핵심 역량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향후 스마일게이트가 '크로스파이어'의 안정적인 성과를 유지하면서 '로스트아크'의 반등을 이끌어내고 '로드나인' 등 신작을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갈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25-04-17 06:00:0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