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7건
-
-
국내외 '투톱체제' 전환 KGC인삼공사, '연매출 2조원' 특명 이룰까
[이코노믹데일리] KGC인삼공사가 국내외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하고 전문성을 극대화하는 가운데 올해 연매출 2조원을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난 2023년 초 인삼공사는 오는 2027년까지 연매출 2조원 달성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국내에서는 신소재 개발과 홍삼을 활용한 외연 확장에 집중하고, 해외에서는 정관장을 필두로 현지 유통채널을 공략한 ‘K-홍삼’ 키우기에 주력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KGC인삼공사는 전날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국내 사업 총괄에 임왕섭 대표를, 해외 사업 총괄에 안빈 대표를 선임했다. 임 대표는 KT&G에서 전자담배 ‘릴’의 브랜딩을 이끈 브랜드·마케팅 전문가다. 안 대표는 국가별 맞춤형 제품 개발과 채널 확장으로 지난해 해외사업의 매출 비중을 증가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KGC인삼공사는 각자대표 체제로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정관장 브랜드 자산 강화와 마케팅 경쟁력 제고,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수익성 증대에 집중한다. KGC인삼공사는 국내 건기식 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지만, 비타민, 프로바이오틱스, 아르기닌 등 소비가 늘며 매년 판매가 줄고 있다. 이는 KGC인삼공사가 해외 사업을 분리해 강화하려는 목적과도 맞닿아 있다. 지난 2019년 4조8936억원이었던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23년 6조2022억원으로 늘어났지만 같은 기간 홍삼 구매액은 1조5939억원에서 1조1675억원으로 약 27% 줄었다. KGC인삼공사의 매출 90%가 홍삼에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KGC인삼공사 매출은 전년 대비 6.6% 감소한 1조301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7.7% 감소한 964억원을 기록했다. 경기침체에 따른 국내 건강·기능식 시장 역성장 여파로 매출이 감소했고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단 해외 매출은 3370억원에서 3765억원으로 늘었다.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4.2%에서 28.9%로 신장했다. 중국 시장의 고성장이 해외 매출 확대를 이끌고 있으며 지난해 중국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32.3% 증가한 2424억 원을 기록하며 뚜렷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KGC인삼공사는 국내 시장에서 온라인·면세 매출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지난해 전체 판매 채널 중 성장세를 보인 채널은 면세·E-비즈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우선 KGC인삼공사는 온라인 시장에서는 전용 제품을 확대해 판매 채널에 나서며 기존 14% 수준이었던 온라인 매출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젊은 층에 인기 있는 ‘활기력’, ‘에브리타임’을 중심으로 온라인 전용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또 정관장은 지난해 10월 혈당 케어 전문 브랜드 ‘지엘프로’를 론칭하는 등 혈당 관리 시장에도 본격 진출했다. 면세 채널에서는 가성비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젊은 소비자층을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기존의 고가 홍삼 제품이 아닌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품을 확대해 수요를 끌어올린다. KGC인삼공사는 정관장 제품을 전 세계 4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현지 맞춤형 제품 개발과 함께 코스트코, 아마존 등 해외 대형 온·오프라인 유통망 확대에 나섰다. 국내 건기식 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의 프리미엄 마켓 체인 ‘스프라우츠’는 물론 일본 최대 드럭스토어 체인 ‘웰시아’, 말레이시아 최대 H&B 스토어 ‘왓슨스’와 잇달아 입점 계약으로 수출 영토를 넓혔다. 특히 중국은 해외진출 거점으로 삼고 현지에서 제품 개발부터 판매까지 진행하고 있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오는 2027년까지 연매출 2조원 달성을 목표로 국내외에서 홍삼과 건강기능식품의 판로 확대와 브랜드 영향력 강화를 위해 적극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2025-03-13 18:09:03
-
-
카카오톡 선물하기·카카오쇼핑라이브, 화이트데이 맞아 '달콤한' 혜택 쏟아진다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의 대표 서비스 카카오톡 선물하기와 카카오쇼핑라이브가 화이트데이를 맞아 다채로운 혜택을 담은 대규모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오는 14일까지 ‘두근두근 화이트데이’ 기획전을 열고 받는 사람과 주는 사람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선물들을 엄선하여 선보인다. ‘연인 선물’ 코너에서는 프리미엄 디저트, 헬시 플레저, 스윗 데이트룩 등 다채로운 테마로 선물을 추천하며 행사 기간 동안 카카오페이로 5만원 이상 배송 상품 결제 시 5% 즉시 할인(최대 1만원, 횟수 제한 없음)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고디바, 레더라 등 프리미엄 초콜릿부터 SNS 인기 수건 케이크, 맥, 입생로랑 등 뷰티 제품, 조 말론 런던, 바이레도 등 향수, 정관장, 오쏘몰 등 건강 상품, 마뗑킴, 스탠리 등 트렌디한 패션 아이템까지 폭넓은 상품군을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친구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화이트데이 선물게임’ 이벤트도 진행한다. 퀴즈, 선착순, 랜덤 선물 게임에 참여하면 친구들과 선물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배달의민족 상품권 1만원권을 증정한다. 카카오쇼핑라이브는 ‘카쇼라위크’를 통해 화이트데이 인기 브랜드 68곳의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며 쇼핑의 재미를 더한다. ‘카쇼라위크’ 기간 동안 카카오페이로 100원 이상 결제 시 7% 즉시 할인(결제 건당 최대 3만원 할인, 1인당 3회) 혜택을 제공하여 더욱 합리적인 쇼핑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카쇼라위크’에는 아렌시아, 메이크업포에버, 크리니크, 베네피트, 조 말론 런던, 세인트제임스 등 뷰티, 패션, 쥬얼리, 식품 등 다양한 브랜드가 참여하여 풍성한 혜택을 선보인다. 아렌시아는 방송 중 구매 고객 선착순 500명에게 퓨어 익스트랙트 토너(100ml)를 증정하고 메이크업포에버는 립밤 1+1 행사와 최대 20% 할인 등 각 브랜드별 다채로운 혜택을 마련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화이트데이를 맞아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고자 하는 고객들을 위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풍성한 혜택을 준비했다”며 “카카오톡 선물하기와 카카오쇼핑라이브를 통해 더욱 특별하고 행복한 화이트데이를 보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5-03-10 11:20:59
-
정관장, '2025 NPEW'서 K-Health 위상 높여
[이코노믹데일리] 정관장이 세계 최대 규모의 천연식품 박람회 '2025 NPEW(Natural Products Expo West)'에 참가해 K-Health의 우수성을 널리 알렸다. 정관장은 지난 4일부터 7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열린 '2025 NPEW'에 참가해 'Find Your Energy, Find Your Flow'라는 테마로 부스를 운영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에서 정관장은 '에브리타임', 'GLPro', 'HSW' 등 주력 제품을 선보였다. 또한 정관장 홍삼의 7대 기능성을 알리는 홍보활동을 진행하고, 방문객들에게 정관장 제품으로 만든 논알콜 칵테일을 제공하는 등 이색 이벤트도 마련했다. 특히 정관장은 이번 박람회에서 아마존 입점 예정인 에브리타임 신제품 3종을 최초로 공개했다. 신제품은 '에브리타임 퍼폼A', '에브리타임 파워폼', '에브리타임 칼로트림'으로, 각각 운동 전 혈관확장, 운동 중 지구력과 스태미너 증진, 효과적인 칼로리 소모에 특화됐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이번 NPEW 참가를 통해 정관장에 대한 해외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현지인 맞춤 효능연구와 제품개발에 집중하고 글로벌 유통망 확대를 통해 세계 속의 K-Health 브랜드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KGC인삼공사는 글로벌 톱티어 종합건강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 중이다. 특히 한국 건강기능식품 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의 프리미엄 마켓체인 '스프라우츠'와 일본 최대 드럭스토어 체인 '웰시아' 등에 입점해 해외 고객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2025-03-09 17:09:05
-
정관장 '홍삼원', 글로벌 인기에 연 매출 1000억원 돌파
[이코노믹데일리] 정관장의 건강음료 '홍삼원'이 지난해 단일 브랜드로 연 매출 1032억원을 달성하며 메가 브랜드로 등극했다. 1988년 출시된 홍삼원은 30년 넘게 꾸준히 사랑받아온 정관장의 대표 건강음료 브랜드로, 전 세계 20여 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홍삼원은 다양한 신제품 출시와 글로벌 유통망 확장을 통해 국내 477억원, 해외 555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해외에서 카페인 없는 건강한 에너지 드링크로 인기를 얻으며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홍삼원의 글로벌 성장 비결은 현지 맞춤형 전략에 있다. 중국에서는 '고려삼'으로 불리는 한국 홍삼을 활용한 7종의 제품을 선보이며, 특히 광동성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에는 2018년부터 할랄 인증을 받은 홍삼원을 수출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H&B 스토어에 입점하여 유통망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40대 여성들이 피로 관리를 위해 홍삼 함량이 높은 '홍삼원 플러스'를 많이 구매한다. 미국에서는 30대 남성들이 프리미엄 에너지 음료로 홍삼원을 구매하며, 코스트코 등 대형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홍삼원은 126년 정관장의 노하우를 담은 깊고 진한 홍삼의 풍미에 계피, 대추, 생강, 구기자 등 식물 성분을 엄선해 담은 제품이다. 영지버섯과 녹용을 더한 '홍삼원기(氣)', '홍삼원 골드' 이외에도 제로 칼로리 '홍삼원 딜라이트', '데워먹는 홍삼원'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 KGC인삼공사는 앞으로도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춰 신제품을 선보이고 글로벌 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2025-02-18 14:32: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