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9 화요일
흐림
서울 27˚C
맑음
부산 25˚C
흐림
대구 28˚C
구름
인천 27˚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5˚C
흐림
울산 25˚C
흐림
강릉 27˚C
맑음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제로샷'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두나무, AI 학습시키는 'LAUS' 공개…'개인정보'와 '정교함'을 모두 잡는 기술
[이코노믹데일리]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대표 오경석)가 인공지능(AI) 개인화 추천 기술의 오랜 딜레마를 해결할 혁신적인 방법론을 제시했다.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단 하나도 사용하지 않고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생성한 '가상 사용자'만으로 정교한 추천 시스템을 학습시키는 기술 'LAUS(LLM As User Simulator)'를 개발해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에서 그 성능을 입증했다. 두나무 머신러닝팀은 지난 14일 정보검색 분야 최고 학회 'SIGIR 2025'에서 해당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약 27%의 채택률을 기록할 만큼 엄격한 심사를 거치는 학회에서 메인 콘퍼런스 발표를 따냈다는 것은 기술의 독창성과 완성도를 국제적으로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 기존의 모든 개인화 추천 AI는 '데이터 의존성'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가졌다. 사용자의 클릭 기록, 선호도, 구매 내역 등 실제 행동 데이터를 대규모로 수집해야만 모델이 똑똑해질 수 있었다. 이는 필연적으로 두 가지 문제를 낳았다. 서비스 초기에는 데이터가 없어 추천 품질이 떨어지는 '콜드 스타트(cold-start)' 문제와 갈수록 민감해지는 '개인정보 침해' 우려다. 두나무가 개발한 LAUS는 이 구조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LAUS는 LLM을 활용해 다양한 관심사와 성향을 가진 가상의 사용자 페르소나를 무수히 생성한다. 이 가상 사용자들이 뉴스 기사를 보고 어떤 반응을 보일지(클릭, 무시 등) 시뮬레이션하여 방대한 양의 '가상 상호작용 데이터'를 만든다. AI 추천 모델은 실제 사람의 데이터가 아닌 이 가상 데이터만을 먹고 학습한다. 그 결과는 놀라웠다. LAUS를 통해 학습한 추천 모델은 사전 학습 데이터가 전혀 없는 '제로샷(zero-shot)' 방식보다 월등히 높은 추천 성공률을 보였다. 더 나아가 실제 사용자 데이터로 학습시킨 기존의 고성능 모델과 비교해도 대등한 수준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특히 이 성능은 영어는 물론 노르웨이어 등 다양한 언어권의 뉴스 데이터 벤치마크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 특정 언어나 문화권에 국한되지 않는 범용성까지 입증했다. 이는 AI 개인화 서비스 시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으로 기업들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해야 하는 부담 없이도 서비스 출시 초기부터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맞춤형 추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금융이나 헬스케어처럼 데이터 보안이 극도로 중요한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무궁무진하다. 박충원 두나무 머신러닝팀 연구원은 현장 발표에서 “개인화 뉴스 추천 시스템 품질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정확히 제공하는가와 직결돼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고객 정보 보호와 운영 효율성을 모두 충족하면서 더욱 정교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번 성과는 두나무가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넘어 AI 기초 기술 연구 분야에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역량을 확보한 '테크 기업'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이정표다.
2025-07-17 16:49:45
"엄마 아빠, 사랑해요" AI로 되살아난 순직 소방관 목소리…감동의 음성편지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음성합성(TTS) 기술을 통해 순직 소방관의 목소리를 복원하고 고인의 부모님을 위한 음성 편지를 제작했다고 16일 밝혔다. 소방청은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순직 소방관 부모 17명과 함께 일본 사가현으로 마음치유 여행을 떠났다. 이 여행에는 지난해 1월 경북 문경시 공장 화재 진압 중 순직한 고(故) 김수광 소방장의 부모도 함께했다. 일본으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고인의 목소리로 된 음성 편지가 재생돼 감동을 더했다. LG유플러스는 공공안전종사자와 그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올해 LG유플러스는 자사 AI 기술을 공공안전종사자의 안녕한 삶을 지원하는 데 활용한다는 사회공헌 목표를 세우고 소방청과 다양한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고 김수광 소방장의 목소리를 복원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제로샷(Zero-shot) 기반 최신 TTS 기술을 활용했다. 일반적인 AI 음성 생성 기술은 특정 인물의 목소리를 구현하기 위해 수백에서 수천 문장에 달하는 음성 데이터 학습이 필요하다. 하지만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고도화된 개인화 TTS 기술은 고인의 고유한 발음 억양 음색 말투 등을 한두 문장만으로 분석·학습해 텍스트 입력만으로 목소리와 억양을 재현해냈다. 이명섭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순직 소방관들이 자랑스러운 자식으로 기억되고 이들의 부모님에게도 위로가 될 수 있으면 좋겠다"며 "LG유플러스는 AI 기술로 밝은 세상을 만들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 소방장의 음성 편지가 담긴 영상은 소방청 공식 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AI 기술이 단순한 편의 제공을 넘어 인간적인 감동과 위로를 전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2025-05-16 09: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협력업체·주택공급 '비상'
2
이재명 정부, 'AI 고속도로' 구축 공식화…2030년 세계 3대 AI 강국 목표 제시
3
정부, '건설사 중대재해' 매출 3% 과징금 추진…"안전투자 늘려도 사고 못 막아"
4
이재명 대통령 "산재 사망사고 직보"…건설사 옥죄는 정부, 구조 개선은 뒷전
5
[김지영의 전대미문]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6
스페이스X 스타링크, 장비 인증 통과…'우주 인터넷' 드디어 한국 온다.
7
빌 게이츠, '유퀴즈' 출연 확정…유재석과 만난다
8
"미국선 웃고 중국선 울었다"...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희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개미지옥? 그보다 더한 '기업지옥'...누굴 위한 세제개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