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15 화요일
맑음
서울 25˚C
흐림
부산 25˚C
흐림
대구 25˚C
흐림
인천 24˚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23˚C
흐림
강릉 22˚C
흐림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제롬파월'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美 연준, 금리 '4.25~4.50%' 동결…트럼프 관세전쟁 여파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두 번째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이 주요 변수로 떠오른 탓이다. 19일(현지시각) 연준은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현 수준인 4.25~4.50%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FOMC는 "최근 지표에 따르면 경제 활동은 견고한 속도로 계속 확장해 왔다"며 "실업률은 최근 몇 달 동안 낮은 수준으로 안정화했으며 노동 시장 상황은 여전히 견고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FOMC는 "인플레이션은 다소 상승한 상태"라며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불확실성이라 언급한 것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예고하면서 이에 따른 경기침체와 물가상승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연준이 지난해 9~12월 3차례 기준금리를 1.0% 포인트 내렸던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FOMC에서 지난 1월에 이어 이날까지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했다. 경기침체 우려에도 인플레이션 완화가 지연되고 있고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분기 말 발표하는 경제전망예측(SEP)에서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를 3.9%로 관측하면서 연말까지 0.25%p씩 두번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현재 상승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관세에 대한 반응이라 생각한다"며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조치 없이 빠르게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면 때론 그런 인플레이션을 간과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2.75%)과 금리 차이는 상단 기준 1.75%p가 유지됐다.
2025-03-20 09:01:4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애플 아이폰 17, 9월 공개 전망…초슬림 '에어' 모델 추가, '전면 재설계'
2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오는 8-9월 국내 출시 임박
3
SK매직, 'SK인텔릭스'로 새 출발…"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
4
'AI'로 돌파구 찾는 농협은행…보수적 이미지 탈피할까
5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
6
갤럭시 Z7 예판 돌입, 단통법 폐지 맞물려 통신사 '보조금 대란' 예고
7
갤Z7 사전예약 하려다 '호갱'될라…단통법 폐지 후 '지원금 함정' 피하는 법
8
[콜마家 전쟁, 능력이냐 핏줄이냐] ④ 상법 개정안 통과, 전환점 맞은 오너 경영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