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
LG CNS, 기관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 속 공모가 최상단 확정
[이코노믹데일리] LG CNS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을 앞두고 기관 투자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으며 공모가를 희망 공모가액 최상단인 6만 1900원으로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2022년 1월 LG에너지솔루션 이후 최대 규모의 공모로 시장의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LG CNS에 따르면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기관 2059곳이 참여해 11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참여 기관의 99%가 공모가 밴드 최상단인 6만 1900원 이상을 제시하며 높은 매수 의사를 나타냈다. 수요예측에 모인 자금만 76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신균 LG CNS 대표이사 사장은 “고객의 디지털 전환(DX)을 선도해 온 LG CNS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해주신 국내외 기관 투자자들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번 상장을 통해 기술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글로벌 인공지능 전환(AX) 시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LG CNS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스마트 물류 및 스마트 팩토리 등 DX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AI 컨택센터(CC)와 같은 생성형 AI 솔루션,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MSP), 물류 자동화, 금융 DX 등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LG CNS의 매출은 2019년 3조 2833억원에서 2023년 5조 6053억원으로 70.7%나 증가했으며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7.0% 성장한 3조 9584억원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해외 기업 및 정부를 대상으로 한 매출 창출 능력과 타 IT 서비스 기업에 비해 낮은 그룹 의존도는 LG CNS의 해외 확장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번 코스피 상장을 통해 LG CNS는 공모 주식의 절반인 968만 8595주를 신주로 발행하며 나머지 절반은 2020년 4월 LG로부터 LG CNS 지분을 인수한 맥쿼리PE가 보유한 지분 중 일부를 매각한다. 맥쿼리PE는 이번 구주 매출 외 잔여 지분을 상장 후 6개월까지 보유할 예정이다. 맥쿼리PE가 2020년 LG CNS 지분을 인수할 당시 기업 가치는 2조 8600억원으로 평가받았으나 이번 공모가 기준으로는 6조 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크게 성장했다. LG CNS는 이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AI, 클라우드, 스마트 엔지니어링 등 관련 분야의 인수합병(M&A)과 기존 채무 상환, 시설 자금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공모가가 밴드 상단으로 확정됨에 따라 M&A 투자 규모는 당초 계획보다 늘어난 3900억원으로 증액될 예정이다. 현 대표는 앞서 진행된 기자 간담회에서 “이번 상장 과정에서 LG CNS는 주가수익비율(PER)을 13~15배 수준으로 맞췄다”며 “동종 업계 기업들의 PER이 22~25배 수준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고려할 때 LG CNS 또한 충분히 그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향후 5년간 LG CNS의 당기순이익이 최소 10% 이상 증가하고 시장의 관심이 높아질 경우 PER 또한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에 따른 것이다. 한편 LG CNS의 상장 대표 주관사는 KB증권,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모건스탠리이며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 신한투자증권, JP모건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하고 NH투자증권과 하나증권은 인수단으로 참여한다.
2025-01-17 18:59:25
-
밸류업 지수, KB·하나·SK텔레콤·KT·현대모비스 추가 편입…43사 중 5곳만
[이코노믹데일리] 한국거래소가 코리아밸류업지수 특별변경을 심의한 결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41개사 중 최종 5 종목(KB·하나·SK텔레콤·KT·현대모비스)만 추가로 편입됐다. 해당 종목은 오는 20일 지수에 포함된다. 16일 한국거래소는 지난 11일 주가지수운영위원회를 개최해 코리아 밸류업 지수 구성종목에 대한 특별변경을 심의했다고 발표했다. 그 결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SK텔레콤, KT, 현대모비스 등 5 종목을 신규 편입했다. 특별변경은 지난 9월 24일부터 이달 6일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51사 중 지수에 편입되지 않은 43개 사를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했다. 이들에 대해서는 정기변경 선정기준인 5단계 스크리닝 방식을 기반으로 심사가 이뤄졌다. 1~3단계(대표성·수익성·주주환원) 기준은 정기변경과 동일하게 심사했으며 4단계에서는 주가수익비율(PER) 상위 50%였던 정기변경 기준을 완화해 75%로 적용했다. 마지막인 자기자본이익률(ROE) 5단계 기준에 따라 최종 편입의 3배수를 선별한 뒤 시가총액 기준 상위 5 종목으로 최종 선정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번 특별변경의 경우 최소 종목만 편입되는 만큼 ROE 외에도 국내 증시 대표성, 밸류업 기업으로서의 상징성, 연계상품 운용관련 상품성 등에 더 큰 가중치를 둘 필요가 있다는 시장 의견이 많았다"며 "연계상품 운용에 불편이 없는 범위 내에서 신규 편입을 최소화해 시행하는 점은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기 변경 선정 기준과 같은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시장 전문가 의견 등을 반영해 시장 대표기업을 중심으로 선정했다"고 덧붙였다. 5 종목은 오는 20일 밸류업 지수에 포함돼 내년 6월까지 편입이 유지된다. 기존 종목에 대한 편출은 없으며, 구성 종목은 일시적으로 기존 100 종목에서 105 종목으로 늘어난다. 내년 6월 정기변경 시 100 종목으로 조정될 계획이다. 내년 6월 정기변경 이전 밸류업 공시기업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특별변경은 없다. 정기변경에서는 밸류업 표창기업에 대해 특례 편입을 실시할 예정이며 편입되지 않은 공시 기업을 위해 공시기업 우대제도를 도입한다. 한편 거래소·한국증권금융·한국예탁결제원·한국금융투자협회·코스콤 등 5개 증권 유관기관은 오는 20일 3000억원(유관기관 1500억원, 민간매칭 1500억원) 규모의 2차 밸류업 펀드를 추가 조성해 약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들은 지난달 4일 2000억원(유관기관 1000억원, 민간매칭 1000억원) 규모의 1차 기업 밸류업 펀드를 조성했고 지난주 1000억원의 투자 집행을 완료했다. 기업 밸류업 펀드는 밸류업 기업에 대한 투자 문화 확산, 중장기적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증권 유관기관이 주축이 돼 마련한 펀드다. 밸류업 지수 상장지수펀드(ETF)와 구성 종목, 밸류업 공시 참여 기업에 투자하며 민간연기금 투자풀로 운영한다. 거래소 관계자는 "최근 출시된 밸류업 지수 ETF의 조기 정착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밸류업 후속지수 등 개발과 관련해 시장과 소통하며 의견을 청취하고 있고, 업계 수요 및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추가 상품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4-12-16 17: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