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9 월요일
맑음
서울 14˚C
흐림
부산 15˚C
흐림
대구 13˚C
맑음
인천 14˚C
흐림
광주 12˚C
흐림
대전 11˚C
흐림
울산 12˚C
흐림
강릉 12˚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쿠팡 개인정보 유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개인정보위, 쿠팡, 개인정보 유출로 과징금 16억원 부과
[이코노믹데일리] 쿠팡이 배달원과 주문자 등 약 16만 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사고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15억8865만 원의 과징금과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27일 열린 전체회의에서 쿠팡의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에 대해 이 같은 제재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2021년 발생한 약 13만5000명의 쿠팡이츠 배달원 정보 유출과 2022년 약 2만2000명의 주문자 정보 유출 사고를 조사한 결과에 따른 조치다. 조사 결과 쿠팡이츠는 배달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안심번호만 음식점에 제공한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배달원의 실명과 휴대전화번호가 포함된 정보를 전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주문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이 정보가 노출됐고 일부 시스템에서 배달 완료 후에도 개인정보가 파기되지 않고 보관된 사실이 드러났다. 개인정보위는 쿠팡이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알고도 법정 기한인 24시간 내 통지를 하지 않았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쿠팡은 운영하는 판매자 전용 시스템에서도 로그인 인증 과정의 오류로 약 2만2440명의 주문자와 수취인 정보를 잘못된 판매자에게 노출하는 사고를 일으켰다. 쿠팡은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취약점 점검과 개선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쿠팡에 총 15억8865만 원의 과징금과 과태료를 부과했다.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도 권고했다. 배달원 정보를 보관했던 주문관리 프로그램 개발사 오터코리아는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않고 저장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오터코리아에 개인정보 파기 의무를 준수하도록 명령하고 관련 사실을 공표하도록 했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대규모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사업자는 데이터 통신과 로그인 인증 시스템의 취약점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쿠팡은 "외부 업체의 과실이나 일시적 소프트웨어 오류로 발생한 사고"라며 "재발 방지를 위한 모든 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2024-11-28 15:27:2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백종원 '빽다방' 상표권, 더본코리아 아닌 개인회사 소유…투자자들은 몰랐다
2
삼성전자, 2조4000억원 들여 데이터센터 HVAC 선점하는 이유
3
"7시간 만에 1위" 넷마블 신작 '세나 리버스' 대박 터졌다…흥행 비결은
4
가덕도신공항 좌초 위기…현대건설 철수에 후속 대안도 불투명
5
불황에 재무부담 커진 에쓰오일...'샤힌 프로젝트' 감당 가능할까
6
'부동산 PF' 향한 온도차…대형사 '질주', 중소형사 '위축'
7
[르포] 대한항공, AWS 서밋 서울 2025서 '생성형 AI 콜센터' 시연
8
[송도, 약속된 도시의 역설] ④ 아직도 개발 중…도시는 어디로 가고 있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1등의 관리는 다르다"…코웨이의 남다른 고객정보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