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6 금요일
흐림
서울 17˚C
흐림
부산 17˚C
흐림
대구 19˚C
흐림
인천 16˚C
비
광주 18˚C
흐림
대전 18˚C
흐림
울산 19˚C
흐림
강릉 19˚C
비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통합거래액'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7조 터졌다" 야놀자, 1분기 해외 거래액 '대박'…AI 솔루션이 효자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트래블 테크 기업 야놀자가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통합 거래액(Aggregate TTV) 7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88.2% 증가한 수치다. 미국 고관세 이슈 등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도 유럽 중동 미주 시장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며 한국을 제외한 해외 거래액 비중을 전년 동기보다 약 50%포인트(P) 늘어난 74%로 확대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야놀자의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한 2182억원 조정 EBITDA는 234억원을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32.9% 증가한 685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 야놀자클라우드의 트랜잭션 솔루션 서브스크립션 솔루션 AI 데이터 솔루션이 고른 실적 성장을 거뒀으며 이 중 AI 기반 데이터 솔루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3% 이상 증가했다. 야놀자클라우드의 조정 EBITDA 역시 전년 동기 대비 58.0% 증가한 125억원 조정 EBITDA 마진율 18.2%를 기록하며 비수기 여행 수요에도 역대 1분기 기준 최대치를 달성했다. 높은 공헌이익을 갖춘 AI 데이터 솔루션 부문의 빠른 성장이 매출 성장률을 웃도는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컨슈머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1579억원 조정 EBITDA는 206억원을 기록했다. 국내외 이슈 및 장거리 여행 회복 지연 등 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놀유니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 간 교차 판매 전략이 효과를 거두며 플랫폼 이용률을 꾸준히 유지해 안정적인 성과를 이어갔다. 야놀자 관계자는 “지속적인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와 함께 AI 데이터 솔루션의 약진,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의 고성장 등이 실적 전반을 견인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AI 기반의 트래블 테크를 앞세워 글로벌 확장 전략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야놀자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하며 트래블 테크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AI 데이터 솔루션의 가파른 성장은 향후 야놀자의 수익성 개선과 지속 가능한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5-15 17:05:16
야놀자, 지난해 영업이익 492억원…전년비 1782% 급증
[이코노믹데일리] 야놀자는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9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26억원) 대비 1782% 급증했다고 31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9245억원으로 22%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인 것이다. 이번 실적 성장은 외형 확장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야놀자의 글로벌 솔루션 및 플랫폼 거래 규모와 데이터 유통량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글로벌 통합거래액은 27조원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186% 증가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1147억원으로 68% 증가했으며 EBITDA 이익률 역시 12%로 전년 대비 3%포인트 개선되며 내실을 다졌다. 이러한 호실적은 전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에 힘입은 결과다. 특히 기업간거래(B2B) 중심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해당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62% 성장한 2926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576억원으로 454% 급증했다. 이는 글로벌 여행 수요 회복에 맞춰 전 세계 2만 1천 개 이상의 판매 채널과 130만여 개 여행 사업자를 대상으로 솔루션 사업 저변을 확대한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솔루션 매출 비중이 지난해 1분기 14%에서 4분기 25%까지 꾸준히 상승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입증했다. 야놀자플랫폼과 인터파크트리플 등이 포함된 컨슈머 플랫폼 부문 역시 안정적인 성장 기조를 이어갔다. 해당 부문 매출은 6712억원으로 전년 대비 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620억원으로 39% 늘었다. 고환율 상황 지속과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로 인한 일회성 대손상각비 발생 등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견조한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며 수익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야놀자 관계자는 "지난해는 데이터 인프라와 AI 기술을 토대로 글로벌 여행 산업을 위한 서비스를 본격화한 중요한 해였다"며 "앞으로도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세계 시장 공략을 강화해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이는 향후 AI 기술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를 통해 성장 모멘텀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2025-03-31 18:11:4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백종원 '빽다방' 상표권, 더본코리아 아닌 개인회사 소유…투자자들은 몰랐다
2
[이번 주 美 주요 일정] CPI·파월 연설…기업 실적 발표로 시장 변동성 예상
3
불황에 재무부담 커진 에쓰오일...'샤힌 프로젝트' 감당 가능할까
4
'부동산 PF' 향한 온도차…대형사 '질주', 중소형사 '위축'
5
NH투자증권, 지난해 소송 리스크 '최다'…3984억원 규모 70건 진행 중
6
SKT, '유심 복제' 막는 '유심 재설정' 내일 전격 도입…"유심 교체와 보안 효과 동일"(종합)
7
[김인규의 기분상승] 26조원 체코 원전 수주 행방은 어떻게
8
가덕도신공항 좌초 위기…현대건설 철수에 후속 대안도 불투명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1등의 관리는 다르다"…코웨이의 남다른 고객정보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