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26 일요일
안개
서울 13˚C
맑음
부산 14˚C
흐림
대구 16˚C
안개
인천 15˚C
구름
광주 12˚C
흐림
대전 13˚C
구름
울산 12˚C
흐림
강릉 12˚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프루도베이'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美 에너지장관 "알래스카 LNG 사업에 韓·日 기업과 참여 협의"
[이코노믹데일리]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송유관 건설 사업에 한국과 일본 기업의 참여를 협의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라이트 장관은 뉴욕 외신센터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일본 기업·한국 기업·아시아 기업 등 여러 기업과 협의 중"이라며 "이 프로젝트는 향후 12개월 내로 착공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알레스카 LNG 사업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단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추출한 천연가스를 송유관을 통해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까지 나른 뒤 액화해 아시아 등으로 수출하는 것이다. 라이트 장관은 "건설에는 몇 년 걸리겠지만 가장 큰 장점은 동아시아의 일본 같은 우리의 훌륭한 동맹국까지 선박 운송 거리가 매우 짧다는 것"이라며 "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그곳에서 생산될 가스는 다른 어떤 LNG 수출 터미널에서 나오는 가스보다 비싸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프로젝트에 자본을 댈 주체로는 "미국 기업과 아시아 기업이 혼합된 형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확신한다"며 "미국 에너지부가 신용 지원 등으로 일부를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래스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807마일(약 1297㎞) 구간에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액화 터미널 등 인프라를 건설해야 하는 이 사업에 들어가는 초기 추산 자본은 약 450억 달러(약 64조원) 규모다. 실제로 포스코 등 일부 한국 기업은 해당 사업을 검토 중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와 함께 민간 투자자로 참여한 에너지 기업 글렌파른과 연간 100만톤의 LNG 공급 예비 계약을 체결하면서 한국 기업 중 가장 먼저 프로젝트 참여 검토를 공식화했다. 포스코이앤씨도 국내외 LNG 터미널 건설 경험을 토대로 참여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5-09-25 13:58:48
한국, 알래스카 LNG 사업 현장 시찰... 사업 잠재력 확인해
[이코노믹데일리] 한국 정부 대표단이 미국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현장을 둘러보고 사업 가능성을 확인했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 대표단은 지난 2~3일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열린 '제4차 알래스카 지속가능한 에너지 컨퍼런스'에 참석한 후 LNG사업 현장을 둘러봤다. 이번 컨퍼런스는 태양력·풍력·원자력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안건으로 다뤘으며 알래스카 LNG 사업을 앞두고 열렸다. 실질적으로는 LNG사업 추진을 염두한 행사라는 평이 나온다. 이번 프로젝트는 주 북부 가스전에서 LNG를 채굴해 약 1300km 길이의 가스관을 통해 주 남부 앵커리지로 옮겨 수출하는 사업이다. 이번 현장 시찰에는 미국 관계자와 한국, 일본 대만, 필리핀 정부 관계자가 동행했으며 현지 사정으로 기업 관계자들은 동석하지 못했다. 대표단 관계자는 "이번 방문에서 알래스카 가스전 협상을 아직 이뤄지지 않았지만 알래스카 LNG가 채굴되는 가스전 프루도베이 등 사업 지역을 직접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고 말했다.
2025-06-09 15:02:2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DV가 이끄는 車 혁신, 현대차 등 글로벌 기업 R&D 가속
2
'부정거래 의혹' 하이브 방시혁, 檢·警 수사에 출국금지까지…국감은 피했지만…싸늘한 여론
3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석유화학산업 재부흥 동력 될까
4
[단독]LG 오너 일가, 상속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취하...5억 절세 관측
5
[현장] SEDEX 2025, 삼성·하이닉스 나란히 HBM4 공개…AI 메모리 각축전
6
'무죄'는 면죄부 아니다…법정 밖 진짜 심판대에 오른 카카오
7
[데일리 약업 브리프] 큐로셀, 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 대상 CAR-T 치료제 임상 2상 승인 외
8
네오플 노조, 넥슨 노조와 갈등 끝에 해산…게임업계 첫 파업 중단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신약 개발, 멈출 수 없는 실패의 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