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8 월요일
흐림
서울 31˚C
흐림
부산 31˚C
흐림
대구 33˚C
흐림
인천 31˚C
흐림
광주 32˚C
흐림
대전 31˚C
흐림
울산 34˚C
흐림
강릉 30˚C
흐림
제주 3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하민용'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배경훈 과기부장관, 'AI 3대 강국' 첫 행보…네이버 데이터센터서 민관 총집결
[이코노믹데일리] 배경훈 신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첫 현장 행보에 나섰다. 국내 최대 규모인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 주요 AI 기업 총수들을 총집결시켜 AI 인프라 확충과 규제 개선을 위한 민관 협력을 공식화했다. 배 장관은 24일 네이버 '각 세종'을 방문해 시설을 점검한 뒤 AI 업계 및 학계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방문은 배 장관 취임 후 AI 분야 첫 공식 행보로 AI 경쟁력의 핵심 기반인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질적인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장을 확보하는 등 'AI 고속도로'를 구축해 AI 3대 강국 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배 장관은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하고 사회 전반의 AI 전환(AX)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이준희 삼성SDS 사장, 하민용 SK텔레콤 부사장, 김세웅 카카오 부사장, 최지웅 케이티클라우드 대표, 김동훈 NHN 클라우드 대표, 박성율 LG유플러스 혁신그룹장 등 국내 주요 ICT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국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데이터센터 관련 규제 개선, AI 인프라 확충, 민관 협력 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배경훈 장관은 "AI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AI 고속도로 구축은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과감한 마중물 투자를 통해 AI 인프라를 확충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귀담아 민간 투자 촉진과 관련 애로 해소를 위해 실질적 정책 방안을 적극 강구하고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7-24 11:18:59
SKT, '울산 AI 데이터센터'로 2030년 매출 1조 정조준…그룹 역량 총동원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울산에 구축할 차세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연간 1조원의 매출을 창출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구체화했다. 이는 단순한 시설 확장을 넘어 AI 기술의 '소비자'에서 '공급자'로 전환하려는 회사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 신호탄이자 SK그룹의 핵심 역량을 총결집한 전략적 승부수다. 하민용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AI DC 사업부장(부사장)은 3일 회사 공식 채널을 통해 울산 AI 데이터센터 사업의 상세 계획과 비전을 밝혔다. SK텔레콤은 2027년 울산 센터의 첫 가동을 시작으로 2030년 완공될 서울 구로 센터를 포함해 총 300메가와트(MW) 이상의 용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가동률을 끌어올려 데이터센터 사업만으로 연 1조원대 매출을 달성하고 나아가 울산 센터를 기가와트(GW)급으로 확장해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하겠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이 AI 모델 학습과 추론이라는 새로운 임무를 수행할 데이터센터의 입지로 수도권이 아닌 울산을 낙점한 배경에는 치밀한 전략적 계산이 깔려있다. 하 부사장은 "기존 데이터센터는 데이터 저장과 처리가 주 목적이라 최종 수요기업과 가까운 수도권이 중요했지만 AI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과 부지, 글로벌 확장성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울산은 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최적의 장소라는 판단이다. 실제로 이번 프로젝트는 SK그룹 차원의 역량이 총동원된 '원팀' 사업 모델의 전형을 보여준다. SK케미칼 자회사인 SK멀티유틸리티가 300MW급 LNG 열병합 발전소에서 한국전력보다 저렴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직접 공급한다. 부지는 SK케미칼의 울산 부지를 활용하며 산업단지 내에 위치해 소음이나 전자파 관련 민원으로부터 자유롭다. SK가스는 LNG 터미널을 통해 연료를 원활하게 조달하고 SK브로드밴드는 부산 해저케이블 육양국과 울산 센터를 초고속 전용회선으로 연결해 APAC 지역과의 글로벌 연결성을 확보한다. 센터 건축은 SK에코플랜트가, 핵심 설비 운영은 SK AX(구 SK C&C)가 맡아 사업의 모든 단계를 그룹 내에서 완결한다. SK텔레콤은 울산 프로젝트를 단순한 센터 구축에 그치지 않고 이를 테스트베드 삼아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엔드투엔드(End-to-End) 패키지화'를 추진한다. 이 성공 모델을 바탕으로 국내 1위 사업자로 올라선 뒤 APAC 시장을 공략하고 최종적으로는 미국, 중동 등 글로벌 시장에 솔루션 공급자로 진출하는 3단계 성장 로드맵을 그리고 있다. 이는 'AI 기술로 돈을 버는 공급자가 되겠다'고 선언한 유영상 대표의 경영 철학이 실체적인 사업으로 구현되는 과정이며 울산 AI 데이터센터가 그 원대한 구상의 심장부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2025-07-03 17:21:2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서희건설, 부사장 '385억 부풀리기' 13억대 횡령…특검·상폐 위기 겹악재
2
희비 엇갈리는 '1세대 K-뷰티'…팔리거나 혹은 버티거나
3
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협력업체·주택공급 '비상'
4
이재명 정부, 'AI 고속도로' 구축 공식화…2030년 세계 3대 AI 강국 목표 제시
5
정부, '건설사 중대재해' 매출 3% 과징금 추진…"안전투자 늘려도 사고 못 막아"
6
[김지영의 전대미문]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7
[현장] "초미세 RGB·AI 탑재"…삼성전자, 마이크로 RGB TV로 초대형 가전 시장 이끈다
8
한화솔루션 부도 위기 모면했지만...디폴트 위기 '여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개미지옥? 그보다 더한 '기업지옥'...누굴 위한 세제개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