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23 목요일
흐림
서울 21˚C
흐림
부산 21˚C
흐림
대구 21˚C
구름
인천 19˚C
구름
광주 21˚C
흐림
대전 21˚C
흐림
울산 19˚C
흐림
강릉 16˚C
흐림
제주 2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하이센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중국 가전, 韓 시장 공세 강화…'테스트베드' 역할 톡톡
[이코노믹데일리] 중국 가전업체들이 저가 이미지를 벗고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한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에서는 중국 기업들이 현재는 볼륨존을 집중 공략하고 있지만 한국 시장에서 이름을 알리고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ISO에서만 중국이 142개 표준을 주도해 전체 1533개 ISO 표준의 9%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SCMP는 저가 제품 생산 중심지에서 유럽과 미국에 도전해 기술 선진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대표적 가전 기업인 하이얼(Haier), TCL, 하이센스(Hisense), 샤오미(Xiaomi) 등은 최근 중국 정부 주도로 ISO 등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시장 규범을 선점하는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는 가격을 무기로 한 공세가 두드러진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제품 가격을 대폭 낮추며 접근성을 높이고 샤오미는 체험형 매장을 직접 운영해 A/S 불안을 해소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실제로 식기세척기, 음식물처리기 등 틈새 품목에서 중국산 제품은 국내산보다 절반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며 점유율을 확대 중이다. 업계는 이러한 흐름을 단순한 가격 경쟁으로만 보지 않는다. 한 가전업계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은 지금은 볼륨존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지만 CES나 IFA 전시회를 보면 프리미엄 제품군도 충분히 준비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며 “언제든 가격을 높여 프리미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체력을 갖췄다”고 말했다. 중국과 한국 기업 간 출발점의 차이도 지적된다. 그는 “중국은 내수 시장이 워낙 커 자국 수요만으로도 충분한 수익을 올린 뒤 해외 공략에 나선다. 반면 한국은 내수 규모가 작아 해외 시장을 먼저 두드려야 하는 구조”라며 “자금 여력과 전략적 여유에서 양국 기업은 큰 차이가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 시장은 규모는 작지만 프리미엄 소비 비중이 높은 점에서 중국 기업에 의미가 크다. 또다른 전자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 성과를 내면 글로벌 시장에서도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업체들이 체험형 매장이나 A/S 센터를 확대하는 것”이라며 “삼성·LG는 기술력과 프리미엄 전략을 고수하며 브랜드 가치&사용 경험으로 맞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025-10-06 09:00:00
中 TV 업체, 日 시장 점유율 과반 차지…"가격 경쟁력 잡았다"
[이코노믹데일리] 일본 TV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중국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에서 두각을 나타낸 반면 일본 업체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7일 일본 TV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50%를 넘었다고 보도했다. 이날 시장분석업체 BCN에 따르면 업체별 시장 점유율은 중국 하이센스 41.1%, TCL 9.7%였다. 하이센스 점유율은 도시바로부터 인수한 레그자 25.4%, 자체 브랜드 15.7%다. 대만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이 인수한 샤프도 점유율이 20.6%에 달해 작년 일본에서 출시된 TV는 4대 중 3대꼴로 중국·대만 제품이었다. 반면 일본 업체는 소니 9.6%. 파나소닉 8.8%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일본에서 출하된 TV는 모두 448만6000대였다. 아사히는 “파나소닉이 TV 시장 철수를 포함한 사업 재검토 압박을 받는 등 일본 기업 쇠퇴가 두드러지고 있다”고 해설했다. 이 신문은 과거에는 TV가 일본 종합 전자업체에 중요한 상품이었으나, 업체 간 품질 격차가 사실상 사라지면서 가격 경쟁력있는 중국 업체가 두각을 나타내게 됐다고 분석했다. 대형 냉장고와 드럼 세탁기의 경우 아직 일본 업체가 과반 점유율을 지키고 있으나, 중국 업체 공세 등으로 일본 업체와 해외 업체 간 차이가 점차 줄고 있다.
2025-09-07 16:03:4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한화생명 vs 한화투증, 펀드 투명성 온도차
2
SDV가 이끄는 車 혁신, 현대차 등 글로벌 기업 R&D 가속
3
'부정거래 의혹' 하이브 방시혁, 檢·警 수사에 출국금지까지…국감은 피했지만…싸늘한 여론
4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석유화학산업 재부흥 동력 될까
5
[단독]LG 오너 일가, 상속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취하...5억 절세 관측
6
카카오 '운명의 날' D-1…김범수 창업자 SM 시세조종 혐의 21일 1심 선고
7
[알립니다] 2025 아시아 경제인 골프대회 개최
8
빨라지는 유통업계 인사 시즌…롯데·현대 CEO 거취 촉각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캄보디아로 간 청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