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27 수요일
흐림
서울 32˚C
흐림
부산 32˚C
흐림
대구 34˚C
흐림
인천 29˚C
흐림
광주 33˚C
흐림
대전 32˚C
흐림
울산 31˚C
흐림
강릉 29˚C
구름
제주 3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학술검색'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네이버 학술검색, 내달 25일 종료…통합 검색으로 일원화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생성형 AI 시대에 맞춰 검색 서비스를 통합하고 직관성을 강화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별도 운영해 온 학술검색 서비스를 다음 달 종료한다. 학위 및 학술논문 등 전문 정보도 이제 일반 검색 결과에서 다른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분리된 영역을 찾아 들어가야 했던 이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검색 경험을 일원화하겠다는 취지다. 네이버는 내달 25일부터 학술정보 검색 영역을 통한 별도 노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원문 열람이 가능한 학술 문서는 일반 통합 검색 결과에 직접 노출된다. 이용자는 더 이상 학술자료를 찾기 위해 특정 카테고리로 이동할 필요 없이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논문에 바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원문이 제공되지 않는 일반 학술 문서는 기존 학술정보서비스 페이지에서 계속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개편의 배경에는 생성형 AI가 불러온 검색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이용자들은 이제 단순히 분류된 정보의 목록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빠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최종 정보에 도달하기를 원한다. 이는 세분화된 검색보다 통합적 정보 제공에 초점을 맞추는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들의 흐름과도 궤를 같이한다. 네이버는 이번 조치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을 넘어 네이버 검색 전체의 체질을 바꾸는 과정의 일부로 풀이된다. 실제로 네이버는 AI가 검색 결과를 요약해 제공하는 ‘AI 브리핑’ 영역을 확대 적용하며 통합 검색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수연 대표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연말까지 AI 브리핑 커버리지를 (전체 검색 결과의) 20%로 늘리고 내년에는 (통합검색에) 대화형 AI 탭을 출시해 검색 경험을 고도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학술검색 통합은 이러한 거시적 전략이 구체적인 서비스 변화로 나타난 첫 신호탄인 셈이다.
2025-08-27 07:33:5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AI '데이터 고속도로' 4배 넓힌다...국가 백본망 2030년까지 4배 증설
2
아이폰17, 플러스 대신 5.5mm 초슬림 '에어' 나온다
3
국민성장펀드 100조, 산업 대전환 시험대 올라
4
위메이드, 'P의 거짓' 핵심 개발진 '스튜디오라사'에 100억 투자…콘솔 IP 강화
5
넥슨 '아이콘매치', '리버풀의 심장' 제라드 합류… 선예매 10분 만에 매진
6
식음료업계에 부는 '저저익선' 트렌드…MZ세대 '충성고객' 됐다
7
DL이앤씨, 마곡 사옥 이전에도 '구조조정설' 또 불거져… 연이은 악재에 '뒤숭숭'
8
한미반도체, 상반기 매출액영업이익률 1위…LS네트웍스, 상장사 중 부채비율 '최고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위고비, 치료제지 미용이 아니다...의료계 주객전도 되지 말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