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네이버 지도, 지도 앱의 '무한 진화'…'예약' 기능 전면 배치로 '생활밀착형 슈퍼앱' 넘본다
[이코노믹데일리]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3000만을 돌파한 '국민 앱' 네이버 지도가 단순한 길안내 서비스를 넘어 식당 예약부터 레저, 여행까지 아우르는 '올인원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선언했다. 네이버는 지도 앱 내에 '예약' 탭을 새롭게 도입해 장소 탐색부터 예약, 이동, 리뷰까지 사용자의 모든 여정을 하나의 앱에서 완결하는 통합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10일 네이버 지도 앱의 탭 구성을 △발견 △예약 △대중교통 △내비게이션 △저장으로 전면 개편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10일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새롭게 추가된 '예약' 탭이 이번 개편의 핵심이다. 이제 이용자들은 네이버 예약을 지원하는 음식점, 카페는 물론 레저·티켓, 체험·클래스, 항공권까지 일일이 검색할 필요 없이 예약 탭에서 한눈에 모아보고 간편하게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예약 가능한 '핫플레이스' 정보와 다양한 예약 관련 혜택, 기획전도 함께 제공된다. 예약 경험의 완결성도 높였다. 예약 후에는 예약 일정 알림은 물론 예약 장소 주변의 가볼 만한 곳을 추천하는 등 개인 맞춤형 안내를 제공한다. 또한 방한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예약 탭을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지원하고 맞춤형 콘텐츠도 선보인다. 이번 개편은 네이버 지도가 '공간'을 매개로 한 모든 경험을 연결하는 '생활밀착형 슈퍼앱'으로 도약하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실내 AR 내비게이션, 플라잉뷰 3D 등 독보적인 기술력에 '예약'이라는 강력한 실용성을 더해 이용자 '록인(Lock-in)'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최승락 네이버 지도 서비스 총괄 부문장은 "여러 앱을 오가며 번거롭게 예약하지 않아도 발견부터 예약, 혜택까지 네이버 지도를 통해 편리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예약 탭을 도입했다"며 "온라인에서의 발견을 오프라인의 경험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생생한 공간 경험까지 제공하는 올인원 플랫폼으로서 고도화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2025-11-10 15:14:22
-
서울 아파트값, 식지 않는 상승세… 송파·양천·성동 '핫플' 부상
[이코노믹데일리]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정부의 공급 확대 대책에도 불구하고,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되살아나며 가격 격차가 더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5년 10월 둘째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2주 누계 기준 0.54%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3% 오르며 지난 9월 다섯째 주(0.06%)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25%)은 올랐지만 지방(0.00%)은 보합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원은 “추석 연휴 전후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면서 재건축 추진 단지와 정주 여건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물이 소진됐다”며 “서울 전역에서 상승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승 폭은 자치구별로 차이를 보였다. 송파구(1.09%)는 가락·문정동 재건축 단지가 상승세를 이끌었고, 양천구(1.08%)는 목·신정동 역세권 단지가, 강동구(0.85%)는 고덕·명일동 대단지 중심으로 올랐다. 강북에서는 성동구(1.63%), 광진구(1.49%), 마포구(1.29%) 등지의 중소형 단지가 강세를 보였다. 실제 거래에서도 최고가 갱신이 이어지고 있다. 송파동 ‘성지’ 아파트 84㎡는 이달 11일 23억5000만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7월·21억원) 대비 2억5000만원 올랐다. 가락동 ‘삼환가락’ 121㎡ 역시 21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0.15%)와 인천(0.03%)의 흐름이 엇갈렸다. 성남 분당구(1.53%)는 정자·분당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과천시(1.16%)는 원문·중앙동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인천은 중구(-0.03%), 연수구(-0.01%) 등이 약세였지만 서구(0.09%), 미추홀구(0.05%)는 상승세를 보였다. 지방 5대 광역시는 울산(0.13%)이 올랐고, 대구(-0.07%)는 하락했다. 전체적으로는 보합(0.00%) 흐름을 나타냈다. 전세시장도 강보합세를 이어갔다. 전국 전셋값은 0.07% 오르며 전주(0.06%)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서울은 0.17% 상승하며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매수세가 되살아나면서 재건축·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늘고 있다”며 “전세시장 역시 정주 여건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2025-10-17 09:5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