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3 금요일
흐림
서울 22˚C
흐림
부산 19˚C
비
대구 19˚C
흐림
인천 22˚C
비
광주 19˚C
비
대전 21˚C
비
울산 19˚C
흐림
강릉 21˚C
비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확장팩'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K-게임, 세계 최대 무대 게임스컴서 신작 대거 공개…글로벌 시장 '진검승부'
[이코노믹데일리] 세계 최대 게임 전시회 ‘게임스컴 2025’ 개막을 앞두고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출사표를 던졌다. 크래프톤과 펄어비스 등 대형 게임사들은 오는 20일(현지시간)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게임스컴에 부스를 마련하고 전 세계 게이머들에게 신작을 선보인다. 펄어비스는 내년 1분기 출시 예정인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 '붉은사막'을 2년 연속 출품한다. 지난해 시연이 액션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높은 자유도와 세밀한 탐험 요소를 전면에 내세울 계획이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세계관 기반의 5:5 대전 슈팅 게임 'PUBG: 블라인드스팟'을 필두로 '인조이(inZOI)'의 첫 DLC와 '배틀그라운드' 시연 공간을 운영한다. 넷마블은 직접 부스를 차리지는 않지만 개막 전야제에서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의 신규 트레일러를 공개한다. 또한 삼성전자와 협력해 무안경 3D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3D'로 신작 '몬길: 스타 다이브'를 시연하는 독특한 방식을 택했다. 카카오게임즈의 개발 자회사 오션드라이브 스튜디오는 좀비 생존 시뮬레이션 '갓 세이브 버밍엄'을 2년 연속 출품하며 유럽 시장에 대한 꾸준한 구애를 이어간다. 엔씨소프트 역시 북미 법인을 통해 B2B 구역에서 파트너사들을 대상으로 하반기 신작 라인업을 소개하며 사업 기회를 모색한다. 또한 중소 및 인디 게임사들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마련한 한국공동관을 통해 유럽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해외 대형 게임사들의 참여도 두드러진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20종에 달하는 대규모 타이틀 라인업을 준비했으며 특히 기대를 모으는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의 새로운 정보 공개가 유력하다. 블리자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차기 확장팩 '한밤'의 핵심 콘텐츠를 최초 공개하며 건재함을 과시하고 닌텐도는 '포켓몬 레전드 Z-A'와 '닌텐도 스위치 2' 신규 라인업으로 맞불을 놓는다. 텐센트, 넷이즈, 호요버스 등 중국 대형 게임사들 역시 '아너 오브 킹즈: 월드', '원신' 등 막강한 자금력과 팬덤을 기반으로 한 신작과 업데이트 콘텐츠를 대거 선보일 예정이어서 K-게임이 글로벌 무대에서 어떤 차별점으로 존재감을 드러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게임스컴은 독일 게임산업협회와 쾰른메세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 게임쇼로 올해는 8월 20일부터 24일까지 독일 쾰른메세 전시장에서 열린다.
2025-08-19 08:37:07
네오위즈, 2분기 영업익 292%↑…'P의 거짓' 흥행에 어닝 서프라이즈
[이코노믹데일리] 네오위즈가 ‘P의 거짓’ 흥행에 힘입어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네오위즈는 8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2% 급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1100억원으로 26%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128억원으로 66% 늘었다. 이번 호실적의 일등 공신은 단연 PC·콘솔 게임 부문이다. 본편 ‘P의 거짓’에 이어 확장팩(DLC) ‘P의 거짓: 서곡’이 연달아 흥행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DLC 출시가 신규 이용자 유입을 촉진하며 본편 판매량까지 끌어올리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다. 지난 6월 기준 본편과 DLC를 합산한 누적 판매량은 300만장을 돌파했고 관련 매출은 전 분기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나며 ‘P의 거짓’이 핵심 프랜차이즈 IP로 자리 잡았음을 증명했다. 모바일 게임 부문 역시 ‘브라운더스트2’가 성장을 이끌었다. 출시 2주년을 맞은 이 게임은 일일 활성 이용자 수(DAU) 28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대만과 홍콩 등 중화권 시장에서 앱 마켓 매출 1위를 달성하며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네오위즈는 하반기에도 주력 IP의 가치를 높이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P의 거짓’은 8월 플레이스테이션 플러스(PS Plus) 이달의 무료 게임에 입점해 이용자 저변을 넓힌다. ‘브라운더스트2’는 팬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오는 12월 스팀 PC 버전을 출시해 플랫폼 확장에 나선다. 또한 ‘셰이프 오브 드림즈’ 등 3종의 인디게임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도 본격화한다.
2025-08-08 09:04:12
펄어비스, 1분기 52억 영업손실…'붉은사막' 개발 집중
[이코노믹데일리] 펄어비스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837억원, 영업손실 52억원, 당기순이익 5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아이슬란드 자회사 CCP게임즈의 신작 개발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적자 전환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투자회사 평가 이익 및 외환 이익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96.1% 줄었다. 펄어비스의 1분기 전체 영업비용은 889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8% 늘어났다. 세부적으로는 인건비가 55.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지급수수료 19.5%, 기타비용 10.1%, 광고선전비 8.2%, 감가상각비 7.1%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용 증가는 신작 부재 상황과 맞물려 수익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전체 매출의 80%는 해외 시장에서 발생하며 글로벌 서비스의 안정성을 유지했다. 기존 라이브 서비스 중인 ‘검은사막’은 1분기 신규 환상마 ‘볼타리온’과 협동 던전 ‘아토락시온’ 업데이트를 통해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으며 오는 6월 26일 플레이스테이션5(PS5) 및 엑스박스 X|S 버전의 글로벌 출시도 앞두고 있다. ‘이브 온라인’은 ‘레버넌트’ 확장팩 추가 업데이트와 함께 2025년 서비스 로드맵을 공개하며 장기 흥행 기반을 다졌다. 한편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차기작 ‘붉은사막’은 지난 3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게임 개발자 콘퍼런스(GDC) 2025’에서 자체 개발한 ‘블랙 스페이스 엔진’ 시연을 통해 고품질 그래픽과 물리 효과로 호평받았다. 이어 지난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팍스 이스트(PAX EAST)’에서는 첫 북미 지역 이용자 대상 시연 행사를 진행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펄어비스는 오는 6월 중에도 글로벌 게임쇼에 ‘붉은사막’을 출품하는 등 글로벌 시연을 점차 확대하며 전 세계 게이머들과의 접점을 늘려갈 계획이다. 조미영 펄어비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25년에도 검은사막과 이브의 꾸준한 라이브 서비스를 선보이는 가운데 붉은사막의 성공적인 출시를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05-14 09:16:0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정자원 화재] 국토부, '하도급지킴이' 장애에 공사대금 지급 예외 허용 추진
2
새마을금고 알짜카드 'MG+S 하나카드' 다음달 신규 발급 종료
4
카톡 업데이트 총괄 홍민택 CPO, 사내 공지로 '진화' 나서
5
[국정자원 화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재개…66조원대금 지급 정상화
6
네이버, 업비트 '빅딜'…결제·가상자산 아우르는 '금융 공룡' 탄생
7
SK그룹-오픈AI, '메모리·AI 데이터센터' 초대형 합작…'K-AI' 동맹 결성
8
원화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본격화…증권사들 디지털자산 선점 경쟁 가속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국감에 설 예정인 건설사 CEO들, 책임 공방을 넘어설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