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3건
-
-
-
-
빅5 증권사, 올해 1분기 실적 접전…왕좌 '한투', 키움 '부진'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1분기 국내 상위 증권사들의 실적이 개선된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이 업계 최강자 자리를 유지했다. 반면 키움증권은 상위 증권사 중 유일하게 실적이 감소하면서 부진을 면치 못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상위 5대 증권사(한국투자·삼성·미래에셋·키움·NH)의 1분기 연결기준 합산 영업이익은 1조8142억원으로 전년 대비 12.79% 증가했다. 특히 한국투자증권은 1분기 영업이익 5188억3800만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2.41% 성장했다. 당기순이익도 4482억1300만원으로 21.57% 증가했다. 금리 하락에 따른 채권과 발행어음 운용수익이 전년 대비 857.7% 급증하면서 수익 성장을 견인했다. 브로커리지 수익은 913억원, 자산관리 수익 408억원, 기업금융(IB) 수익 1881억원, 운용 수익 4374억원 등 전반적인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미래에셋증권은 영업이익 3461억85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해외법인 성장이 돋보였다. 해외법인 세전 수익은 1196억원으로 전년 대비 300% 급증했고, 미국, 홍콩, 런던, 싱가포르 등 선진 시장에서 864억원, 이머징 지역에서 332억원 수익을 올렸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해외 주식 수수료 수익(1012억원)과 자산관리(WM) 수수료 이익(784억원)도 최대치를 기록했다"며 "글로벌·연금·해외주식 비즈니스에서 경쟁력을 발휘했다"고 밝혔다. 삼성증권은 3346억4200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0.91% 증가했다. NH투자증권도 2890억4400만원으로 4.4% 성장했다. 반면 키움증권은 상위 증권사 중 유일하게 실적이 감소했다. 키움증권의 1분기 영업이익은 3254억56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62% 줄었고, 당기순이익도 4.14% 감소한 2356억원에 그쳤다. 키움증권의 순영업수익에서 수수료 수익이 16% 줄어들었고, 국내 주식 수수료 수익도 17.7% 감소한 737억원으로 집계됐다. IB 수익은 57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키움증권은 판관비(판매비·관리비)가 22.3% 증가하면서 비용 부담이 커졌고, 다른 증권사들이 해외·자산운용 수익을 통해 실적을 방어한 것과 달리 국내 주식 거래 중심의 사업 구조가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한편 삼성증권과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의 영업이익 차이가 각각 100억원 수준으로 좁혀지면서 2위 자리를 두고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25-05-14 18:20:13
-
넥슨, 1분기 영업이익 43% '껑충'…기존작 건재·신작 기대감 '쌍끌이'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게임 기업 넥슨이 올해 1분기, 20년 이상 서비스 중인 기존 대표작들의 견조한 성과와 신작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에 힘입어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을 이뤄냈다. 넥슨은 13일,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 820억원, 영업이익 3952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 43% 증가한 수치다. 다만 같은 기간 순이익은 2495억원으로 27% 감소했다. 이번 1분기 실적 호조는 '던전앤파이터', '메이플스토리', 'FC' 프랜차이즈 3종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것이 주효했다. 여기에 지난 3월 말 출시된 신작 '퍼스트 버서커: 카잔'과 '마비노기 모바일'이 가세하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넥슨 측은 특히 2005년과 2003년에 각각 상용화된 '던전앤파이터'와 '메이플스토리' 프랜차이즈의 매출 회복세에 주목하며 이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라이브 운영 역량이 빛을 발했다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던전앤파이터' 프랜차이즈는 중국에 선보인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3월 글로벌 출시된 '퍼스트 버서커: 카잔'이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국내 PC '던전앤파이터'는 '중천' 업데이트 이후 월간 활성 이용자(MAU)와 유료 결제 이용자(PU)가 모두 두 배 이상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두 배의 매출 신장을 기록했다. 중국 PC '던전앤파이터' 역시 새해 업데이트를 통해 게임 내 경제 균형을 개선하며 일일 활성 이용자(DAU)가 꾸준히 증가했다. '메이플스토리'는 지난해 12월 국내에서 진행한 대규모 겨울 업데이트 효과로 주요 지표가 개선되며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3% 늘었다. 서구권 시장에서도 고도로 현지화된 '하이퍼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을 통해 전년 같은 기간보다 35% 증가한 매출을 거뒀다. 3월 말 합류한 신작들의 활약도 돋보였다. '던전앤파이터' IP를 활용한 PC·콘솔 싱글 패키지 게임 '퍼스트 버서커: 카잔'은 스팀에서 '압도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호평받았으며 '마비노기 모바일'은 출시 직후 양대 마켓 매출 상위권에 오르며 원작의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넥슨은 기존 지식재산권(IP)의 안정적인 성과와 신규 라인업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엠바크 스튜디오에서 개발 중인 PvPvE 신작 '아크 레이더스'가 연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데이브 더 다이버'는 올 하반기 정식 스토리 DLC '인더 정글'을 선보인다. 이외에도 액션 RPG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생존 탈출 게임 '낙원: 라스트 파라다이스', 오픈월드 액션 RPG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등 다양한 신작들이 출시를 준비 중이다. 이정헌 넥슨 일본법인 대표는 "올 1분기 핵심 프랜차이즈들이 주요 서비스 지역에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새롭게 출시한 신작들이 호평받으며 의미 있는 성과를 기록할 수 있었다"며 "넥슨이 보유한 강력한 IP 프랜차이즈와 라이브 역량,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보다 새로운 게임을 선보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2025-05-13 18:10:00
-
-
-
-
-
-
-
-
-
한화 건설부문, 1분기 영업이익 39% 증가…수익성 중심 전략 효과
[이코노믹데일리] 한화 건설부문이 대형 프로젝트 공백과 고금리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중심의 전략으로 올해 1분기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향후 서울역 북부 개발, 이라크 주택사업 재개 등 대형 프로젝트 착공에 따라 수익성 개선세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7일 한화 건설부문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65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30억원으로 39%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2.0%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상승했다. 회사 측은 “플랜트 및 해상풍력 사업 부문을 한화오션에 양도하면서 외형은 줄었지만, 원가율 개선과 전사적 비용 효율화로 수익성을 방어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일부 대형 프로젝트의 준공이 실적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전체적으로 이익률 개선에 집중한 경영 전략이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올해 1분기 신규 수주 규모는 총 147억원으로 집계됐다. 목포 자원회수시설 용역(20억원), 도급 금액 증감 조정분(127억원) 등이 포함된 수치로, 수서역 환승센터 복합 개발(8억7000만원) 등 주요 프로젝트 수주는 2분기부터 본격 반영될 예정이다. 한화 건설부문이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해외 사업도 본궤도에 오른다. 이라크 비스야마 신도시 건설 사업은 올해 중 3만가구를 준공하고, 남은 7만가구에 대한 공사를 재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사업은 한화가 중동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온 대표적 대형 프로젝트로, 향후 실적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 건설부문은 올해 수주 목표를 총 4조1000억원으로 제시했다. 이 가운데 건축·개발 분야에서 3조6000억원, 인프라 분야에서 5000억원을 수주할 계획이다. 업계는 향후 국내 주요 재개발·재건축 수주 경쟁에서도 한화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 관계자는 “올해는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며 “기존 사업의 경쟁력 제고와 동시에 해외 수주 확대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2025-05-07 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