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9 월요일
흐림
서울 12˚C
흐림
부산 15˚C
흐림
대구 12˚C
흐림
인천 14˚C
흐림
광주 12˚C
흐림
대전 10˚C
흐림
울산 13˚C
흐림
강릉 13˚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5G 가입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KT, 1분기 영업익 6888억…전년比 36%↑ 'AICT 전환' 순항
[이코노믹데일리] KT가 모바일·인터넷·TV(MIT) 등 핵심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그룹 차원의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바탕으로 올해 1분기 견조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인공지능 전환(AX)을 중심으로 한 B2B 사업과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DC) 사업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KT는 9일 연결 기준 2025년 1분기 매출 6조8451억원, 영업이익 688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2.9%, 영업이익은 36% 증가한 수치다. 당기순이익 역시 56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2% 늘었다. 통신 및 AX 등 핵심 사업의 성장과 함께 일회성 부동산 분양 이익 일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기반 확대와 알뜰폰 사업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0%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5G 가입자 비율은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8.9%를 차지했다. 유선 사업에서는 기가인터넷 가입자와 부가서비스 이용 확대로 초고속인터넷 매출이 1.3% 성장했으나 유선전화 매출은 가정 내 수요 감소로 10.5% 줄었다. 미디어 사업은 IPTV 프리미엄 요금제와 셋톱박스(STB) 이용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0.1% 성장했다. B2B 부문에서는 AI·IT 사업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고 AI 컨택센터(AICC)와 IT 구축형 사업의 성장이 주효했다. kt cloud의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DC) 사업은 글로벌 고객의 코로케이션 서비스 수요 증가와 GPU 인프라 기반 AI 클라우드 매출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2%라는 높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룹사인 '넥스트커넥트PFV(NCP)'를 통해 개발한 롯데 이스트폴 아파트 입주가 지난 3월 시작되면서 분양 매출과 이익 일부도 이번 실적에 반영됐다. 금융사업에서는 BC카드가 자체카드 발급 확대 등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했고 케이뱅크는 고객 수 1363만 명을 돌파하며 수신 및 여신 잔액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KT는 올해 2분기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한국형 AI 모델과 보안성을 강화한 퍼블릭 클라우드 신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며 글로벌 AI 플랫폼 기업 팔란티어와도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이니텍과 플레이디를 매각하고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진행 중이며 1분기 배당금도 전년 동기 대비 20% 인상한 주당 600원으로 결정했다. 장민 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KT는 올해 B2B AX 분야를 중심으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 AICT 기업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하겠다"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성실히 이행해 KT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높이겠다"고 말했다.
2025-05-09 10:45:00
알뜰폰, '월 1만원대 5G 요금제' 승부수… 가입자 반등 '될까'
[이코노믹데일리] 알뜰폰 업계가 가입자 감소세 반전을 위해 월 1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하며 승부수를 던졌다. 이는 고물가 시대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 가계 통신비 부담을 낮춰 가입자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른 이동통신 시장에서 알뜰폰 업계가 새로운 요금제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4일 알뜰폰 업계에 따르면 알뜰폰 사업자 이야기모바일은 최근 월 1만원대에 5G 데이터를 20GB까지 제공하는 ‘5G 함께이야기해S’ 요금제를 출시했다. 이는 정부가 알뜰폰 도매대가 인하 정책을 통해 5G 데이터 요금제를 1만원대로 낮출 수 있도록 지원한 데 따른 것이다. 해당 요금제는 5G 데이터 20GB 외에도 음성 200분, 문자 100건을 기본 제공하며, 데이터 제공량에 따라 10GB, 15GB, 30GB 등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알뜰폰 업계의 이 같은 움직임은 최근 가입자 감소세가 뚜렷해지고 있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서비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알뜰폰 가입 회선 수는 949만 2407개로 전월 대비 3만 3151개 감소했다. 이는 2021년 10월 이후 첫 감소세로 알뜰폰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이동통신사들이 중저가 요금제를 강화하면서 알뜰폰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된 점, 번호이동 전환지원금 확대로 인해 소비자들이 이동통신사로 다시 눈을 돌리는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알뜰폰 업계는 5G 저가 요금제 출시를 통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5G 가입자 확보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알뜰폰 5G 가입 회선은 36만 5582개에 불과, LTE 가입자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고명수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신임 회장은 “프리미엄 서비스와 합리적인 소비를 원하는 소비자 모두를 알뜰폰 시장으로 끌어들여 가입자 수를 2~3배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알뜰폰 업계의 이번 5G 요금제 출시가 실질적인 가입자 증가로 이어져 시장 반등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25-02-24 08:10:04
KT, 사상 최대 매출에도 '인건비 폭탄'에 영업익 반토막…AI로 돌파구 찾는다
[이코노믹데일리] KT가 1998년 상장 이후 사상 최대 연간 매출을 기록했으나 4분기 단행된 대규모 조직 개편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는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다. KT는 올해 AI 및 클라우드 사업 강화와 주주 환원 정책 확대를 통해 기업 가치 제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13일 KT가 발표한 2024년 연간 연결 기준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26조 4312억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8095억원으로 전년 1조 6492억원 대비 50.9% 감소했다. 특히 4분기에는 매출 6조 5756억원, 영업손실 6551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이 같은 영업이익 감소는 4분기 조직 개편 과정에서 발생한 일회성 인건비 영향이 컸다.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연간 영업이익은 1조 8118억원으로 오히려 전년 대비 9.8% 증가해 실질적인 수익성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사업별로는 무선 사업이 온라인 무약정 요금제 ‘요고’ 출시 등 다양한 요금제 전략으로 전년 대비 1.3%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5G 가입자 비중은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7.8%까지 확대됐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5G 가입자 증가와 로밍, 알뜰폰(MNVO) 사업의 꾸준한 성장에 힘입어 1.7% 증가했다. 유선 사업은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에 힘입어 초고속인터넷 매출이 1.1% 늘었으나 유선전화 매출 감소로 전체 유선 사업 매출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미디어 사업은 IPTV 가입자 순증과 고가치 가입자 확대로 1.2%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KT는 지난해 말 미디어 부문을 신설, 그룹 미디어 사업 역량 집중 및 AI 기반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업 서비스 사업은 저수익 사업 구조 개선에도 불구하고 2.9% 성장했다. 기업 인터넷 및 데이터 사업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며, 특히 AI 컨택센터(AICC), 스마트 모빌리티 등 AI 전환(AX) 플랫폼 사업이 두드러진 성과를 나타냈다. KT는 올해 MS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AI·클라우드 분야 수익 창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비 ICT 부문 자회사들의 성장세도 눈에 띈다. BC카드는 담보 자산 중심의 안정적 성장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으며 케이뱅크는 고객 및 여수신 증가 추세를 이어갔다. 2024년 말 케이뱅크 고객 수는 1274만 명으로 1년 새 321만 명 늘었고 수신 잔액과 여신 잔액은 각각 28조 6000억원, 16조 3000억원으로 증가했다. kt cloud는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DC) 사업 호조에 힘입어 매출이 15.5% 증가했다.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도 강화한다. KT는 4분기 배당금을 주당 500원으로 결정, 연간 주당 배당금을 2000원으로 증액했다. 또한 2025년 약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해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을 적극적으로 이행할 예정이다. 장민 KT CFO 전무는 "지난해 KT그룹은 AICT 기업 전환과 본업 경쟁력 강화로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며 "올해 AX 역량 강화와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을 충실히 이행, KT 기업 가치를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2025-02-13 15:02:5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백종원 '빽다방' 상표권, 더본코리아 아닌 개인회사 소유…투자자들은 몰랐다
2
삼성전자, 2조4000억원 들여 데이터센터 HVAC 선점하는 이유
3
"7시간 만에 1위" 넷마블 신작 '세나 리버스' 대박 터졌다…흥행 비결은
4
가덕도신공항 좌초 위기…현대건설 철수에 후속 대안도 불투명
5
불황에 재무부담 커진 에쓰오일...'샤힌 프로젝트' 감당 가능할까
6
'부동산 PF' 향한 온도차…대형사 '질주', 중소형사 '위축'
7
[르포] 대한항공, AWS 서밋 서울 2025서 '생성형 AI 콜센터' 시연
8
韓 ·美, 통신해킹 공동대응·R&D 협력 강화…美 핵심기관 연쇄 회동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1등의 관리는 다르다"…코웨이의 남다른 고객정보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