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27 월요일
맑음
서울 5˚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7˚C
맑음
인천 9˚C
흐림
광주 7˚C
흐림
대전 6˚C
흐림
울산 6˚C
맑음
강릉 5˚C
흐림
제주 1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AI 국민비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행안부, 네이버·카카오와 'AI 국민비서' 만든다…연내 시범 서비스
[이코노믹데일리] 정부가 국민 누구나 일상적인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AI 국민비서’ 시대를 연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가 국내 대표 빅테크 기업인 네이버, 카카오와 손잡고 민간의 최신 인공지능(AI) 기술을 공공서비스에 접목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행정안전부는 27일 네이버, 카카오와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3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민간 AI 에이전트에 공공서비스를 연계하는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연내에 선보일 계획이다. ‘AI 국민비서’는 복잡한 홈페이지 방문이나 앱 설치 없이 국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나 카카오톡 플랫폼에서 AI와 대화하는 것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인 서비스다. 시범 서비스는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 국민 수요가 높은 분야부터 시작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자사의 핵심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과 협력을 펼친다. 네이버는 자체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한다. 네이버 웹과 앱을 통해 제공될 시범 서비스는 공공시설 예약 후 주변 맛집을 추천해주는 등 네이버의 다른 서비스와 연계한 맞춤형 추천 기능을 더해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카카오는 자체 거대언어모델 ‘카나나’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개발해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에 탑재한다. 특히 유해 콘텐츠를 걸러내는 AI 가드레일 모델 ‘카나나 세이프가드’를 적용해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다. 이번 협약은 정부가 민간의 혁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AI 민주정부’를 실현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정부는 시범 서비스를 거쳐 향후 생애주기별 행정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하는 원스톱 서비스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AI민주정부를 실현하기 위해 민간의 혁신적인 기술과 협력이 필수”라며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그간의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협약이 미래 행정서비스 혁신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으며 카카오 측 역시 “국민의 일상 속 공공서비스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2025-10-27 16:44:5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DV가 이끄는 車 혁신, 현대차 등 글로벌 기업 R&D 가속
2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SDV'…편리함에 숨은 보안 위험성
3
'역대 최강' LCK, 롤드컵 8강 점령…우승컵 탈환 청신호
4
[현장] SEDEX 2025, 삼성·하이닉스 나란히 HBM4 공개…AI 메모리 각축전
5
증권사 종가 왜곡 '경고등'…규제 강화에도 위반 지속
6
머스크 "삼성, 테슬라 AI6 이어 AI5 칩도 공동 생산"
7
네오플 노조, 넥슨 노조와 갈등 끝에 해산…게임업계 첫 파업 중단
8
트래블 선두 하나카드, 해외 체크카드 점유율 소폭 ↓...KB국민카드, 60% 성장하며 3위 부상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