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7 월요일
구름
서울 3˚C
맑음
부산 9˚C
맑음
대구 9˚C
흐림
인천 4˚C
흐림
광주 6˚C
흐림
대전 4˚C
흐림
울산 6˚C
흐림
강릉 4˚C
흐림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AI 안전성'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오픈AI, '가장 먼저 무너질 기업'·'가장 투자하고픈 기업' 2위 동시 선정…기대와 불안 공존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혁명의 아이콘 오픈AI가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상반된 평가를 동시에 받으며 AI 산업의 '버블' 논란 중심에 섰다. '챗GPT'로 시장을 장악한 압도적인 선두주자이지만 동시에 천문학적인 적자 구조와 과도하게 부풀려진 기업가치로 인해 가장 위험한 기업으로도 지목된 것이다. 이는 AI 기술의 무한한 잠재력에 대한 기대와 지속 불가능한 현금 소모에 대한 불안감이 공존하는 오늘날 AI 산업의 양면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시리브럴 밸리 AI 서밋'에서 현장 창업가와 투자자 3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비공식 설문조사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독립 기자 에릭 뉴커머가 진행한 이 설문에서 오픈AI는 '가장 먼저 무너질 가능성이 큰 AI 기업' 2위에 이름을 올렸다. 1위는 최근 과열된 투자 수요로 'AI 버블의 대표 사례'로 불리는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가 차지했다. AI 열풍을 이끌고 있는 오픈AI가 '붕괴 가능성' 2위로 꼽힌 것은 의외의 결과다. 하지만 그 배경을 들여다보면 시장의 깊은 우려가 자리 잡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오픈AI는 올해 13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도 90억 달러의 비용을 소진할 것으로 예측된다. 문제는 미래다. 현금소모율이 계속 유지될 경우 2028년에는 무려 740억 달러(약 102조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온다. 여기에 최근 본격화된 최대 1조 4000억 달러(약 1940조원) 규모의 장기 인프라 투자 계약은 재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매출 대비 3000억 달러(약 415조원)에 달하는 기업가치가 지나치게 부풀려져 있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샘 올트먼 CEO가 최근 "시장 추정치보다 훨씬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반박했지만 시장의 불안감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오픈AI는 수익성보다 기술 선도와 인프라 확보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 중"이라며 "압도적인 기술 우위를 위해 막대한 위험을 감수하는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역설적이게도 오픈AI를 향한 시장의 평가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지금 투자할 수 있다면 어느 비상장 기업을 선택하겠는가'라는 설문에서도 오픈AI는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구글 출신들이 설립해 'AI 안전성'을 무기로 급부상한 앤트로픽이었다. 이는 오픈AI가 안고 있는 막대한 재무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그 기술력과 시장 지배력이 여전히 가장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의 전형인 셈이다. 이날 컨퍼런스 현장에서는 'AI 버블'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엔젤 투자자 엘라드 길은 "닷컴 버블처럼 일부는 거인이 되고 나머지는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고 클라이너퍼킨스의 일리야 푸시먼 파트너는 "모든 기술 사이클은 본질적으로 버블"이라며 이를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진단했다. 한편 오픈AI를 둘러싼 극단적인 평가는 AI 산업 전체가 중대한 변곡점에 서 있음을 시사한다. 기술의 진보를 위해 천문학적인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현 구조가 지속 가능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된 것이다. '가장 먼저 무너질 기업'이자 '가장 투자하고 싶은 기업'이라는 모순된 타이틀은 오픈AI가 앞으로 걸어갈 길이 장밋빛 미래와 아찔한 벼랑 사이를 오가는 외줄타기가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2025-11-17 17:25:27
네이버 최수연 대표, 'AI 거버넌스' 리더십 인정…UNGC 이사 선임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 최수연 대표가 세계 최대 기업 시민 이니셔티브인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이사로 공식 선임됐다. 한국 기업인이 UNGC 이사로 선임된 것은 17년 만이다. 네이버는 18일 이번 선임이 안전하고 책임 있는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제 논의에 선도적으로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앞으로 3년간 이사회 멤버로서 활동하게 된다. UNGC는 전 세계 167개국 2만 5천여 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는 유엔 산하 전문기구로 인권·노동·환경·반부패 등 4대 분야 10대 원칙을 제시하며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지원하고 있다. UNGC는 최 대표가 AI 기술 개발 전 과정에서 윤리 원칙을 확립하기 위한 ‘AI 거버넌스’ 관련 글로벌 논의를 주도해 온 점을 높이 평가했다. 최 대표는 올해 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AI 행동 정상회의’에 참여했으며 2024년 6월에는 AI 시스템의 잠재적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AI 안전성 프레임워크’를 공개한 바 있다. 산다 오잠보 UNGC 사무총장은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디지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원칙을 바탕으로 글로벌 성장전략을 제시하는 리더”라며 “최 대표의 깊은 전문성과 글로벌 리더십이 UNGC 목표 달성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수연 대표는 오는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UN 본부에서 열리는 이사회에 참석하며 AI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국제적 논의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2025-09-18 09:44:4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
2
LGU+·SKT·한화, UAM 사업 전면 재검토..."상용화 지연 탓"
3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4
증시 활황에 빅5 증권사 역대급 실적…내부통제 리스크엔 '경고등'
5
테슬라코리아, 완전자율주행 'FSD' 국내 출시 예고
6
[지다혜의 금은보화] 결제·대출 넘어 생활 속 금융으로…농협은행, '임베디드 금융' 확장 속도
7
부산 진해신항 DL이앤씨 공사 현장서 작업자 사망 호스 파열 충격에 해상 추락
8
'역대 최대 규모' 지스타 2025, 13일 개막…엔씨·넷마블·크래프톤 신작 대전 '초읽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금융경제 레드플래그] 포용금융 역설...고신용자가 외면받는 금융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