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0 수요일
맑음
서울 24˚C
흐림
부산 24˚C
맑음
대구 23˚C
맑음
인천 25˚C
흐림
광주 23˚C
구름
대전 22˚C
흐림
울산 21˚C
맑음
강릉 20˚C
흐림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FBI'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美 당국, 배터리 공장 단속…"수개월 수사 끝 집행"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이민 당국은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배터리회사)에 대한 단속이 수개월 간의 수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불법 체류와 노동에 대한 수사가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슈티븐 슈랭크 국토안보수사국(HSI) 특별수사관은 이날 조지아주 HSI 사무실에서 전날 이뤄진 HL-GA 단속 작전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수사 결과 475명이 체포됐고 이는 법을 위반한 자들에게 책임을 묻고 법치주의를 확립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체포된 이들 중 한국인 직원이 3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슈랭크 특별수사관은 "475명 가운데 한국 국적자가 대다수였다"며 "정확한 국적별 분포는 갖고있지 않지만 추후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SI은 이번 단속이 일회성 조치가 아니라" 불법 체류 및 불법 노동 혐의에 대한 수개월간의 범죄 수사"라고 강조했다. 구금된 이들의 대부분은 조지아주 남동부 폴크스턴 인근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 시설로 이송돼 있다. 이들의 소속에 대해서는 "하청업체와 하청의 하청업체로 이뤄진 네트워크가 존재했기 때문에 이 직원들은 이 현장에 있는 다양한 회사들을 위해 일하고 있었다"며 "모기업 뿐만 아니라 하도급업체 직원들도 포함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슈랭크 특별수사관은 이번 수사 관련, "우리의 노동력을 착취하고 경제를 훼손하며 연방법을 위반하는 자들은 반드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는 분명하고 단호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며 "이번 작전은 요원들이 현장에 진입해 사람들을 모아 버스에 태우는 식의 이민 단속 작전이 아니었고 수개월에 걸친 범죄 수사였다"고 말했다. 이어 "475명은 미국에 불법 체류 중이거나 체류 자격을 위반한 상태였다"며 "이들은 다양한 경로로 미국에 입국했는데 일부는 불법으로 국경을 넘었고 일부는 비자 면제프로그램으로 입국으나 취업이 금지된 상태였다. 비자를 소지했으나 체류기간을 초과한 경우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ATF애틀란타 지부도 공식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HSI(국토안보수사국), FBI(연방수사국), DEA(마약단속국), ICE(이민세관집행국), GSP(조지아주 주 경찰) 등 다른 기관들과 함께 현대차 메가사이트 배터리 공장에서 대규모 이민 단속 작전을 벌였다고 밝혔다. 이는 여러 연방 및 주(州) 단위 법 집행 기관이 참여한 대규모 합동 작전이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한편 정부는 우리국민이 구금된 것에 대해 미국에 항의하고 유감을 표명했다. 또한 주미국대사관 총영사와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의 영사를 현장으로 보내 현장대책반 수립에 나서는 등 바삐 움직이고 있다.
2025-09-06 17:42:26
MS 셰어포인트 '제로데이' 해킹…미·독 정부기관 등 100곳 피해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정부 기관과 기업들이 내부 문서 공유에 사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서버 소프트웨어(SW)를 노린 제로데이 해킹 공격이 발생해 파장이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정부 기관을 포함한 100개 기관이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으며 잠재적 피해 대상은 8000곳이 넘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이번 공격은 MS의 협업 도구인 '셰어포인트(SharePoint)'의 자체 호스팅 버전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해커들은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은 보안 취약점을 이용해 서버에 침투하고 장기간 내부 접근이 가능한 백도어(은밀한 접근 통로)를 심는 방식으로 공격을 감행했다. 셰어포인트가 기업의 핵심 문서 공유와 업무 자동화에 사용되는 만큼 해킹 시 내부 정보 유출 및 조작 등의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 네덜란드 사이버 보안 기업 아이 시큐리티(Eye Security)와 섀도우서버 재단은 조사를 통해 미국과 독일에 있는 다수의 정부 기관을 포함 약 100개 조직이 피해를 입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 보안 전문가는 "이는 명백한 해킹이며 다른 공격자들이 어떤 백도어를 더 심었는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며 추가 피해 가능성을 경고했다. 문제는 이번 공격이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인터넷 장비 탐색 사이트 쇼단(Shodan)에 따르면 인터넷에 연결된 셰어포인트 서버는 8000개가 넘는다. 이들 대부분이 이미 해킹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서버들에는 대형 기업, 은행, 회계법인, 의료 회사 등 민감 정보를 다루는 기관들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MS 측은 보안 업데이트를 이미 제공했다며 고객들에게 즉시 설치할 것을 권장했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성명을 통해 이번 공격을 인지하고 있으며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해킹의 배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025-07-22 09:41:5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AI 자존심 굽힌 애플, '제미나이'로 시리 구한다…핵심 인재는 '이탈'
2
통신 3사 총체적 보안 붕괴… SKT 유심 유출 · KT 결제 해킹 · LGU+ 해킹 의혹
3
[2025 건설포럼] 건설 산업 규제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해법…10일 국회서 논의
4
[K-뷰티, 새 지평 열다] ① K-이너뷰티, 세계를 먹고 바르고 연결하다
5
롯데건설 김해 현장서 또 사망사고…5년간 16명 숨졌다
6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
7
KT, 소액결제 피해 확산에 '사이버 침해' 공식 신고…KISA·경찰 현장조사 착수
8
하루 75건씩 퍼지는 '가짜 성착취물'…내 딸, 내 친구가 타깃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 칼럼] 기관장 임기 대통령과 함께 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