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3 목요일
맑음
서울 9˚C
흐림
부산 10˚C
맑음
대구 12˚C
맑음
인천 7˚C
흐림
광주 9˚C
흐림
대전 9˚C
맑음
울산 7˚C
흐림
강릉 8˚C
흐림
제주 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IBS'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G전자, 美 B2B 가전 시장 60% 성장…3년 내 '톱3' 목표
[이코노믹데일리] 류재철 LG전자 생활가전(HS)사업본부장(사장)은 "앞으로 먹거리는 B2B(기업 간 거래)"라며 "올해 미국 B2B 시장에서 지난해에 이어 60% 이상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류 사장은 25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디자인·건축 박람회 'DCW 202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미국 사업 전략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LG전자는 올해 처음으로 DCW의 양대 전시회인 '주방·욕실 전시회(KBIS)’와 '국제건축전시회(IBS)’에 동시 참가해 토털 공간 솔루션부터 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 라인업을 공개하며 북미 시장 공략 의지를 밝혔다. B2B·고효율 제품·인공지능(AI) 홈으로 연결되는 삼각 축 전략으로 세계 최대 프리미엄 가전 시장인 미국에서 LG전자가 확고한 1위로 자리 잡겠다는 게 류 사장의 의지다. 그는 "3년 이내에 미국 가전 B2B 시장의 '톱3'가 되겠다고 지난해 말했다"며 "빌더(건축업자) 대상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 그동안 영업 조직을 구축하고 배송·설치 인프라까지 보강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 결과 작년 60% 이상의 고성장 성과를 만들었고 이를 모멘텀으로 해 톱3으로 가는 여정이 계획대로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B2B 가전 시장은 전체 미국 생활가전 시장의 약 2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마켓리서치퓨처는 북미 B2B 가전 시장 규모가 오는 2032년 3405억 달러(약 486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류 사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선 "전사적 차원에서 플레이북을 준비해 관세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정해지더라도 그에 맞게끔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불확실성이 크다"면서도 "LG전자는 경쟁사 대비 유리할 수 있는 체제로 대응할 준비를 마쳤다"고 자신했다. AI 전략에 관해서는 "가전 기기 본연의 성능을 AI로 업그레이드하는 동시에 기기 간 연결성도 강화하고 있다"며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고객이 자연스럽게 대화하면 AI가 고객 상황에 맞춰 최적의 상태를 만들어주는 AI 홈이 3월 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2-27 09:20:56
LG전자, 美 최대 디자인·건축 박람회 참가...B2B 공략 박차
LG전자가 25~27일(현지시간)일 열리는 미국 최대 디자인·건축 박람회 'DCW 2025'에 참가한 가운데 모델들이 LG전자 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SKS를 체험을 시연해 보이고 있다.[사진=LG전자] [이코노믹데일리] LG전자가 미국 최대 디자인·건축 박람회 DCW에 참가해 기업간 거래(B2B) 시장을 겨냥한 토털 공간 솔루션과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을 공개한다. LG전자는 25~2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디자인·건축 박람회 'DCW 2025'에 참가한다고 25일 밝혔다. DCW는 미국주방욕실협회(NKBA)가 주최하는 주방∙욕실 전시회 KBIS와 전미주택건설협회(NAHB)가 주최하는 국제 건축 전시회 IBS를 일컫는 통합 전시 명칭이다. LG전자는 올해 처음으로 KBIS 2025와 IBS 2025에 동시 출격한다. 역대 최대 규모(1282㎡) 전시 공간을 구성해 기업간 거래(B2B)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LG전자는 IBS 2025에서 가전, 냉난방공조,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맞춤형으로 제안하는 '토털 공간 솔루션'을 소개한다. 특히 LG 씽큐 애플리케이션(앱)과 연동한 IoT 제품들도 선보여 AI 홈 솔루션을 활용한 사업 기회를 보여줄 계획이다. KBIS 2025에서는 1022m² 규모의 전시 부스에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와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을 선보인다. 앞서 LG전자는 최근 초프리미엄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SKS로 리브랜딩한 바 있다. 핵심 부품 기술력 코어테크를 바탕으로 본원 성능을 강화한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을 구성했다. LG전자는 전시장 곳곳에 AI 홈 플랫폼 LG 씽큐를 활용해 AI 기능이 추가된 씽큐 업, 제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씽큐 케어 등을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하도록 꾸며놨다. 류재철 LG전자 생활가전(HS)사업본부장 사장은 "끊임 없는 기술 혁신을 이어가며 B2B 생활가전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2025-02-25 10:53:5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