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1 금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12˚C
맑음
대구 12˚C
맑음
인천 8˚C
맑음
광주 7˚C
맑음
대전 9˚C
구름
울산 10˚C
맑음
강릉 11˚C
맑음
제주 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IMM인베스트먼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사모펀드 빅5'가 인수한 기업들··· 실적 대비 밸류업 미미
[이코노믹데일리] 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금융감독원의 ‘기관전용 사모집합투자기관 현황’을 통해 지난해 기준 약정액 상위 5개 PEF가 경영권을 소유한 28개 기업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사모펀드 인수 후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증가세에 비해 ROE 증가세는 저조했다. 분석 대상은 한앤컴퍼니, MBK파트너스, 스틱인베스트먼트, IMM프라이빗에쿼티, IMM인베스트먼트 등이다. 국내 상위 5개 사모펀드(PEF)에 경영권이 인수된 기업들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매출·당기순익에 비해 밸류업 핵심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 증가세는 미미했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5일 금융감독원의 ‘기관전용 사모집합투자기관 현황’을 검토해 보니 지난해 기준 약정액 상위 5개 PEF가 경영한 기업들의 ROE는 기업 인수 전 3년 간 평균 10.7%에서 2.9%로 7.4%p 감소했으나, 인수 후 3년 간은 5.3%에서 6.8%로 1.5%p 증가했다. 사모펀드별로 보면 ROE 증가세가 가장 높은 사모펀드는 IMM인베스트먼트로 인수된 기업들의 첫해 ROE가 14.7%에서 2년 후 54.8%로 40.1%p 상승했다. IMM프라이빗에쿼티 인수 기업들의 경우 인수 첫해 ROE 평균이 –7.1%에서 2년 만에 0.3%로 7.5%p 올랐다. 한앤컴퍼니 인수 기업들의 첫해 ROE는 8.0%에서 2년 후 8.7%로 0.7%p 상승했다. 반면 MBK파트너스와 스틱인베스트먼트가 인수한 기업들의 ROE는 하락했다. MBK파트너스의 경우 네파와 홈플러스 영향으로 인수 기업들의 첫해 평균 ROE가 7.0%에서 2년 후 4.8%로 2.3%p 하락했다.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쿠프마케팅의 ROE가 급락하면서 평균 ROE가 10.8%에서 14.5%p 하락한 –3.7%를 기록했다. 사모펀드가 인수한 기업들의 첫해 매출액은 19조6272억원에서 2년 후 21조436억원으로 평균 증가율 7.2%를 보였다. 인수 전 동일 기업들의 매출액 3년 증가율이 4.9%인 것과 비교하면 다소 높았다. 인수 후 3년 평균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사모펀드는 스틱인베스트먼트로 45.4%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IMM프라이빗이쿼티로 인수 첫해 매출액 8082억원에서 2년 후 1조1005억원으로 36.2%의 매출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기업들의 첫해 매출액은 9조2143억원에서 2년 후 9조2937억원으로 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네파, 홈플러스 매출이 급격히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2024-11-05 16:23:5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국내외 화이트햇 해커·보안 전문가 집결… '닷핵 2025' 컨퍼런스, 성황리 개최
3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4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5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역사적 반등'…S&P 500 하루 9.5% 급등
6
LG화학, 분리막 사업 흔들리나…'철수설' 도는 배경은
7
아이폰17 프로, 전작과 비슷..."소비자 수요 감소할 것"
8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