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3 금요일
흐림
서울 20˚C
비
부산 23˚C
비
대구 21˚C
흐림
인천 20˚C
비
광주 18˚C
비
대전 24˚C
흐림
울산 20˚C
흐림
강릉 19˚C
비
제주 2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IP 주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SK텔레콤-경찰청 협력, 4개월간 악성앱 2610건 차단… 1070억 피해 예방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경찰청과 손잡고 악성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범죄 차단에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양측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4개월간 총 2610건의 악성 앱 설치 의심 사례를 확인하고 선제적으로 차단 조치해 약 1070억원 규모의 금융 사기 피해를 예방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기반 탐지 기술과 경찰청의 현장 대응 능력을 결합한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선 SK텔레콤은 AI 모델 분석을 통해 악성 앱 유포 인터넷 주소(URL)가 포함된 문자메시지(스미싱)를 1차적으로 걸러내고 차단했다. 또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전달받은 악성 도메인과 IP 주소 역시 추적하여 접근을 막았다. SK텔레콤은 경찰청의 영장 집행 협조 아래 AI 분석으로 악성 앱 설치 가능성이 높은 고객군을 특정하여 관련 데이터를 경찰청에 제공했다. 주목할 점은 경찰관들이 이 정보를 바탕으로 직접 해당 고객들을 찾아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 앱을 삭제하고 추가적인 금융 사기 피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조치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 차단을 넘어 실제 피해자를 직접 구제하는 적극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악성 앱 등을 악용한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2023년 4472억원에 달하는 등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유포되는 악성 앱들은 연락처나 문자메시지, 위치 정보 등에 대한 과도한 접근 권한을 요구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며 이를 이용한 소액결제 사기나 비대면 계좌 개설 등 금융 범죄로 이어지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곽병일 경찰청 마약조직범죄수사과장은 "최근 카드 배송을 사칭하는 등 새로운 피싱 수법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며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에 접속하거나 의심스러운 앱은 절대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하게 당부했다. 손영규 SK텔레콤 정보보호실장은 "경찰청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악성 앱 설치로 피해를 보는 고객이 줄어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관이 힘을 합쳐 각종 보이스피싱 등 범죄 피해 예방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2025-04-16 10:11:5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정자원 화재] 국토부, '하도급지킴이' 장애에 공사대금 지급 예외 허용 추진
2
새마을금고 알짜카드 'MG+S 하나카드' 다음달 신규 발급 종료
3
국정자원 화재,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서 발화...화재 발생 원인 '촉각'
5
카톡 업데이트 총괄 홍민택 CPO, 사내 공지로 '진화' 나서
6
'행정부판 카카오 사태', 예산에 막힌 정부의 '절반짜리' 재난 대비
7
[국정자원 화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재개…66조원대금 지급 정상화
8
네이버, 업비트 '빅딜'…결제·가상자산 아우르는 '금융 공룡' 탄생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국감에 설 예정인 건설사 CEO들, 책임 공방을 넘어설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