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9건
-
-
-
-
SK텔레콤, AI 데이터센터 차세대 냉각 기술 개발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AI 데이터센터의 핵심 기술인 차세대 액체 냉각 기술 개발을 위해 글로벌 리딩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한다. SKT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5에서 액체 냉각 분야의 선두주자인 기가 컴퓨팅(Giga Computing)과 SK엔무브와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협약은 AI 데이터센터의 핵심 과제인 전력 소모와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냉각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특히 AI 데이터센터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컴퓨팅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냉각 솔루션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다. 기가 컴퓨팅은 AI 서버 개발부터 클라우드·에지 컴퓨팅, 엔터프라이즈 IT 솔루션까지 제공하는 글로벌 테크 기업으로, 직접 액체 냉각(DLC, Direct Liquid Cooling)과 수조형 액침 냉각(ILC, Immersion Liquid Cooling) 기술 등 혁신적인 냉각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SK엔무브는 국내 최초로 액침 냉각 기술을 개발한 기업으로 고급 윤활기유 생산 및 공급 역량을 바탕으로 냉각 플루이드(Thermal Fluids) 설계 및 평가 역량을 갖추고 있다. 3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액체 냉각 성능 최적화를 위한 기술 검증부터 GPU 등 주요 부품 운영 검증, AI 데이터센터용 솔루션 기획까지 광범위한 연구개발(R&D) 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AI 데이터센터 고객의 관점에서 비용 대비 냉각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액체 냉각 기술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냉각 플루이드를 활용해 서버와 주요 부품의 열을 식히는 방식으로 기존의 공랭식 냉각보다 뛰어난 효율성을 자랑한다. 이 기술은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모와 운영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컴퓨팅 성능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3사는 특히 데이터센터 업계에서 적용 중인 세 가지 액체 냉각 방식(직접 액체 냉각, 수조형 액침 냉각, 정밀 액체 냉각)에 대한 엔지니어링 최적화 및 기술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직접 액체 냉각은 AI 서버에 냉각 플루이드가 주입되는 콜드플레이트를 부착해 주요 발열 부위를 냉각하는 방식이다. 수조형 액침 냉각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액체가 담긴 수조에 서버를 직접 담그는 방식이며, 정밀 액체 냉각(PLC, Precision Liquid Cooling)은 서랍형 랙 구조의 솔루션에 냉각 플루이드를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양승현 SK AI R&D 센터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AI 데이터센터의 차세대 주요 기술로 꼽히는 액체 냉각 분야의 솔루션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세계 유수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차별화된 AI 데이터센터 운영 역량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중 SK엔무브 그린사업실장은 “SK엔무브는 이번 협업을 통해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화된 냉각 플루이드를 개발 및 공급해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며 “에너지 효율화 기업(Energy Saving Company)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다니엘 후(Daniel Hou) 기가 컴퓨팅 사장은 “AI와 고성능 컴퓨팅의 발전에 따라 액체 냉각 기술은 지속 가능한 데이터센터 구축의 핵심 기술로 부상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AI 데이터센터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냉각 기술을 공동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2025-03-05 09:47:06
-
-
이종민 SK텔레콤 부사장, "AI, 실질적 효용 입증하는 시대"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25’에서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이며 AI 기술 저변 확대에 나섰다. 이종민 SK텔레콤 미래 R&D 담당 부사장은 “AI가 실질적으로 액팅(Acting)하는 시대가 됐다”고 강조하며, 올해 CES에서 AI의 실질적인 효용을 입증하는 서비스들이 대거 등장했다고 평가했다. 6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이 부사장은 올해 CES의 5대 트렌드로 △버티컬 AI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 △로봇공학 △지속가능성 및 보안을 꼽았다. ‘버티컬 AI’는 특정 산업이나 분야에 특화된 AI 기술을 의미한다. 이 부사장은 AI 서비스가 실질적인 효용을 입증해야 시장에서 선택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효능을 입증하면 엄청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하며, 올해 시장의 평가가 냉정하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SK 그룹은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C, SK엔무브 4개 계열사가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는 주제로 공동 부스를 운영한다. 이 중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DC)와 해외 시장을 겨냥한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를 전면에 내세웠다. 특히, 북미 시장 출시를 준비 중인 ‘에스터’는 단순 검색 및 질의응답을 넘어 사용자의 요청을 인식하고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AI 비서 역할을 수행한다. SK텔레콤은 AI DC 내 분산 발전원 설치를 통한 전력 공급 기술, 액체를 활용한 발열 관리(액체 냉각) 기술, AI DC 인프라 매니저(운영), AI DC 시큐어 에지(보안) 등 AI 데이터센터 솔루션과 더불어 NPU(신경망처리장치) 기반 리벨리온의 AI 가속기도 함께 전시한다. SK하이닉스는 HBM3E 16단 샘플과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등 업계 최고 수준의 메모리 기술력을 선보이며, 차세대 데이터센터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CXL 및 PIM, 이를 모듈화한 CMM(CXL Memory Module)-Ax, AiMX도 공개한다. 이 부사장은 “SK 그룹이 지난해 ‘AI의 가능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올해는 실질적으로 그 가능성을 넘어 AI 프로세서, 하드웨어, GPU, 에너지 솔루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AI 저변을 만들어가는 기술들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번 CES 2025를 통해 AI 기술의 실질적인 효용성을 강조하며, AI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2025-01-07 10:42:38
-
-
AI 토털 솔루션 강조하는 SK, CES2025 혁신 기술 선봬
[이코노믹데일리] SK그룹이 7~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인공지능(AI) 혁신 기술이 가져올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고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강화에 나선다. SK는 CES 기간 중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 홀에서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를 주제로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C, SK엔무브 등 4개 관계사가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SK는 전시관 일부를 회의 공간으로 마련해 AI 관련 선도 기업들과의 비즈니스 미팅 및 소통 창구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전시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비롯해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 등 주요 계열사의 최고 경영진도 방문할 계획이다. 'AI 토털 솔루션'을 강조하고 있는 최 회장과 경영진은 국내외 주요 기업관을 관람하며 첨단 AI 기술 트렌드를 점검하고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 만나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협력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SK는 이번 전시를 통해 '다양한 AI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고 인류 발전에 기여한다'는 사업 비전을 구체화해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최태원 회장은 지난 11월 열린 ‘SK AI 서밋(SUMMIT) 2024’에서 “SK는 반도체부터 에너지, 데이터센터의 구축 운영과 서비스의 개발까지 가능한 전세계에서 흔치 않은 기업”이라며 “SK와 파트너들의 다양한 솔루션을 묶어 AI 보틀넥(병목)을 해결하고 좀 더 좋은 AI가 우리 생활에 빨리 올 수 있도록 글로벌 AI 혁신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AI 사업 비전의 구체화라는 취지 아래 이번 SK 전시관은 AI 데이터센터(DC), AI 서비스, AI 생태계 등으로 구성돼 관람객들이 실제 다양한 AI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시연 중심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SK 관계자는 "이번 CES 전시를 통해, AI 기술이 일상 속으로 들어와 전방위적으로 활용되는 모습과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했다”며 “AI 혁신을 위해서는 다양한 플레이어들과의 협력이 필수적인만큼 앞으로도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들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5-01-06 10:5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