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4 월요일
흐림
서울 6˚C
흐림
부산 10˚C
흐림
대구 7˚C
비
인천 6˚C
비
광주 5˚C
흐림
대전 6˚C
비
울산 8˚C
흐림
강릉 5˚C
흐림
제주 1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X330'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머스크, 본인 AI 기업 xAI에 X 매각…인수액 330억 달러
[이코노믹데일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소셜미디어(SNS) 플랫폼 'X'(구 트위터)를 매각했다. X를 인수한 기업은 머스크의 인공지능(AI) 기업 'xAI'인 것으로 드러났다. xAI는 머스크가 지난 2023년 7월 설립한 AI 기업으로, 오픈AI의 챗GPT에 대응하기 위해 AI 챗봇 '그록'(Grok)을 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그록3를 출시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똑똑한 AI"라고 강조한 바 있다. 머스크는 28일(현지시간)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xAI가 X를 330억 달러(약 48조5000억원)에 인수했다"며 "이번 인수는 전액 주식 거래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거래로 xAI의 가치는 800억 달러, X는 330억 달러로 평가됐다"며 "부채 120억 달러를 합산하면 X의 가치는 450억 달러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 2022년 10월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할 때보다 크게 떨어진 수치다. 당시 트위터의 가치는 440억 달러에 육박했다. 머스크는 X의 가치를 330억 달러로 평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투자 회사 피델리티는 지난해 10월 X의 가치를 인수 당시보다 80% 낮은 수준으로 평가했으나 최근 xAI의 그록이 탑재되며 가치가 크게 상승했다. 블룸버그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X는 지난 2월 440억 달러의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자금 조달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머스크는 이번 인수에 대해 "xAI와 X의 미래는 서로 얽혀 있다"며 "오늘 우리는 데이터와 모델, 컴퓨팅, 배포 및 인재를 결합하는 중요한 첫 발을 내딛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X의 광범위한 영향력과 xAI의 고급 AI 기술이 더해져 더욱 스마트하고 유익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NN은 "최근 몇 개월간 X의 지분을 보유한 xAI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X의 가치도 함께 올랐다"며 "X가 반등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머스크"라고 설명했다. 이어 "머스크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연방 정부 운영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됐으며 빠르게 정부를 재편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고 말했다.
2025-03-29 21:20:4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내외 화이트햇 해커·보안 전문가 집결… '닷핵 2025' 컨퍼런스, 성황리 개최
2
[안서희 제약바이오] SK플라즈마, 인니 혈액제제 CMO 본격화…첫 혈장 국내 도입 외
3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역사적 반등'…S&P 500 하루 9.5% 급등
4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작업자 2명 연락 두절, 지상도로까지 파손
5
'이미르' 매출 대박, '마비노기 모바일' 역주행...국내는 여전히 "MMORPG 전성기"
6
[현장] LG전자, AI데이터센터용 HVAC 공개...냉각 수요 대응 '착착'
7
카카오, 자회사 카카오엔터 경영권 매각 추진… 노조 "사모펀드 매각 반대" 강력 반발
8
베트남, 오몬 제4 화력발전소 EPC 입찰 개시…국내 건설사 컨소시엄 참여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키움증권의 전산장애, 신뢰 추락 막으려면 책임 있는 해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