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9건
-
-
-
-
-
-
-
-
-
-
-
보잉 737-800, 잇따른 사고… 랜딩기어 결함 우려 확산
[이코노믹데일리]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여객기 ‘보잉 727-800’이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같은 이날 같은 기종의 여객기에서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는 랜딩기어(비행기 바퀴 등 이착륙에 필요한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37분 김포공항에서 출발한 제주행 제주항공 7C101편이 이륙 직후 랜딩기어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항공은 이 항공편에 탑승한 161명 승객에게 랜딩기어 문제에 따른 기체 결함을 안내한 뒤 회항했다. 이후 오전 7시 25분에 다시 김포공항에 착륙했다. 항공기를 교체한 뒤 다시 운항할 예정이다. 랜딩기어는 비행 안전과 직결된 필수 장치로 안전한 이착륙을 보장하는 한편 비상 착륙 시 충격을 완화해 준다. 이번 참사에서는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돼 이번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날 회항한 항공편에 투입된 기종은 보잉 B737-800으로 전날 참사가 벌어진 기종과 같다. 제주항공은 41대의 기단 중 39대를 해당 기종으로 운항하고 있다. 보잉 737-800은 국내 항공사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기종이다. 항공기술정보시스템(ATIS)에 따르면 국내 항공사들이 도입한 B737-800은 총 101대다.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대한항공 등 5곳이 있다. 업체별로는 제주항공 39대, 티웨이항공 27대, 진에어 19대, 이스타항공 10대, 에어인천 4대, 대한항공 2대 등이다. 보잉 B737-800의 랜딩기어 결함이 반복적으로 발견되면서 해당 기종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여러 차례 사고가 난 기종이기 때문이다. 2022년 3월 중국 남부 광시좡족자치구에서 추락한 중국 동방항공 MU5735편이 대표적으로 당시 사고로 승객 123명과 승무원 9명 전원이 사망했다. 가장 최근인 지난 3월에는 미국 피닉스로 향하던 알래스카항공 B737-800 객실에서 연기가 감지돼 여객기가 포틀랜드공항으로 돌아간 바 있다. 일각에서는 섣불리 사고 원인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제주항공이 항공기 유지·관리에 소홀했다는 지적은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뉴욕타임스(NYT)는 29일(현지시간) 무안공항에서 추락한 제주항공기가 보잉 737-800으로 전 세계적으로 저비용항공사(LCC)에서 널리 사용되는 모델이라고 밝혔다. 전 세계 보잉 737-800 항공기의 연령은 약 5~27년인데 잘 정비된 여객기는 20~30년 그 이상 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어 NYT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문제의 비행기는 매우 안전하고 좋은 안전 기록을 갖고 있다”며 “유지·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랜딩기어가)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
2024-12-30 11:51:28
-
-
-
-
티웨이 항공 인천-시드니 노선 2년째...평균 90% 탑승률 유지
[이코노믹데일리] 티웨이항공은 자사의 대표 장거리 노선인 인천-시드니 노선이 2022년 12월 신규 취항 이후 2년 동안 '순항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티웨이의 인천국제공항-호주 시드니 노선은 국내 저비용 항공사(LCC) 최초로 신규 취항한 노선으로 신설 이후 현재까지 21만5000여명의 승객을 수송해 평균 90%의 탑승률을 유지 중하고 있다. 티웨이는 장거리 노선 운행을 위해 2022년 2월부터 좌석 사이 복도가 두 개 이상인 광동체 중대형 비행기 'A330-300' 3대를 순차적으로 도입했다. 이후 올해 하반기에 1대를 추가 도입해 총 4대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시드니 노선 외에도 국내선 및 일부 일본 노선, 싱가포르 등 노선에도 같은 기종의 비행기를 투입했다. 투입된 A330-300 비행기는 각도를 조절해 침대처럼 누울 수 있는 플랫 베드형 좌석, 독서등, 넓은 레그룸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세이버 클래스 좌석' 12석을 갖췄다. 티웨이는 "이코노미석에서도 역시 인체 공학적 설계와 넓은 공간의 좌석, 전자기기 홀더, USB 포트 등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신규 항공기 도입 이후 화물 운송 분야에서도 실적을 올렸다. 벨리 카고 스페이스(비행기 하부 격납 공간) 활용을 통해 전자, 자동차 부품 등 대형 화물을 항공 화물 탑재 용기로 수송할 수 있게 되면서 인천-시드니 노선의 올해 화물 운송 실적은 약 1700t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는 작년 실적인 859t의 2배 정도다. 티웨이는 내년 상반기 중으로 B777-300ER 2대, A330-200 1대, A330-300 1대를 추가 도입해 하계 스케줄부터 로마, 파리 등 유럽 4개 노선을 증편하고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캐나다 벤쿠버 노선까지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티웨이 관계자는 "대형기 도입을 통한 노선 다각화로 여객 운송과 화물 사업 모두 효율적인 수송에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도 최상의 안전 운항을 기반으로 승객들이 편안하고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2024-12-23 13:4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