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요일
맑음 서울 17˚C
맑음 부산 19˚C
맑음 대구 19˚C
맑음 인천 16˚C
맑음 광주 16˚C
맑음 대전 16˚C
맑음 울산 17˚C
맑음 강릉 16˚C
흐림 제주 18˚C
금융

차 부품 비용 급증...'보험금 누수' 손보사 고민 커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혜지 기자
2019-07-03 08:36:59

보험사로부터 지출되는 자동차 부품비용이 급증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동차 보험에서 지급하는 부품비용이 수입차를 위주로 지난해 12.5% 급증했다. 보험금 지출이 심해 손해보험사 고민이 커지고 있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상위 4개 손해보험사가 지난해 수리비로 지급한 보험금 가운데 부품비용은 2조3664억원으로 1년 전(2조1027억원)에 비해 12.5% 증가했다.

국산차와 수입차 부품비는 전년보다 각각 8.4%, 20.5% 증가한 1조5073억원, 8591억원에 이른다. 이는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부품비가 비싼데다 등록 대수가 꾸준히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개별 부품값의 증감률을 따져보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국산차 인상률이 가파르다. 올해 1∼5월 국산차 5개사에 지급한 평균 부품가격은 21만8340원으로 지난해보다 3.7% 올랐다. 특히 현대·기아차의 인상률은 각각 4.5%, 5.1%로 르노삼성(2.8%) 등 다른 업체보다 두드러지게 높다.

자동차 부품비는 '물적담보'의 보험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이 같은 부품가격 상승세는 결과적으로 자동차 보험료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손보업계는 보험금 누수를 막기 위한 개선방안을 찾는 데 고심하고 있다. 정비업체의 '대체부품 설명의무' 이행을 강화하고, 지난해 도입된 자동차보험 대체부품 특약 환급률을 끌어올리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자동차관리법은 정비업체가 차주에게 대체부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알려줘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지키는 업체는 매우 드물다.

지난해 2월 소비자가 차량을 수리할 때 '순정부품' 대신 '인증부품'을 쓰면 부품값의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주는 자동차보험 특약 상품이 출시됐지만, 이를 활용해 환급받은 건수는 1년간 9건에 불과한 실정이어서 손보사 고민이 커지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투자증권
신한금융지주
db
한국투자증권
신한은행
포스코
삼성증권
NH투자증
씨티
KB국민은행
카카오
삼성화재
한화투자증권
스마일게이트
우리은행
삼성전자
SC제일은행
DB손해보험
교촌
한화
NH
롯데캐슬
하나금융그룹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