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연관성이 있는 DLF·DLS와 관련해 최근 은행권에서 원금 손실이 잇달아 터지자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액은 9957억원으로, 전달 보다 49.8% 줄어든데다 발행건수 역시 242건으로 38.9% 감소했다. 발행액 기준 2016년 1월 8587억원 이후 3년 7개월 만에 바닥을 찍은 셈이다.
원금이 보장되는 DLS의 8월 발행액은 9991억원으로 전월보다 7.2% 감소에 그쳐 비보장형과 대조를 이뤘다. 원금비보장형은 원금보장형보다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위험도 상대적으로 크다는 게 중론이다.
DLS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상품인 주가연계증권(ELS)과 달리 금리, 신용, 원자재, 환율 등을 기초자산으로 활용하는 파생결합상품이다.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기간 정해진 구간에서 움직이면 약속한 수익률을 지급하고 해당 구간을 벗어날 경우 원금 손실을 보는 구조가 특징이다.
DLF 논란이 사그러들지 않자 DLS 발행도 원금비보장형 상품을 중심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DLF 사태와 관련한 최대 쟁점으로 상품을 취급한 은행들의 불완전판매 여부가 거론된다. 금융감독원은 현재 특별조사를 이어가고 있고 조만간 중간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검사 진행 상황을 설명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이후 검사는 계속 진행되므로 이번에 확정적인 입장이 나오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금감원의 검사 결과와 국정감사에서 제기되는 의견 등을 참고해 10월 말즘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