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19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작년 12월 취업자는 2천715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51만6천명 늘어났다. 이는 5년 4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최악의 수준을 보였던 2018년 9만7천명과 비교하면 큰 폭의 증가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8%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20대, 50대 이상에서 올랐다.
그러나 40대는 16만2천명 감소, 2015년 10월 696만6000명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 11월까지 49개월 연속 감소세다. 30대 취업자 수도 1년 전보다 5만3천명 감소했다.
반면 60대 이상은 37만7천명 증가했다. 정부가 재정을 들여 직접 만든 일자리 사업이 효과를 거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 해 12월 늘어난 취업자의 90% 이상인 47만 9천명은 60대 이상 노인 일자리에서 나왔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지난해 11월 종료 예정이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추가경정예산 투입으로 12월까지 늘어나면서 전체 일자리 증가를 끌어올리는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사진=통계청]
작년 실업자는 106만3천명으로, 2016년 이래 4년째 100만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실업률은 3.8%로 1년 전과 같았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8.9%로 전년보다 0.6%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13년(8.0%)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특히 20대 후반(25∼29세) 실업률은 8.0%로 0.8%포인트 낮아졌다. 그러나 청년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지난해 22.9%로 2015년 집계 이래 최대였다.
작년 연간 산업별 취업자를 보면 제조업(-8만1천명), 도매 및 소매업(-6만명), 금융 및 보험업(-4만명) 등에서 감소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6만명), 숙박 및 음식점업(6만1천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6만명) 등에서 늘었다.

8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0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를 찾은 학생과 구직자들이 채용 관련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취업시간대별 취업자를 보면 주 1~17시간 일하는 초단기 근로자가 30만1천명 늘었다. 18~35시간 근로자는 10만9천명 감소했고, 36~44시간 근로자는 68만3천명 늘었다. 45시간 이상 근로자는 57만8천명 줄었다. 주당 평균취업시간은 0.8시간 줄었다. 시간제 등 단시간 일자리 증가와 전반적인 근로시간 단축 추세 영향으로 풀이된다.
자영업자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8만1천명 늘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1만4천명 줄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2만4천명 감소했다.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1631만8천명으로 전년보다 3만1천명(0.2%) 증가했다. 가사(-13만7천명·-2.3%), 재학·수강(-12만7천명·-3.3%), 육아(-1만5천명·-1.3%) 등에서 감소했으나 쉬었음(28만8천명·12.8%) 등에서 증가했다. 취업준비자는 74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5만4천명(7.8%) 늘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혁신성장전략회의 모두 발언에서 “작년 한 해 고용지표는 연말로 갈수록 회복 흐름이 더욱 공고화해 양과 질 양측에서 모두 큰 폭의 회복세를 보인 ‘일자리 반등의 해’였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작년의 고용 개선 흐름이 올해도 지속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총집중하는 한편 제조업·40대 등 취약분야 개선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