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은 지난해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을 조사한 결과, 모든 상가 유형에서 시장 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가 하락했다고 25일 밝혔다.
중대형 상가 임대가격지수는 3분기 대비 0.2%, 소규모 상가는 0.24%, 집합상가는 0.13% 각각 떨어졌다. 부동산원은 코로나19 회복에도 불구, 경기둔화 우려와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영업환경 악화로 전체 상가 유형에서 임대료가 전분기보다 내렸다고 분석했다. 2021년 4분기와 비교하면 중대형과 중소형 상가 임대가격지수는 각각 0.33%, 0.52% 하락했다.
반면 4분기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보다 0.18% 올랐다. 오피스는 프라임급 오피스의 신규 공급 제한과 우량 임차인의 오피스 수요가 지속된 덕분이다. 스타트업·IT기반 업종 등의 성장으로 수요 대비 공급이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쳤다. 4분기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1년 전에 비해서는 0.41% 증가했다.
공실률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경기 변동에 민감한 상가는 중대형 상가의 경우 공실률이 13.2%로 3분기(13.1%)보다 소폭 늘었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도 3분기 6.8%에서 4분기 6.9%로 증가했다. 집합은 9.4%로 나타났다.
반면 오피스 공실률은 3분기 9.6%에서 4분기에는 9.4%로 소폭 감소했다. 특히 서울 오피스 공실률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6.2%를 기록했다. 도심권 오피스 공급 제한으로 임차 대기 수요가 발생하고, 접근성이 좋은 강남 테헤란로는 공실률이 3.3%에 그쳤다. 경기도는 5.6%로 서울보다 더 낮았다. 판교테크노밸리 오피스 임차 수요가 있는 분당역세권의 공실률은 4.2%였다.
경기 침체 속 상업용 부동산 시장 내 지역별 희비도 엇갈렸다. 서울은 오피스텔, 중대형 상가의 임대가격지수가 상승했다. 특히 중대형 상가 임대가격지수는 서울 외 시도에서는 모두 하락했다.
서울은 용산역 상권의 '용리단길' 활성화, 외국인 유입이 늘어 회복하는 명동 상권을 중심으로 중대형 상가 임대가격지수가 전분기 대비 0.02% 올랐다. 반면 충북은 제천중앙, 제천역 상권에서 인구 고령화와 장기 공실로 상권 회복이 부진해 중대형 상가, 소규모 상가 임대가격지수가 각각 0.48% 떨어졌다.
3개월간의 부동산 보유에 따른 투자 성과를 나타내는 투자수익률은 거래 시장 위축과 투자 수요 감소 등으로 모든 유형에서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오피스는 1.02%, 중대형 상가는 0.84%, 소규모 상가는 0.80%, 집합 상가는 1.0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