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대웅제약 '펙수클루', 전문의약품 처방액 1년 만에 315% 성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서희 기자
2024-05-13 13:54:43

2030년까지 매출 3000억원 달성 및 '1품 1조' 비전 실현 예고

 펙수클루 제품사진사진대웅제약
펙수클루 제품사진[사진=대웅제약]

[이코노믹데일리] 대웅제약 신약 ‘펙수클루’가 지난해 가장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대웅제약에 따르면 P-CAB(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 대세로 자리잡은 ‘펙수클루’는 지난해 국내 원외처방시장에서 처방액 성장 1위를 기록했다.

유비스트(UBIST)에 따르면, 펙수클루 처방액은 2022년 129억원에서 406억원 증가해 지난해 535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성장률은 무려 315%에 달한다. 반면 국내 전문의약품 상위 10개 품목의 처방액 증가는 평균 230억원에 그쳤다. 펙수클루는 이들보다 두 배 가량 더 성장했다.

대웅제약 펙수클루는 국내 P-CAB 시장 후발주자였지만, 국내 전문의약품 중에서 가장 많이 가장 높게 성장하며 사실상 대세로 자리잡았다.

지난 2022년 7월 출시한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는 P-CAB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기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H2RA(히스타민-2 수용체 길항제) 제제와 PPI(프로톤펌프저해제) 제제의 단점을 개선해 매우 빠르고 안정적으로 위산 분비를 억제한다. 특히 펙수클루는 반감기가 9시간으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중 가장 길다.

대웅제약은 신약 펙수클루의 광폭 행보 비결에 압도적인 약효를 꼽았다. 또한 야간 속쓰림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고 식사 여부와 관계 없이 1일 1회만 복용하면 되기 때문에 환자 편의성도 대폭 개선됐다. 더불어 과도하게 분비된 위산이 식도 점막을 자극해 나타나는 만성 기침 증상도 완화시킨다. 

펙수클루는 압도적인 약효를 바탕으로 출시 후 현재까지 월 평균 8.6% 성장했다. 발매 2년 차인 지난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 점유율 2위를 달성했다. 지난 3월까지 누적 처방액 833억원을 기록하며 처방액 1000억원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한편, 대웅제약은 지난 4월 종근당과 펙수클루 공동 판매 파트너십을 맺고, 국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 1위 도약을 예고했다. 빠른 속도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펙수클루에 양사의 영업·마케팅 역량을 집중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3세대 위장약 ‘P-CAB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겠다는 목표다.

여기에 향후 적응증 확대와 급여 확대까지 이뤄진다면 펙수클루는 더욱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펙수클루의 국내 적응증으로는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급성·만성위염 위점막 병변 개선이 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로 인한 궤양 예방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HP)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NERD) 치료 후 유지 요법 등 적응증 확대를 위한 추가 연구를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위염 적응증 급여 확대를 앞두고 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펙수클루는 그간 우수한 약효와 탄탄한 임상 근거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왔다”며 “종근당과의 협업, 적응증과 급여 확대 등을 통해 본격적인 도약을 이뤄내고 2030년까지 매출 3000억원 달성 및 ‘1품 1조’ 비전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DB그룹
신한금융그룹
여신금융협회
수협
KB증권
SK하이닉스
KB금융그룹3
포스코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
KB금융그룹2
교보증권
KB금융그룹1
신한은행
종근당
한국투자증권
KB국민은행
NH
롯데케미칼
농협
삼성전자 뉴스룸
KT
동아쏘시오홀딩스
신한카드
엘지
한국조선해양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