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투데이 포커스] 中 자동차 산업, 3천만 대 생산은 기본...양적 성장 넘어 '스마트화' 전환 잰걸음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7.07 월요일
흐림 서울 27˚C
맑음 부산 25˚C
맑음 대구 27˚C
안개 인천 25˚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6˚C
흐림 울산 26˚C
흐림 강릉 28˚C
맑음 제주 25˚C
신화통신

[투데이 포커스] 中 자동차 산업, 3천만 대 생산은 기본...양적 성장 넘어 '스마트화' 전환 잰걸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张晓洁,高亢,印朋,王全超
2025-01-16 15:15:32
지난해 6월 7일 충칭(重慶)시 량장(兩江)신구에 위치한 싸이리스(賽力斯·SERES) 슈퍼팩토리에서 출고를 앞둔 신에너지차. (사진/신화통신)

(베이징=신화통신) 중국 자동차 산업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스마트화 전환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자동차 생산∙판매량은 각각 3천100만 대를 돌파하며 2년 연속 3천만 대를 넘어섰다. 그중 신에너지차의 연간 생산∙판매량은 각각 1천200만 대를 웃돌아 처음으로 1천만 대를 돌파했다.

중국 자동차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급증하는 한편 제조 기술과 제품의 국산화도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중국 승용차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의 누적 점유율은 60%를 돌파하며 전년 대비 8.6%포인트 증가했다. 지난해 10월 중국 국산 브랜드 승용차의 판매 점유율은 70%를 넘어섰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0.4%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한때 20만 위안(약 4천만원)은 중국 자동차 브랜드의 '가격 한계선'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수십만 위안(10만 위안=2천만원)대를 넘어서 100만 위안(2억원)대 시장까지 공략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 브랜드는 지속적으로 밸류체인 고급화를 추진하며 점차 더 많은 핵심 기술과 제품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중국 신에너지차의 빠른 발전세도 눈에 띈다. 지난해 7월 중국의 신에너지 승용차의 월간 소매 판매량은 처음으로 내연기관차를 앞질렀으며 이러한 상승세는 몇 달간 이어졌다. 그리고 지난해 11월, 신에너지차의 연간 생산량이 처음으로 1천만 대를 돌파했다. 연간 생산량 1만 대에서 100만 대를 넘어서는 데 6년이 걸렸고 다시 6년 만에 100만 대에서 1천만 대로 뛰어올랐다. 이는 중국이 자동차 대국에서 자동차 강국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견고한 발걸음을 내디뎠음을 입증하는 대목이다.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녹색 물결 속에서 리튬∙코발트 등 핵심 원자재의 공급에서부터 배터리∙모터 등 핵심 부품의 제조 그리고 완성차의 생산과 판매에 이르기까지 중국은 완전하고 효율적인 신에너지차 산업 생태계를 구축했다.

자동차가 점차 '메이드 인 차이나'와 '스마트한 메이드 인 차이나'의 교차점이 되면서 스마트화 추세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중국 승용차의 L2급(자율주행) 신차 침투율은 55.7%에 달했다. 그중 내비게이션 보조 주행 기능을 갖춘 신차의 침투율은 11%였다. 중국에서 자율주행 기술이 점점 더 보급되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 9일 충칭(重慶)시 위베이(渝北)구에 위치한 창안(長安)자동차의 디지털스마트 공장 조립 작업장에서 자동화 생산이 한창이다. (사진/신화통신)

운전자의 주행 습관을 모방하고 차량 사용 과정에서의 지시 사항을 보조하는 등 자동차가 운전자의 말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자동차가 인공지능(AI) 기술 응용의 핵심 분야가 됐다며 자동차의 스마트화가 소비자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화 추세 속에서 기존의 자동차 부품도 변혁과 업그레이드를 거듭하고 있다. 실례로 지난해부터 스마트 섀시 분야에서는 상하이자동차(上海汽車·SAIC) 산하 브랜드 즈지(智己)자동차의 링시(靈蜥) 디지털 섀시, 지리(吉利)자동차의 AI 디지털 섀시 등이 잇달아 등장해 자동차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한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업체와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개발업체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점차 자동차 제조에 참여하게 되면서 AI 파운데이션 모델이 속속 자동차에 '탑재'되고 있다. 이제 자동차는 전자, 컴퓨팅, 센서, 시청각 등 여러 기술을 일원화한 '대형 종합 단말기'로 진화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올 하반기 신에너지차가 AI, 스마트 드라이빙 등 분야에서 더 많은 경쟁을 펼칠 것이기 때문에 관련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전망한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CJ
이마트_데일리동방
KB국민은행_3
우리카드
LG
하나금융그룹
대신
kb
kb_3
SK하이닉스
KB국민은행_4
sk
LG
하나증권
kb_2
빙그레
kb증권
e편한세상
신한라이프
sk네트웍스
KB_1
kb_4
우리은행_1
쿠팡
삼성
셀트론
KB손해보험
동아쏘시오홀딩스
LG생활건강
우리은행_2
미래에셋자산운용
NH투자증
DB그룹
농협
NH농협
SK
KB국민은행_2
kb_5
한국투자증권
롯데카드
위메이드
메리츠증권
KB
삼성증권
벤포벨
롯데건설
KB국민은행_1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