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목요일
맑음 서울 -2˚C
흐림 부산 -1˚C
흐림 대구 -2˚C
맑음 인천 -3˚C
광주 -1˚C
구름 대전 -0˚C
구름 울산 1˚C
맑음 강릉 -2˚C
제주 4˚C
건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 제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석진 기자
2025-02-06 08:10:57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사진부영그룹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사진=부영그룹]
[이코노믹데일리]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유엔군의 희생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기 위해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을 제안했다.
 
유엔데이는 국제 평화와 안전을 목표로 국제연합(UN)이 창설·발족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국제연합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부터 1975년까지 공휴일로 지정되어 기념하였으나 북한이 1975년까지 유엔 산하의 여러 기구에 공식적으로 가입하게 되자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1976년 공휴일을 폐지한 바 있다.
 
6일 부영그룹에 따르면 이 회장은 부영태평빌딩에서 대한민국의 미래와 희망을 위해서 역사를 되돌아볼 필요성을 역설하고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에 대한 감사와 후대에 이어질 시대정신을 강조하며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유엔군은 낯선 땅에서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고, 그 희생 위에 대한민국이 존재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엔군의 희생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하여 그 시대 정신을 후세에 지속적으로 물려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현재 유엔참전유산은 전 세계에 두 곳이 있으며 모두 우리나라에 있다. 유엔 창설 70주년을 맞아 용산 전쟁기념관에 설치된 6·25 유엔 참전국 상징기념물과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변경 전 명칭 유엔기념묘지)이다.
 
이 회장은 6.25전쟁 당시 우리를 도와준 참전용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담아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 2.7m 높이에 23개(우리나라 포함) 유엔참전국 참전비 건립비용을 지원한 바 있다. 서울시도 광화문 광장에 6·25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담은 ‘감사의 정원’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이 회장은 총 5권의 역사서를 집필하며 후대에 역사 바로 알리기를 실천하고 있다.
 
그 중『6·25전쟁 1129일』은 올바른 역사를 알리고자 주관적인 해석을 배제하고 사실 그대로를 나열하는 ‘우정체 방식’으로 저술하여 국내외 기관과 해외 참전국에 1천만 부 이상 무상 기증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우리은행_1
NH
우리은행_2
종근당
하나카드
쿠팡
농협
신한은행
하나금융그룹
KB손해보험
KT
신한금융
여신금융협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