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월은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으며 지반이 약해져 각종 공사장·시설물 안전사고가 잦아지는 시기다.
이번 특별안전점검에서는 서울시가 발주한 건설 공사장 312개소 전체를 대상으로 전수 안전 점검이 이뤄진다.
자치구에서 허가를 받은 민간 건설공사장 4019개소의 경우 현재 공사 중인 현장을 조사한다.
아울러 민간 건설공사장 중 대형 공사장 5개소, 서울시 산하 공사·공단 건설공사장 중 2개소를 임의로 선정해 안전 감찰도 추진할 예정이다.
점검 기간은 다음 달 28일까지 약 5주 간이다. 건축·구조·토목 기술사, 관련 분야 교수 등 외부 전문가가 합동 점검한다.
주요 점검 내용은 떨어짐·부딪힘·맞음·쓰러짐·화재 등 주요 사고 유형 관련 규정 위반 여부, 가림막·펜스·신호수·공사장 안내표지 등 시민 안전 보호 시설 준수 여부, 해빙기 연약 지반으로 인한 지하 매설물 파손 여부와 흙막이 구조물 안전성, 안전 보호구 착용과 공사 가시설 설치 등 건설 근로자 안전 확보 이행 실태 등이다.
점검에서 발견된 가벼운 지적 사항과 긴급한 위험 시설 등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 조치한다. 중대한 사항은 공사 중지나 시정 명령, 행정 처분 등 조치를 취한다.
본격적인 점검에 앞서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17일 오전 중구 소재 대형 공사장을 찾아 직접 현장 안전 점검을 시행했다.
한 실장은 "서울시는 건설공사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반복 안전 점검은 물론 안전 취약 시기에는 특별 안전 점검도 추진하고 있다"며 "건설공사장에서 더는 안타까운 인명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관 협조 체계를 유지하면서 안전 사각지대가 없도록 더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