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요일
맑음 서울 15˚C
맑음 부산 15˚C
맑음 대구 19˚C
맑음 인천 13˚C
맑음 광주 11˚C
흐림 대전 11˚C
흐림 울산 13˚C
맑음 강릉 15˚C
맑음 제주 15˚C
산업

"美 생산車, 부품 절반 이상 수입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지영 기자
2025-05-04 14:48:38

부품 수입 비율, 벤츠 90%ㆍBMW 73%

7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던독 해양 터미널에서 운송을 기다리는 차량들 사진EPA·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던독 해양 터미널에서 운송을 기다리는 차량들. [사진=EPA·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개시한 가운데 미국에서 생산된 차에 사용되는 부품 중 50%가 수입품인 것으로 조사됐다.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등록된 551개 차종 중 미국에서 만들어진 169개의 금액 기준 부품 수입 비율을 분석한 결과 50%를 넘었다고 전했다.

부품 수입 비율은 독일 메르세데스-벤츠가 90%로 매우 높았으며 BMW도 73%다. 미국 업체인 포드, 제너럴모터스(GM)는 60%, 현대자동차는 60%를 밑돌았다.

닛산이 미국에서 판매하는 주력 차종인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로그는 부품 수입 비율이 75%나 됐다.

엔진은 일본, 변속기는 멕시코에서 각각 조달했는데 닛산은 일본에서 생산했던 로그 일부를 미국에서 만드는 것을 검토 중이다.

닛케이는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를 피해 미국으로 생산지를 이전해도 부품 대부분을 수입하면 관세 영향이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완성차의 생산 이전뿐만 아니라 공급망 전체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2년간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완화하는 조치를 발표했지만 자동차 공급망이 워낙 복잡한 탓에 2년 동안 관세 면제 해법을 찾기는 쉽지 않아서다.

자동차 부품 관세는 일본 산업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일본이 미국에 수출한 자동차 부품 액수는 전년 대비 14.4% 증가한 11조6천억원이었다.

닛케이는 "지난달 일본 자동차 부품 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세 부담이 커졌다고 응답한 29개 기업 중 55%가 미국 관세 관련 비용을 제품 가격에 전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국민카드
LX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_1
한화
국민은행
미래에셋
종근당
DB손해보험
신한은행
우리은행_2
NH투자증
NH
관세청
DB그룹
대원제약
jw
신한금융지주
SK하이닉스
KB증권
메리츠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