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ED 대선 포커스] 대선 후보들, 제약·바이오 공약 경쟁…AI·규제완화·인재육성 '차별화 전략'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5.22 목요일
흐림 서울 19˚C
흐림 부산 19˚C
흐림 대구 18˚C
구름 인천 17˚C
흐림 광주 18˚C
흐림 대전 20˚C
흐림 울산 17˚C
흐림 강릉 19˚C
흐림 제주 21˚C
생활경제

[ED 대선 포커스] 대선 후보들, 제약·바이오 공약 경쟁…AI·규제완화·인재육성 '차별화 전략'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서희 기자
2025-05-21 19:46:12

AI 기술·민간 자율·인재 양성 등 후보별 차별화 전략 눈길

산업계 "실현 가능한 실행안 중요"…공약 이행 여부 주목

 왼쪽부터 이재명 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사진연합뉴스
(왼쪽부터) 이재명 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다가오는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을 위한 공약을 제시하면서 업계와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제약·바이오 분야가 고부가가치 국가 전략산업으로 부상한 만큼 후보 간 정책 차별성과 실행 가능성이 정책 판단의 주요 기준이 되고 있다.
 
2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각 대선 후보들은 기술 혁신과 인재 양성, 규제 완화, 민간 주도 산업 확대 등을 골자로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 방안을 내놨다.
 
이재명 후보는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AI 기술과 바이오헬스의 융합을 내세웠다. 이 후보는 100조원을 투자한 K-바이오헬스케어 육성에 100조원 규모의 투자를 공약하며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과 실증을 지원하고 AI 데이터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세계적인 AI 허브를 구축을 약속했다.
 
또한 AI 단과대학 설립을 통해 융합형 인재를 양성과 디지털 치료제 및 정밀의료 기술 확대 등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이 미래 기술 주도국으로 자리잡기 위해선 바이오와 AI의 결합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김문수 후보는 산업 전반의 규제 완화를 통한 제약·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강조했다. 제약 바이오 산업이 규제 산업인 만큼 정부의 과도한 개입보다는 민간 주도의 자율적 발전을 강조하며 기업의 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중점을 둔 공약을 제시했다.
 
특히 대통령 직속 ‘대한민국 미래기술 3+1 위원회’ 설립을 통해 바이오, AI 데이터, 바이오 파운드리를 연계한 신약 개발 생태계 구축을 제안했다. AI, 양자 컴퓨터를 활용한 신약이 떠오르고 있는 만큼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혁신 신약 개발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준석 후보는 현재까지 제약·바이오 산업 관련 직접적인 공약은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이재명 후보가 강조한 AI 기반 산업 정책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이 후보는 특히 ‘엔비디아 국유화’ 발언을 문제 삼으며 국가 주도의 경제 전략이 시장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고령화·희귀질환 대응, 감염병 대비 등 미래 보건 전략의 핵심축이다. 동시에 글로벌 신약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어 후보들이 내세우는 정책 방향은 업계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제약 업계는 “이제는 단순히 연구개발을 넘어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전략과 지원 정책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실현 가능한 정책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DB그룹
신한은행
국민은행
DL이엔씨
하나금융그룹
미래에셋
메리츠증권
NH
NH투자증
SK하이닉스
우리은행_2
KB증권
국민카드
대원제약
국민은행
DB손해보험
농협
LX
종근당
한화
우리은행_1
신한금융지주
수협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