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DI 기흥사업장[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카(CAR)멜레온 코너는 다양한 몸의 색깔을 띠는 카멜레온처럼 차(車)와 관련해 독자들이 궁금해 할 만한 다양한 소식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와 관련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전기차(EV)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각형, 파우치형, 원통형 등 각기 다른 형태의 배터리가 탑재돼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각형 배터리는 690GWh(기가와트시)로 가장 많이 사용됐으며 파우치형은 117.6GWh, 원통형은 91.7GWh의 사용량을 보이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지난 2020년 70.8GWh에서 지난 2021년 176.9GWh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지난 2022년 354.3GWh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 후 세 종류의 배터리 중 가장 급격한 성장 속도를 나타내며 전기차에 가장 많이 탑재되고 있다.
각형 배터리가 전기차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배터리 수명이 가장 길고 외부 충격에 강하기 때문이다. 각형 배터리는 단단한 알루미늄 캔에 배터리의 내용물을 담고 뚜껑을 덮어 레이저로 용접한 뒤 밀봉한다.
또한 각형 배터리는 열전도도가 좋아 열 방출이 우수하다. 배터리 충전, 방전 시 열이 발생하는데 열을 제대로 배출하지 않으면 배터리 내부에 열이 축적돼 배터리 수명 단축이나 내부 손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각형 배터리는 우수한 열 방출 성능으로 보다 안전한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각형 배터리는 에너지밀도가 높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로써 삼성SDI 등에서는 각형 배터리를 다양한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아우디, 현대차·기아, 폭스바겐 등 글로벌 기업들은 삼성SDI의 각형 배터리를 일부 모델에 탑재하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삼성SDI는 인터배터리 2025에서 안전성에 중점을 둔 자사의 각형 배터리 기술을 소개한 바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각형 고용량 배터리에 알루미늄 캔 타입을 적용해 안전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차(EV)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각형, 파우치형, 원통형 등 각기 다른 형태의 배터리가 탑재돼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각형 배터리는 690GWh(기가와트시)로 가장 많이 사용됐으며 파우치형은 117.6GWh, 원통형은 91.7GWh의 사용량을 보이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지난 2020년 70.8GWh에서 지난 2021년 176.9GWh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지난 2022년 354.3GWh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 후 세 종류의 배터리 중 가장 급격한 성장 속도를 나타내며 전기차에 가장 많이 탑재되고 있다.
각형 배터리가 전기차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배터리 수명이 가장 길고 외부 충격에 강하기 때문이다. 각형 배터리는 단단한 알루미늄 캔에 배터리의 내용물을 담고 뚜껑을 덮어 레이저로 용접한 뒤 밀봉한다.
또한 각형 배터리는 열전도도가 좋아 열 방출이 우수하다. 배터리 충전, 방전 시 열이 발생하는데 열을 제대로 배출하지 않으면 배터리 내부에 열이 축적돼 배터리 수명 단축이나 내부 손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각형 배터리는 우수한 열 방출 성능으로 보다 안전한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각형 배터리는 에너지밀도가 높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로써 삼성SDI 등에서는 각형 배터리를 다양한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아우디, 현대차·기아, 폭스바겐 등 글로벌 기업들은 삼성SDI의 각형 배터리를 일부 모델에 탑재하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삼성SDI는 인터배터리 2025에서 안전성에 중점을 둔 자사의 각형 배터리 기술을 소개한 바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각형 고용량 배터리에 알루미늄 캔 타입을 적용해 안전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