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요일
서울 27˚C
흐림 부산 28˚C
흐림 대구 30˚C
흐림 인천 27˚C
구름 광주 28˚C
대전 28˚C
구름 울산 29˚C
강릉 27˚C
흐림 제주 29˚C
금융

[금융패러다임 변화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금융운용의 미래를 만들어가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유명환 기자
2025-08-26 06:08:00

디지털 플랫폼 개편·글로벌 ETF 성장

글로벌 ETF 시장 '400조원 시대' 개척

미래에셋자산운용 최창훈왼쪽·이준용 각자 대표이사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최창훈(왼쪽)·이준용 각자 대표이사.[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이코노믹데일리] ※ 금융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빅테크와 핀테크의 확장, 초저금리의 종료, 각종 규제 강화와 완화 움직임 속에서 은행, 보험, 증권, 카드 등 전통 금융업계는 지금 거대한 전환의 소용돌이 한가운데 서 있다.

더불어 금융소비자들의 요구는 다양해지고, 산업 경계가 허물어지며 새로운 경쟁이 촉발되고 있다. 금융업권의 미래 전략과 당면 과제를 점검하고, 변화의 핵심을 짚어보는 동시에 금융 패러다임의 변화가 불러올 기회와 위기를 살펴봤다. <편집자주>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5년간 디지털 혁신,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AI 기반 운용 전략 강화 중심으로 자산운용 업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금융 패러다임 전환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홈페이지 전면 개편을 통해 디지털 플랫폼 혁신을 선도했다.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검색엔진 최적화(SEO),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제공 강화로 투자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또한 유튜브·블로그·SNS 콘텐츠와 연계한 디지털 콘텐츠 허브 구축, 그리고 딥링크를 통한 주요 판매사와의 원스톱 매수 연계 기능을 도입하며 디지털 투자 여정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글로벌 ETF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자산운용 규모를 비약적으로 키웠다. 지난 5월 기준 글로벌 운용자산 400조원 돌파를 선언하며, ETF 중심의 글로벌 확장의 책임자로 자리매김했다. 

이와 함께 블룸버그와의 데이터·기술 협업을 통해 자산운용의 디지털 전환 및 데이터 솔루션 역량도 강화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 중이다. 

AI를 단순한 보조 기술이 아니라 생존 전략으로 정의하며 운용의 패러다임을 바꿔왔다. 최용민 본부장은 투자 모델 다양성과 효율성 확보를 위해 AI가 과거 데이터를 학습하고 전략을 다변화하는 핵심 요소임을 강조했다. 

또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데이터 중심의 펀드 전략 전개를 위해 퀀트 기반 운용 인력과 엔지니어를 지속 채용하며, 도메인 지식과 AI 역량 간 통합을 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디지털 플랫폼 혁신, 글로벌 ETF 기반 자산 확장, AI 기반 전략 고도화를 통해 자산운용 산업의 패러다임 자체를 재구축하고 있다.

자산운용 업계 관계자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단순 자산관리사를 넘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운용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는 곧 한국 금융업 전체가 나아갈 방향을 먼저 그려낸 모델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과실비율정보포털
NH농협
KB금융그룹_1
미래에셋자산운용
롯데
종근당
kb_2
한화
우리은행_1
농협
현대
IBK
KB_1
농협
한미그룹
KB금융그룹_3
NH농협은행
kb_3
KB
삼성자산운용
신한투자증권
우리은행_2
동국제약
SK증권
컴투스
KB금융그룹_2
kb
신한금융
신한은행
메리츠증권
부영그룹
하나금융그룹
국민카드
미래에셋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