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7일 종가 기준 TIGER CD1년금리액티브(합성) ETF 순자산은 1조530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달에만 약 50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최근 CD 1년물 금리의 급격한 상승 덕분이다. 지난 27일 기준 CD 1년금리는 2.93%로 전월(2.55%)에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TIGER CD1년금리액티브 ETF는 국내 최초 CD 1년물 금리를 추종하는 금리형 ETF다.
CD 1년물 금리를 일할 계산해 매일 복리로 반영하며 기간이나 조건 없이 단 하루만 투자해도 CD 1년물 하루 금리를 수익으로 얻을 수 있다.
해당 상품은 CD 1년물 금리의 급격한 상승세 속에 '고금리 파킹형 ETF'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높지만 이달 초까지 CD 91일물 금리가 CD 1년물 금리보다 더 높은 이례적인 역전 현상이 이어졌다. 이후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며 현재는 역전 현상이 정상화됐고 단기금리, 특히 CD 1년물 금리가 빠르게 상승 중이다.
또한 중도 해지 시 약정이율의 일부만 지급되는 등 제약이 있는 예금과 달리 유동성도 우수하다.
만기·조건 제약 없이 투자기간만큼 CD1년 금리 누적분을 그대로 받을 수 있어 단기 유휴자금이나 투자 대기자금 운용에 적합하다. 채권을 직접 편입하는 머니마켓펀드(MMF)와 달리 비교지수를 기초로 하는 스왑을 편입하는 구조로 금리 상승 시 자본손실 우려도 없다.
총보수는 연 0.0098%로, 국내 상장된 동일 유형의 금리형 ETF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금리형 ETF 특성상 보수 등 기타 비용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커 투자자들의 실질수익률 상승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분배락에 대한 부담도 없어 효율적인 투자처로 평가받고 있다. 올해 시행된 소득세법에 따라 채권형 ETF는 반드시 연 1회 이상 분배를 실시해야 한다. TIGER CD1년금리액티브 ETF를 포함한 TIGER 채권형 ETF는 이달 연간 분배를 이미 완료해 향후 1년 동안 분배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김동명 미래에셋자산운용채권 ETF운용본부장은 "TIGER CD1년금리액티브(합성) ETF는 연 단위 분배금 지급으로 매월 분배금 지급에 따른 기준가 하락이나 세금 징수에 대한 우려를 줄였으며 채권형 ETF 분배 관련 투자자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9월부터 TIGER ETF 홈페이지 공지 등을 통해 안내를 진행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금리가 불안정한 가운데 고금리 파킹형 상품을 찾는 투자자라면 기간·조건·중도해지에 대한 부담 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수취할 수 있는 TIGER CD1년금리액티브(합성) ETF를 고려할 만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5대 제약사 톺아보기②] 종근당, 궁본약방에서 글로벌 기술수출 기업으로…제2 도약기 맞은 84년의 성장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28/20251128153616816955_388_136.pn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