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퇴직연금 수익률 상위 1500명의 운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최근 1년 평균 수익률은 38.8%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 수익률 4.2%와 비교하면 약 9배 높은 수준이다.
이들은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을 80% 가까이 유지하면서도 대기성 자금을 확보해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했다. 또한 조선·방산·원자력 등 국내 테마 상장지수펀드(ETF)를 선제적으로 담는 등 적극적 운용 전략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이날 은행·증권·보험 3개 권역에서 3년 이상 계좌를 유지하고 적립금 잔고가 1000만원 이상인 DC 가입자를 대상으로 '퇴직연금 고수'를 선정했다. 연령대별로 나눈 뒤 각 연령대에서 수익률 상위 100명씩 총 1500명을 집계했다.
연령대별 1년 수익률은 40대가 50.8%로 가장 높았고 50대 49.6%, 30대 44.7% 순이었다.
30대 미만은 13.5%로 가장 낮았으며 60대 이상은 24.9%였다. 3년 평균 수익률 역시 40대(21.3%)가 가장 높았고 50대(18.7%), 30대(18.2%) 순으로 나타났다.
고수들의 자산 구성은 실적배당형 79.5%, 원리금보장형 20.5%였으며 이 가운데 대기성 자금이 8.6%를 차지했다. 금융권역 별로는 △은행권 80.2% △증권권 83.6% △보험권 73.4% 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기성 자금을 일정 수준 유지해 시장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투자 테마도 뚜렷했다. 상위 펀드 대부분은 국내 테마형 ETF로 상위 10개 중 8개가 ETF였다.
국내 펀드는 조선·방산·원자력 등 특정 산업 중심이었고 해외 펀드는 미국 빅테크 편중이 확인됐다. 성과가 높았던 상품은 △K방산 ETF(연 173.1%) △조선TOP3플러스 ETF(연 140.5%) △원자력 iSelect ETF(연 43.6%) △중공업 ETF(연 99.3%) △테슬라 밸류체인 ETF(연 50.9%) 등이다.
특히 40대 고수들은 조선·방산·중공업·원자력 등 국내 핵심 산업과 테슬라 관련 성장 테마 ETF를 고루 담아 안정적 수익을 기록했다. 50대도 유사한 구성을 보이며 테마 중심 포트폴리오를 유지했다.
이들은 자동 자산배분에 의존하지 않고 특정 산업군을 직접 선택하고 비중을 조정하는 전략을 썼다. ETF 비중은 75.1%, 공모펀드는 24.9%였으며 타깃데이트펀드(TDF)는 상위 보유 상품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시장 흐름에 맞춰 개별 테마와 섹터를 선택하고 비중을 수시로 조정하는 적극적 운용 전략이 효과를 발휘한 것이다.
연령대별 전략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시장 흐름을 반영해 포트폴리오를 조정했다.
30대 미만은 미국 대형지수 중심 분산투자를 선호했으나 30대 이상부터 국내 산업형 테마 ETF 비중이 급격히 확대됐다. 60대 이상은 테마 ETF에 고배당 펀드와 중국 관련 펀드를 일부 편입하며 안정성과 분산을 함께 추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고수들의 투자 노하우를 참고해 '나의 노후는 내가 책임진다'는 자세로 퇴직연금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보다 윤택한 노후생활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크래프톤 심층해부 ③] 크래프톤, 2.4조 투자·146개 출자사…문어발 확장, 기회인가 리스크인가](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11/26/20251126092508471580_388_136.jpeg)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