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6 화요일
흐림
서울 24˚C
흐림
부산 31˚C
흐림
대구 34˚C
흐림
인천 25˚C
맑음
광주 29˚C
흐림
대전 28˚C
구름
울산 30˚C
흐림
강릉 27˚C
구름
제주 33˚C
검색
검색 버튼
ihj1217@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친환경 선박에서 빠르게 추격해 오는 중국 조선사들…수소 인프라 세계 1위
정부 지원으로 세계 1위를 지키는 중국 조선업계가 액화천연가스(LNG), 메탄올 등 대체 연료 선박 수주 시장에서도 수주 점유율을 높이며 한국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LNG 추진선 시장에서 한국과의 점유율 역전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은 지난달 12일 발표한 ‘해운 중간 대체 연료의 환경 리스크와 한·중·일 연료 활용 계획’에서 이 같이 밝히며 LNG 추진선의 경우 지난해 8월 이후 중국이 52.8%의 수주 점유율을 차지한 반면 한국은 44.6%에 그쳤다고 밝혔다. 중국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전략 정책인 ‘중국제조 2025’에 조선업을 포함시킨 후 기초 역량 강화, 품질 및 생산 역량 발전 등에 막대한 정부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벌크선 위주로 편성돼 있던 제품 라인이 2021년 이후 컨테이너선, LNG 운반선 등으로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한국은 2021년까지 대체 연료 추진선 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차지하며 중국 대비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으나 2022년 이후 중국의 점유율이 급격히 상승하며 두 나라간 격차는 5~6%p 수준으로 줄었다. 그러다 지난해 8월 이후 한국을 뛰어넘는 역전 현상까지 일어났다. 전문가들은 저탄소 연료 추진선 시장이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중국이 빠른 속도로 한국의 실적을 추격한 데다, 심지어 추월하는 강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고 말한다. 이은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의 선박 기술이 한국을 뛰어넘었다고 볼 수는 없다”면서도 “중국이 LNG 추진선을 건조했고 이를 선사들이 운항하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특히 중국이 수소 에너지 산업 중장기 계획 등 청정 연료 생산을 위한 계획을 구체화하고 정부가 청정 수소 생산도 적극 지원하면서 국제 해운 탈탄소를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상당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중국은 2022년 기준 4004만t(톤)의 수소를 생산하면서 세계 최대 수소 생산국에 등극했다. 이와 관련해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수석 연구원은 “중국은 현재 뿐 아니라 앞으로도 재생에너지 투자 세계 1위 국가로 압도적인 재생에너지 발전 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돼 청정 연료의 핵심 소재인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이 세계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러한 공급 능력은 향후 자국 해운업 경쟁력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2024-09-17 09:30:03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 3년만에 증가…1년새 35조원 늘어
올해 서울 아파트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시가총액도 작년보다 35조원 이상 증가했다. 17일 부동산R114가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시세 기준)을 집계한 결과 9월 현재 1189조4800억원으로 작년 말(1154조500억원)보다 3.07%(35조4300억원) 늘었다.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2021년 1214조6600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뒤 금리 인상과 거래 급감으로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다 올해 들어 정부 정책 대출 지원과 시장 금리 인하로 거래량이 늘고 아파트값이 크게 오르면서 시가총액도 다시 증가한 것이다. 9월 현재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이 2561조9500억원으로 작년보다 49조3000억원(1.96%)가량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전체 시가총액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가운데 재건축 대상 아파트의 시가총액 증가폭은 전체 평균 이하였다. 서울지역 재건축 추진 아파트 시가총액은 약 235조3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2%(약 5조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공사비와 금리 인상,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시행 등으로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과거에 비해 재건축 단지의 인기가 떨어지고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영향이다. 이밖에 인천 재건축 단지의 시가총액이 작년보다 0.86% 증가했으나 경기(-0.30%), 부산(-1.90%), 대구(-2.17%) 등지는 재건축 시가총액이 지난해보다 감소했다.
2024-09-17 09:26:55
현대차그룹, 독일서 전기차 '톱5'…현지공장 없는 車업체 중 1위
현대자동차그룹이 독일을 포함한 유럽 현지에서 전기차 수요가 주춤한 상황에서도 등록대수 기준으로 '톱 5'에 포함되며 주목받고 있다. 17일 자동차 전문매체 클린테크니카는 현대차·기아가 올해 6∼8월 독일에서 전기차 신규 등록대수 8638대를 기록하며 완성차 업체 기준으로 5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 매체는 독일 연방도로교통청(KBA) 자동차 신규 등록대수를 자동차 제조업체(OEM)별로 분류해 공개했다. 독일 최대 자동차 업체 폭스바겐(3만4074대)과 BMW(1만3812대), 메르세데스-벤츠(1만84대) 등 독일 업체가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독일에 공장이 있는 테슬라는 9천488대로 4위를 했다. 독일에 공장을 두고 있지 않은 외국 OEM으로는 현대차그룹이 가장 높은 순위에 오른 가운데 현대차 간판 전기차 아이오닉5가 독일 시장에서 실적을 이끌어낸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오닉5는 올해 6∼8월 독일에서 3242대 신규 등록됐다. 지난 3개월 현대차·기아의 독일 전기차 전체 등록대수(8638대)의 37.5%에 해당하는 수치다. 독일 정부가 최근 폭스바겐 사태 수습책으로 전기차 세액공제를 일부 부활한 점이 현대차·기아의 현지 전기차 판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된다. 독일 3당 연립정부는 지난 4일 기업이 전기차를 구입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내용의 세제 개편안을 각료회의에서 의결했다. 세액공제는 지난 7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구입한 전기차에 적용된다.
2024-09-17 09:25:16
처음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끝
다른 기자의 최신 기사
[부고] 문성유(전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씨 빙부상
지다혜 금융부
동성제약 경영권 분쟁 일단락…'4대3 이사회' 구도 속 향후 전망은
안서희 생활경제부
네이버웹툰·디즈니, 디지털 만화 플랫폼 공동 개발…디즈니, 웹툰엔터 지분 2% 인수
선재관 IT온라인부
[데일리 증권 브리프] 삼성자산운용, KODEX K원자력SMR·K방산TOP10레버리지 ETF 신규 상장 外
정세은
[단독] 삼성전자, 헤드셋·스피커 출시 '초읽기'...오디오 명가 거듭난다
조재훈 산업부
"자유로운 축제의장"…현대차그룹 제로원, '2025 제로원데이' 개최
류청빛
보안 우려에도… 로봇청소기 시장, 중국 기업 '싹쓸이
김다경 산업부
[보험업계 스냅샷] DB손보, 법무법인(유) 지평과 사이버 사고 대응 위한 MOU 체결 外
방예준 금융부
삼성전자, '개인 맞춤형 기능 제공' One UI 8 업데이트 시작
장소영
현대건설, 이라크서 30억달러 해수 처리 플랜트 수주…올해 국내 건설사 최대 규모
한석진 건설부동산부
美·中 무역협상 진전에 뉴욕증시 강세…S&P·나스닥 사상 최고치
유명환 금융증권부
홈플러스 노조, 5개월 만에 "노숙 농성 중단"
최용선 생활경제부
[서평] 윤석열 몰락의 기록–대통령이 대한민국을 공격했다
박경아 논설위원
현대오토에버, CP 리더 서약으로 준법경영 강화
정보운
태영건설, 부산 '서면 어반센트 데시앙' 12일 견본주택 오픈… 23일 1순위 청약 접수
차유민
[김아령의 주간 패뷰레터] 한섬 동남아 시장 진출, 무신사 오드타입 말레이 공략
김아령 생활경제부
[편집인 칼럼] 기관장 임기 대통령과 함께 해야
양규현
[로컬ZOOM] 인천, 명절 앞두고 식육 안전성 확보에 만전
권석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