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상영IT온라인부
sang@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EV트렌드] 질주 끝낸 전기차 '충전 중'…車 빠지고 충전기 '집결'
전기차(EV) 전문 박람회인 'EV 트렌드 코리아 2024'가 6일 개막했다. 초반 시장 형성기를 끝마친 전기차 업계가 충전 기술 개발과 편의성 향상에 집중하는 가운데 올해 EV 트렌드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두드러졌다.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EV 트렌드에는 현대자동차와 기아, 채비, 모던텍, LG유플러스, LG전자 등이 주요 후원사로 참여했다. 이와 함께 전동화 모빌리티 기업과 충전기·부품 제조사, 충전 서비스 업체 총 86곳이 전시 부스를 마련했다. 전시장 입구는 개막식을 한 시간여 앞둔 오전 9시 무렵부터 등록을 기다리는 관람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대다수는 EV 트렌드와 함께 진행되는 세계 최대 이차전지 박람회 '인터배터리 2024'를 같이 둘러보기 위해 발걸음했다. 개막식이 시작한 10시께 대기줄은 100m 넘게 길어지기도 했다. 올해 EV 트렌드는 전기차 자체보다는 충전이 화두였다. 완성차 업체 중에는 현대차·기아만 참여했다. 반면 LG전자와 LG유플러스, 이브이시스(EVSIS), 채비(Chaevi) 등 충전기를 선보인 부스가 전시장을 메웠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5 부분변경 모델과 코나 일렉트릭 N 라인 차량을 전시했다. 고성능 전기차인 아이오닉 5 N은 EV 트렌드 주관 'EV 어워즈 2024'에서 '대한민국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됐다. 기아는 현재 판매 중인 전용 전기차 3종(레이 EV, EV6, EV9)을 모두 들고 나왔다. 기아 부스는 스마트폰으로 구매한 디지털 사양이 EV9 차량에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로 적용되는 과정을 보여줘 눈길을 끌었다. EV9은 EV 어워즈에서 '소비자 선정 올해의 전기차'로 뽑혔다. LG전자는 주택용 7킬로와트(㎾) 완속, 상업용 100·200㎾ 급속 충전기를 공개했다. 이들 제품은 영하 25℃부터 영상 40℃에 이르는 혹한과 무더위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IP65 등급 방수·방진과 IK10 내구성을 갖췄다. 이는 먼지가 많고 비가 내리는 환경에서 버틸 수 있고 5㎏짜리 물체를 40㎝ 거리에서 떨어뜨려도 이상이 없음을 의미한다. LG유플러스는 전기차 충전 브랜드 '볼트업'을 선보였다. 부스에서는 충전기 설치 공간을 절약해 기존 주차장 면적과 같은 수준으로 설비를 구축한 모습이 공개됐다. 주차장 기둥에 설치된 단말기에서 충전 용량을 설정해 결제하면 천장에 내장된 충전기가 자동으로 내려오고, 이를 차량에 연결하는 시연이 진행됐다. 롯데그룹 계열 충전 플랫폼인 이브이시스는 스마트폰과 개인용 컴퓨터(PC), 충전기를 연동해 앱에서 예약·대기·결제, 월 구독이 가능한 서비스를 내놨다. 또한 태양광 전지판을 달아 전력 일부를 자체 조달하는 초급속 충전기를 공개했다. 오는 8일까지 사흘간 열리는 EV 트렌드에는 △전기차 관련 기술 공유의 장인 'EV 360도 콘퍼런스' △충전 인프라의 미래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들어보는 'EVuff@EVTrend' △전기차·배터리 업종 투자 전망을 소개하는 'EV & 배터리 투자 세미나' 등 부대 행사도 이어진다.
2024-03-06 15:12:12
-
-
-
-
현대차·기아 내수 점유율 90% 굳히기…'신차'에 장사 없다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들어서도 내수 시장에서 점유율 90%를 달리고 있다. 수입차를 제외한 수치로, 이른바 완성차 5사 가운데 중견 3사로 분류되는 르노코리아·KG모빌리티·GM한국사업장 점유율을 다 합쳐도 10%가 채 안 되는 과점 경향이 짙어지는 모습이다. 4일 각 사가 발표한 올해 2월 판매량 집계에 따르면 완성차 5사는 국내에서 총 9만9254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 1월 10만2719대보다 3.4% 감소한 것이다. 2월 일수가 적은 데가 설 연휴까지 끼면서 판매량이 줄어든 영향이다. 회사별로 2월 판매량을 보면 현대차는 전월 대비 4.3% 감소한 4만7653대를 판매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6.7% 줄었다. 조업일수 감소와 더불어 아산·울산 공장이 설비 공사에 들어가며 아반떼와 그랜저 같은 차종이 예년만큼 생산되지 못했다. 기아는 4만4076대를 기록했다. 전월(4만4608대)보다 1.2%, 전년 대비로는 12.0% 판매량이 줄었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쏘렌토와 미니밴 카니발이 각각 8671대, 7989대 팔리며 실적을 이끌었으나 전기차 보조금을 확정하지 못하면서 전기차 판매가 90% 이상 감소했다. 이들 회사의 판매량은 줄었지만 점유율은 상승했다. 현대차·기아 합산 점유율은 지난 1월 91.9%에서 2월 92.4%로 올랐다. 이 기간 현대차 점유율은 소폭 떨어졌는데 기아가 판매량 방어에 성공하며 비중을 끌어올렸다. 나머지 중견 3사 중에서는 르노코리아만 판매량이 늘었다. 르노코리아는 1월 1645대에 그쳤으나 지난달에는 1807대로 9.8% 더 팔았다. 다만 전년(2218대)과 비교하면 18.5% 줄어든 수치다. 르노코리아는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며 월 2000대 안팎의 판매량에 머무른 상태다. KG모빌리티는 2월 3748대를 판매하며 1월(3762대)과 비교해 거의 변화가 없었다. 1년 전보다는 절반가량 판매량이 줄었다. GM한국사업장은 1월(3762대)보다 31.9% 감소한 1970대에 머물렀다. 준중형급으로 덩치를 키운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1447대로 내수 판매 대부분을 차지했다. 현대차·기아와 중견 3사 간 점유율 격차가 커진 데에는 '신차 효과'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은 세단부터 SUV, 상용차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보유했을 뿐더러 3년 안팎 주기로 각 차종마다 부분변경과 완전변경 모델을 내놓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하반기에만 싼타페, 투싼, 제네시스 GV80 등을 출시했고 이 기간 기아는 쏘렌토, K5, 카니발을 선보였다. 그 결과 내수 시장에서 현대차·기아 점유율은 2022년 88.6%에서 지난해 91.4%로 90%를 돌파했다. 중견 3사로서는 판매량(생산량)이 적어 신형 모델 개발에 많은 자원을 투입하지 못하고, 신차 가뭄이 다시 판매 저조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형국이다. 주력 차종에 하이브리드 모델을 추가한 점도 점유율 90%를 고착화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현대차·기아는 중형 SUV인 싼타페와 쏘렌토는 물론 스타리아, 카니발 등 다목적차량(MPV)까지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구동계)를 갖췄다. 올해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주춤할 것으로 예상되며 하이브리드차 쏠림 현상은 더 강해질 전망이다. 한편 내수·해외를 합친 글로벌 판매량은 60만7744대를 나타냈다. 1년 전보다 3.5% 감소하며 저조한 성적을 냈다. 해외 판매는 2.8% 감소한 기아를 제외하고 나머지 4개사가 모두 개선됐다.
2024-03-05 09:56:18
-
-
-
-
-
-
경총 "고령화 시대 맞춰 인사·보상 시스템 개편해야"
고령화 시대를 맞아 기업 인사 관리 방식도 전략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중장년 직원 고용을 유지하기 위한 재교육과 수요 응답형 채용, 그리고 보상 시스템 개편과 고령자 적합 직무 개발 등이 대응 방안으로 제시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정기간행물 '임금·HR(인적 자원)연구 2024년 상반기호'를 발간했다. 책자는 '고령화 시대 기업의 전략적 인사 관리 방안'을 주제로 학계·현장 전문가, 기업 실무자의 견해와 선도 기업 사례가 수록됐다. 경총은 "고령화에 따른 기업의 급격한 인력 구조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임금·HR연구 상반기호 주제를 고령화로 정하고, 국내·외 기업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을 전달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주제발표를 맡은 김주수 머서코리아 부사장은 "우리나라의 급속한 고령화는 채용에서부터 보상 시스템, 일하는 방식, 그리고 업무 구조에 이르기까지 경영 전반에 걸쳐 전례없는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기업 HR 전략의 선제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계속 고용을 위한 '업스킬(숙련 향상)'과 '리스킬(재교육)', 직무 수요에 맞춘 채용 등을 고령화 대응 전략으로 언급했다. 김 부사장은 또한 이들 제도를 도입한 시스코, 유니레버, 화이자 사례를 소개했다. 연구논단에서는 △손애리 콘페리 상무 △한준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이수영 고려대 특임교수 △반가운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홍종선 경총 근로기준정책팀장 △장재혁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가 임금체계·조직문화 개편, 임금피크제 체크포인트, 정년 후 재고용 기대권 관련 판례 검토 등을 다뤘다. 손애리 상무는 "고령 인력의 계속 고용과 적정한 보상을 위해서는 기존 연공적 성격에서 벗어나 성과를 토대로 처우가 결정되는 보상 시스템으로 변화해야 한다"면서 "고령 인력에 적정한 업무를 부여하기 위해 직군·직종별 역할 단계를 도입하고 그에 맞춘 평가와 승급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고 했다. 홍종선 팀장은 "임금피크제는 연공성 임금체계 실태를 감안해 고령자 실직을 예방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입된 제도"라며 "연령 차별이 아닌 연령 상생을 위한 제도라는 점에서 유효성을 폭넓게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고령화 문제를 겪은 일본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에 따르면 1994년 60세 정년을 의무화한 일본은 모든 근로자를 의무적으로 65세까지 고용하는 법을 2012년에 만들었다. 사실상 정년을 65세로 늘리기까지 무려 18년이 걸린 셈이다. 이와 관련해 하 본부장은 "당시 일본의 고령화율(24.1%)은 한국(2023년 19.0%)보다 훨씬 높은 상황이었다"며 "우리도 입법을 서두르기보단 기업이 고령자 계속 고용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4-03-04 17:04: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