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진건설부동산부
sjhan0531@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
-
제약업 실적 가른 전문약…HK·한미 '웃고', 유한·녹십자 '울고'
전문의약품 매출 호조와 공동 판매(코프로모션) 특수를 톡톡히 본 상당수 제약업체가 실적 개선을 이뤘다. 반면 연구·개발(R&D) 비용 증가로 일부 기업은 역성장에 그쳤고, 특히 의대 정원 갈등 논란이 이어지면서 2분기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HK이노엔의 1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173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06% 급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은 2126억원으로 같은 기간 15% 증가했다. HK이노엔의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은 1분기 국내 원외처방 실적이 452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한미약품은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76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7.9% 성장했고 매출도 4037억원으로 같은 기간 11.8% 늘었다. 한미약품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로수젯', 고혈압 치료제 '아모잘탄 패밀리'의 원외처방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7.8%, 3.9% 증가했다. 대웅제약은 1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312억원, 매출 2966억원을 기록하며 1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 처방액이 올해 1분기 17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7% 성장했다. 제약사 간 의약품 공동 판매 효과도 실적에 반영됐다. HK이노엔과 보령은 올해부터 케이캡과 고혈압 치료제 '카나브'를 공동 판매한 효과가 반영되며 실적이 호조를 보였다. 보령은 공동 판매 효과와 전문의약품 매출 성장에 기반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163억원, 매출 2336억원을 기록했고, HK이노엔은 카나브를 포함한 순환기 계열 전문의약품 매출이 57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6.6%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와 달리 종근당은 골다공증·고혈압 치료제 등 기존 품목과 신제품이 고르게 성장했지만, 2019년부터 HK이노엔과 진행한 케이캡 공동 판매가 종료된 가운데 1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268억원으로 1년 전 대비 11% 감소했다. 유한양행·GC녹십자 등은 연구·개발비 증가가 실적 악화 요인이었다. GC녹십자는 미국 내 자회사를 통해 면역글로불린 혈액제제 '알리글로'를 출시하는 과정에 투입된 마케팅·고정비, 자회사 국내외 임상 진행에 따른 연구·개발 비용 증가 등에 따라 1분기 15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작년 1분기 대비 10.5% 손실 폭이 늘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오는 7월 미국에 알리글로가 출시되면 3분기부터는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한양행은 1분기 연구·개발 투자가 작년 동기 대비 106억원 증가한 가운데,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97.4% 급감한 6억원에 그쳤다. 이런 가운데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의정갈등과 이로 인한 대형 병원의 휴진 등의 여파가 제약사들의 2분기 실적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유경 신영증권 제약·바이오 연구원은 "전공의 파업 본격화가 3월부터였기 때문에 1분기 실적에의 반영은 제한적이었다"며 "6월까지 지속되면 2분기 실적은 온기로 영향받는 기업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오 의약품 기업 가운데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15% 이상 늘어난 2213억원, 매출은 31.35% 증가한 9469억원으로 모두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공장 매출 기여도와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사업이 성장하며 실적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2024-05-06 16:05:49
-
-
-
삼성전자, 성수기 앞두고 에어컨 판매·배송·서비스 '준비완료'
삼성전자가 여름 에어컨 성수기를 맞아 판매와 배송, 서비스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고객의 편의성을 위한 역량을 강화한다고 6일 밝혔다. 먼저 판매를 담당하는 삼성스토어에서는 시스템(천정형), 홈멀티(스탠드형·벽걸이형), 창문형 에어컨 등 다양한 유형의 무풍에어컨을 설명할 수 있는 전문 매니저를 두고 1대 1 상담으로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제품을 추천한다. '2024년형 비스포크 무풍에어컨 갤러리' 신제품의 음성인식, 부재 절전, 부재 건조 등의 인공지능(AI) 기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모바일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집에 도착하기 전 AI 쾌적 모드를 작동하는 '웰컴 에어 케어' 기능도 체험해 볼 수 있다. 에어컨 배송을 담당하는 삼성전자로지텍은 고객이 에어컨을 주문하면 바로 다음 날 설치할 수 있도록 전국에 구축된 실습장 22곳에서 실제 제품을 활용한 제품 설치 교육으로 숙련도를 높였다. 고객 응대 교육도 강화한다. 또 에어컨 설치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 장비 착용을 의무화하고, '안전 지원단'을 통해 감시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 활동을 한다. 삼성전자서비스는 전문 서비스 엔지니어 외에도 기술강사, 사무직 등 가용할 수 있는 인력을 대상으로 에어컨 기술 역량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을 이수한 인력은 에어컨 서비스 신청이 가장 많은 6∼8월에 투입될 예정이며, 지난해보다 20% 이상 많은 인력을 고객 응대에 활용할 계획이다. 서비스 엔지니어들의 작업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 '수리 안전 보조 인력'도 작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할 예정이다. '수리 안전 보조 인력'은 엔지니어와 동행해 서비스 현장에서 작업 안전성 확보, 수리 작업 보조 등의 역할을 한다. 고객 가정에 서비스 엔지니어가 방문하지 않고 원격으로 제품을 점검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에어컨 원격 상담 서비스도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다가오는 여름을 맞아 고객이 에어컨 구매를 고민하며 매장에 방문하는 순간부터 제품을 배송받고 사용하면서 수리·점검 등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까지 모든 과정에서 더 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국내 누적 1천만대를 돌파한 무풍에어컨의 생산라인을 풀가동하고 있다. 한편, 삼성스토어에서 오는 31일까지 에어컨을 구매하면 최대 100만 포인트 지급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2024-05-06 14:47:08
-
"최저가 아니네"…알리, 국산 대비 고가 '수두룩'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의 초저가 마케팅이 거짓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상품과 가격 비교 결과 상당수가 고가인 것으로 밝혀지면서다. 한국소비자원이 생필품 30개 품목을 대상으로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국내 이커머스 간 할인이 적용된 최종 표시 가격을 비교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우선 상품 대부분을 직접 매입해 판매하는 이커머스 플랫폼인 쿠팡에서 1만3070원에 내놓은 안성탕면 20개 묶음이 알리익스프레서에선 45.4% 비싼 1만9000원에 나와 있다. 켈로그 콘푸로스트(600g) 3개 묶음 가격은 1만3390원, 코카콜라 오리지널 무라벨(370㎖) 24개들이 상품 가격은 2만1760원으로 쿠팡보다 각각 470원, 1800원 비쌌다. 필수 식재료 중에서는 하얀설턍(3㎏·4개), 백설 갈색설탕(1㎏·3개), 백설 포도씨유(900㎖·2개), 해표 식용유(1.8L·2개), 해표 카놀라유·해바라기유(각 900㎖·각 3개), 해표 순창궁 재래식된장(1㎏·2개), 곰표 밀가루 중력다목적용(3㎏·6개) 등이 비싸게 팔렸다. 생활용품의 경우 리스테린 토탈케어 플러스(750㎖) 4개 묶음 상품이 3만6800원으로 쿠팡(2만5600원) 대비 1만 원 이상 가격 차이가 났다. 이외에 존슨즈베이비 로션 핑크(500㎖·2개), 뉴트로지나 리랙싱 바디로션(450㎖·2개), 질레트 포오미 센서티브스킨 쉐이빙폼(175g·6개), 아비노 데일리 모이스처라이징 바디워시(532㎖·2개), 헤드앤숄더 애플 프레쉬 샴푸(850㎖·3개), 히말라야 핑크 솔트 담은 치약(100g·6개) 등의 상품 가격이 더 높게 형성됐다. 알리익스프레스와 같은 오픈마켓(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해주는 온라인 장터) 구조인 G마켓이나 11번가와 비교해도 비싼 품목이 꽤 눈에 띄었다. G마켓과 비교해보면 알리익스프레스에선 물티슈 베베숲 프리미어 70매 캡(20팩)은 3060원, 다우니 아로마 플로럴 섬유유연제(8.5L)는 530원 각각 비쌌다. 깨끗한나라 순수 프리미엄 27m 30롤(2팩) 가격도 G마켓은 3만1790원인데 반해 알리익스프레스는 3만8900원으로 22.4% 높았다. 이외에 빙그레 맛있는 콩두유(200㎖) 24개 들이와 스팸 닭가슴살(200g) 10개 들이 상품도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비싼 가격에 팔렸다. 생필품 외에 가전·디지털 제품도 마찬가지다. 삼성전자 오디세이 G7 S28BG700 4K UHD 28인치 스마트 게이밍 모니터와 LG그램 노트북 14ZD90S-GX56K는 G마켓 가격이 알리익스프레스보다 각각 1만원, 10만원 낮았다. 뱅앤올룹슨 베오플레이 포털 그레이 프리미엄 블루투스 게이밍 헤드폰 역시 G마켓이 알리익스프레스보다 2만6000원 저렴했다. 이밖에 11번가에서는 오뚜기 옛날 참기름(500㎖·2개), 몽베스트 생수(1L·24페트), 농심 신라면(120g·20봉), 펩시 제로(355㎖·24캔), 퍼실 유니버셜 파워젤 세탁세제(4.64L), 덴마크 소화가 잘되는 우유(190㎖·24개), 라보에이치 두피강화클리닉 스케일러(208g) 등의 상품이 알리익스프레스보다 싸게 팔린다. 오픈마켓은 통상 판매자가 가격결정권을 쥔다. 입점·판매수수료가 없는 파격적인 조건에서도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상당수의 제품 가격이 이처럼 국내 이커머스보다 비싼 것은 결국 판매자가 가격을 그만큼 내리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국내 한 이커머스 업체 관계자는 "대형 브랜드 판매사가 장기간 협력해온 국내 유수 이커머스와의 관계를 고려해 알리익스프레스 판매가를 비교적 높게 유지했을 가능성 있다"고 짚었다. 국내 이커머스 업계는 알리익스프레스가 ‘천억페스타’라는 자극적인 프로모션을 내세워 한국 상품 전문관 케이베뉴(K-venue)에서 ‘미끼 상품 전략’을 차용 했다고 본다. 중국산 저가 상품을 미끼로 짧은 기간 수많은 고객을 끌어들인 성과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2024-05-06 14:43:20
-
올해 정보보호 의무 공시 기업 662곳…10곳 증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정보보호 투자와 전담 인력 등 기업의 정보보호 현황을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하는 정보보호 공시 대상 기업 662곳을 발표했다. JYP엔터테인먼트, 한화갤러리아, 메가존클라우드, 한진정보통신 등 10곳이 새로 포함됐다. 정보보호 공시 의무는 기업의 안전한 정보통신서비스 이용과 정보보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2015년 처음 도입됐으며, 2022년부터 의무화됐다. 올해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 기업은 회선 설비 보유 기간통신사업자가 소폭 증가했고, 사업 분야(IDC·상급종합병원·IaaS), 매출액(3000억원 이상), 이용자 수(100만명 이상) 기준별 대상 기업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번에 공개된 기업 중 스스로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오는 13일까지 이의신청서와 증빙자료를 전자우편으로 내면 이의신청 결과를 안내받을 수 있다.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 기업과 자율적으로 정보보호 공시를 희망하는 기업은 다음 달 30일까지 정보보호 공시 현황을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로 제출해야 하며, 공시 의무를 위반해 정보보호 현황을 공시하지 않으면 최대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 기업이 자율적으로 정보보호 공시를 이행하였으면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수수료의 100분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할인받을 수 있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기업 정보보호 공시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정보보호 공시 가이드라인 등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반기 동안 사전점검 지원 및 정보보호 공시 실무 교육을 운영할 계획이다. 상세 정보는 과기정통부 누리집,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05-06 14:07:57
-
금감원, 글로벌IB 전수조사…불법 공매도 2112억 적발
금융감독원이 글로벌 투자은행(IB) 불법 공매도 실태를 전수조사하면서 총 9개사, 2112억원 규모를 적발했다. 중간 조사결과인만큼 적발건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금감원은 국내 공매도 거래 상위 글로벌 IB 14개사를 대상으로 2021년 5월 공매도 재개 이후 작년 말까지 불법 공매도를 전수조사한 결과, 9개사 164개 종목에서 불법 혐의를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금감원은 앞서 작년 10월 글로벌 IB인 BNP파리바·HSBC(556억원), 올해 1월 A·B사(540억원)에 대해 불법 공매도를 적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전수조사 결과에서 A·B사의 위반 규모가 1168억원으로 확대됐고, 나머지 5개사도 388억원 규모의 불법 공매도를 한 사실이 추가로 적발됐다. 실제 글로벌 IB들은 잔고 관리 시스템상 실무적인 오류, 한국 공매도 법규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무차입 공매도를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에 대여하거나 담보 제공된 처분제한 주식에 대해 반환이 확정된 후에 매도주문을 제출해야 하지만 확정 전 매도주문을 제출하거나, 차입을 확정하기 이전에 매도 주문을 제출하는 방식으로 무차입 공매도가 발생했다. 내부 부서 간 주식대차 과정에서 이미 대여된 주식을 타 부서에 매도하는 등 소유주식을 중복으로 계산하거나, 보유잔고를 확인하지 않고 주문을 제출하는 등 수기 입력 과정에서 무차입 공매도가 일어나기도 했다.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은 "전반적으로 미공개 정보나 불공정거래와 연계된 불법 공매도보다는 잔고 관리와 관련한 문제가 많았다"며 "당국이 검사·조사 자원을 집중적으로 쏟았기 때문에 이처럼 대규모 적발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최초 불법 공매도를 적발한 BNP파리바와 HSBC에 대해서는 과징금(265억원) 부과 및 검찰 고발 조치를 완료했고 나머지 IB들에 대해서도 추가 조사가 완료되는 대로 신속히 제재 절차에 착수할 방침이다. 특히 당국은 홍콩 등 해외 금융당국과 불법 공매도 조사와 관련한 협력 및 국제공조도 강화하고 있다. 금감원은 우선 홍콩 감독당국과 조사 관련 이슈를 상시적으로 논의하는 실협력 채널을 마련했고, 반기별로 화상회의를 실시해 공매도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국제증권감독기구 다자간양해각서에 따라 필요시 자료 징구 및 조사 공조 등 협조도 요청한다. 이달 중 홍콩 주요 글로벌 IB와의 현지 간담회를 열어 국내 공매도 제도 및 전산시스템 개선 추진 사항도 설명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외국 투자자들이 직접전용주문(DMA)을 활용해 불법 공매도를 한다는 의혹과 관련해 "DMA는 일반주문 방식에 비해 주문의 적정성 확인을 간소화한 주문 제출 방식으로, 금감원 조사 및 거래소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된다"며 "위반 혐의 발견 시 조사 및 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앞서 지난달 24일 기관 투자자의 자체 전산으로 무차입 공매도를 차단하고, 중앙 시스템을 활용한 모든 주문을 재검증하는 것을 골자로 한 공매도 전산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런 사정을 고려할 때 오는 7월로 예정돼 있던 공매도 재개 시점은 늦춰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024-05-06 13:54:5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