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비
서울 8˚C
흐림
부산 11˚C
흐림
대구 13˚C
비
인천 8˚C
흐림
광주 9˚C
비
대전 9˚C
흐림
울산 10˚C
흐림
강릉 9˚C
구름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각형 배터리'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삼성SDI, 정기 주총 개최…최주선 신임 이사 선임 등 주요 안건 통과
[이코노믹데일리] 삼성SDI가 19일 서울 강남구 엘리에나호텔에서 제55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재무제표 승인, 사내이사 최주선 선임, 이사 보수 한도 승인, 정관 일부 변경 등 네가지 안건을 모두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삼성 SDI는 이날 신임 사내이사로 최주선 사장을 공식 선임했다. 최 사장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RAM개발실장, DS부문 미주총괄과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해 말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됐다. 이사 보수 한도와 관련해서는 한도를 100억원으로 결정했다. 삼성SDI는 지난해 이사 보수 한도 120억원 중 55억만을 집행했으며 올해는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 여건을 감안해 지난해 대비 20억원을 감액했다. 최근 발표한 2조원 규모 유상증자와 관련해서도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성장시키기 위해 건실한 재무구조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의견을 밝혔다. 삼성SDI는 조달한 자금을 통해 3대 주요 전략으로 제시한 △기술 경쟁력 강화 △매출 및 수주 확대 △비용 혁신 등을 이뤄나간다는 계획이다. 삼성SDI 경영진은 이날 주총에서 "올해 중 차세대 프리미엄 각형 배터리 P7 개발을 완료하고 46파이 배터리를 1분기부터 출시해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전고체, 46파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 신제품 개발을 위한 투자를 통해 기술리더십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3-19 12:00:31
자동차 전시회를 방불케하는 '인터배터리 2025'…배터리 경쟁 가속화
[이코노믹데일리] 5일 개막해 이튿날을 맞이한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 현장에는 배터리 보다 더 눈에 들어오는 것이 있었다. 바로 '자동차'다. 이번 인터배터리에는 전기차(EV)를 필두로 자율주행차, 로봇까지 대규모로 전시됐다. 이번 인터배터리는 역대 최대 기업 규모로 688개 기업이 참가해 2330개의 부스를 열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올해 사전등록 인원은 약 5만명이며, 이는 지난해 4만3000명 대비 17%가량 증가한 수라고 밝혔다. 실제 전시장 내부는 방문객으로 인산인해였다. 부산에서 배터리 소재사를 운영하는 30대 박모(여)씨는 "배터리사, 소재사 등 정말 많은 기업이 참여한 것 같다"며 "여러 기업의 다양한 기술을 볼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국내 대표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부스에서 눈에 띈 점은 단연코, 자동차 혹은 자동차 모형이었다. 국내 3사는 함께 협업한 완성차 브랜드의 차량을 전시하거나 미래 모빌리티의 모형을 배치했다. 먼저, 삼성SDI의 부스에서 돋보이는 점은 '협업'이었다. 부스의 왼편에는 자율주행 기업 오토머스에이투지의 자율주행차가 전시됐으며 오른편에는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의 서비스 로봇인 달이가 사람들을 맞이하고 있었다. 중앙부에는 삼성SDI가 강조하고 있는 '각형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 하부 모형이 전시됐다. 이날 삼성SDI 부스 곳곳에 "각형이 정답이다"라는 슬로건을 통해 기술력을 강조했다. 현장을 지킨 관계자는 각형 배터리를 통해 배터리 면적을 줄이고 안전성은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부스 한켠에는 지난달 국내 출시된 '아우디 Q6 이트론 퍼포먼스'도 전시됐다. 이 모델에는 삼성 SDI의 배터리가 탑재돼 255kW의 출력이 가능하다. SK온 부스에도 각형 배터리와 차세대 무선 배터리관리시스템(BMS)가 탑재된 전기차 하부 모형이 공개됐다. SK온이 강조한 차세대 무선 BMS 기술은 셀 탭에 부착된 무선 칩이 수집한 셀 정보를 모듈의 안테나가 BMS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아울러 배터리 전압, 전류,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감지한다. 또 '셀투팩' 형식도 강조했다. 높은 팩 에너지 밀도를 가진 배터리 시스템으로 단열 기술과 가스 및 분진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적용해 높은 안전성을 가진다. LG엔솔 부스도 마찬가지로 LG엔솔의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이 전시됐다. 미국 앱테라 모터스 태양광 3륜 차량과 포르쉐의 타이칸 터보모델이 부스에 전시돼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올해는 중국 배터리 기업 BYD(비야디)도 참석했다. 비야디는 자동차를 전시하진 않았지만, 사람들의 관심은 끊이질 않았다. 이날 비야디 부스에 방문한 취업 준비생 김모(26)씨는 "업계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방문했는데 규모가 굉장히 커서 좋았다"며 "비야디의 배터리는 국내 배터리사들의 제품과 장점이 다른 것 같다. 화재 안전을 가장 강조하는 것이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2025-03-06 17:48:08
삼성SDI, '인터배터리 2025'서 로봇, 자율주행차 선봬
[이코노믹데일리] 삼성SDI가 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서 고성능 배터리가 탑재된 로봇, 자율주행차 등을 전시한다. 삼성SDI는 지난달 24일 현대자동차·기아와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 부스에는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의 서비스로봇 '달이'와 다목적 모바일 플랫폼 '모베드',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자동주행셔틀 '로이'가 전시된다. 이 상품들의 공통점은 삼성SDI의 21700(지름 21mm, 높이 70mm) 원통형 배터리가 탑재됐다는 점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달이가 삼성SDI의 배터리를 직접 소개한다. 또 방문객들은 로이 자율주행셔틀을 가상 탑승하는 등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을 체험할 수 있다. 이외에 지난달 국내에 출시된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모델도 공개된다. 해당 차량에는 삼성SDI의 프리미엄 각형 배터리 180개가 탑재됐으며, 641km의 주행이 가능하다. 아울러 차세대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와 차세대 혁신 배터리 제품·기술을 선보인다. 46파이 배터리는 기존 21700 원통형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와 출력 등 성능을 크게 개선한 것이다.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안정적 생산과 공정 기술을 축적해온 삼성SDI는 차별화 기술을 적용해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의 장수명 특성과 안전성은 물론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2025-03-04 08:08:4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