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건
-
삼양그룹, '2025년 삼양 NEW DAY CONNECT' 개최
[이코노믹데일리] 삼양그룹은 2일 판교 디스커버리센터에서 새해를 맞아 새로운 100년을 향한 출발을 기념하고, 임직원 간의 화합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2025년 삼양 NEW DAY CONNECT'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김윤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지난해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첨단소재, 반도체, 퍼스널케어 등 글로벌 스페셜티 사업의 수익성이 개선되고, 헝가리 생분해성 봉합사 공장이 안정화되는 등 고무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또한 "올해에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3대 경영 방침을 통해 새로운 100년을 향한 성공적인 첫해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3대 경영 방침은 △글로벌 스페셜티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현금 흐름 중심 경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이며, 김 회장은 이를 모든 업무에 최우선으로 고려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김 회장은 창립 100주년을 맞아 새롭게 발표한 기업 소명 '생활의 잠재력을 깨웁니다. 인류의 미래를 바꿉니다'를 강조하며, "스페셜티와 혁신 솔루션을 통해 더 건강하고 편리한 삶을 제안하는 것이 우리의 지향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넓은 시야와 끈질긴 도전정신으로 우리 안에 숨겨진 잠재력을 깨우는 데 노력해야 한다"며 "새로운 100년 역사의 초석을 놓는다는 마음가짐으로 3대 경영방침 실천과 기업 소명 내재화를 실천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이날 행사는 회장상 및 특별공로상 시상, 신임 임원 소개, Say 삼양 소통광장, CEO 메시지 순으로 진행됐으며, 해외 및 지방 사업장 등 현장 참석이 어려운 임직원을 위해 온라인 생중계 됐다.
2025-01-02 19:23:11
-
'푸른 뱀의 해' 누가 빛낼까…을사년 이끌 유통가 '뱀띠 CEO'
[이코노믹데일리] 2025년 ‘푸른 뱀의 해’ 을사년(乙巳年)을 앞두고 유통업계 뱀띠 최고경영자(CEO)들의 비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뱀의 해에 태어난 사람들은 지식과 지혜를 동시에 겸비하고 있고 두뇌 또한 명석해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뱀띠 CEO는 껍질을 벗고 다시 태어나는 뱀의 습성을 닮아 끊임없이 자신의 변화를 추구하는 리더일 가능성이 높다. 녹록지 않은 경영환경 속에서 CEO들은 빠른 상황 판단과 최적의 의사결정을 통해 직면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바꿀 것으로 기대된다. 뱀띠의 성향이 ‘리더십’과 조화를 이룬다면 어떤 효과를 낼까. 변화와 혁신이 시대적 사명으로 요구되는 요즘, 푸른 뱀의 정기를 받아 내년 유통업계를 이끌 대표 CEO들의 면면을 살펴봤다. ◆ 53년생 ‘노장 리더’부터 89년생 ‘젊은 수장’까지 현재 유통업계에서 활약 중인 뱀띠 인물로는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회장, 김윤 삼양그룹 회장,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등이 있다. 1953년생인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회장은 매출 1조원대 국가 대표 패션 기업을 일궈낸 자수성가형 CEO다. 1982년 의류 사업을 시작한 그는 1996년 크로커다일레이디를 선보이며 ‘여성 어덜트 캐주얼’이라는 여성복 블루오션을 개척했다. 이후 에스콰이아, 엘리트학생복, 까스텔바작 등 유서 깊은 패션 브랜드를 잇따라 인수해 현재 20개 브랜드로 전국 200여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최 회장은 41년간 사업 다각화, 친환경·ESG 경영을 인정받아 지난해 11월 ‘제37회 섬유의 날’ 금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같은해 8월에는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으로 선임되며 국내 섬유 패션 산업 부흥과 발전에도 힘쓰고 있다. 최 회장은 2022년 창립 40주년을 맞아 서울 역삼 사옥 시대를 마치고 모든 계열사를 인천 송도국제도시 신사옥인 ‘형지글로벌패션복합센터’에 모았다. 이곳에 K패션 전초 기지를 구축하고 까스텔바작 역수출, 엘리트 학생복 아시아 진출 확대 등 글로벌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최 회장과 동갑내기 뱀띠에 김윤 삼양그룹 회장도 있다. 김 회장은 삼양사 창업주인 수당 김연수 선생의 손자로 2004년 3월 그룹 회장으로 취임했다. 회장 취임 이후 보수적인 기업문화를 벗어나 사업분야를 화학, 식품, 의약 등으로 확대해 기업 규모를 키워왔다. 올해 100주년을 맞은 삼양그룹은 글로벌 스페셜티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경영 방침을 내놨다. 스페셜티 포트폴리오 구성은 김 회장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사업이다. 식품 사업에서는 칼로리가 없는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를 중심으로 시너지 효과를 내는 부가 제품을 개발하고, 화학 사업에서는 재활용과 바이오매스 등 친환경 소재 부문을 키우는 식이다. 의약·바이오 사업에서는 글로벌 생산기지 구축으로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1965년생 뱀띠 CEO에는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가 있다. 정 대표는 1987년 신세계백화점에 입사해 신세계인터내셔날(SI) 해외패션 본부장, 조선호텔 면세사업부 사업담당 등을 거쳐 2019년 롯데GFR 대표로 롯데쇼핑에 합류했다. 2022년부터는 롯데쇼핑 백화점사업부 대표를 맡고 있다. 정 대표는 백화점과 쇼핑몰이 융합한 ‘타임빌라스’로 승부수를 걸었다. 오는 2030년까지 7조원을 투자해 국내외 10여 곳에 미래형 쇼핑몰을 조성, 이를 통해 연매출 6조600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전략을 제시했다. 남다른 카리스마로 경영 능력을 뽐내고 있는 여성 뱀띠 CEO도 눈에 띈다. 1977년생인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는 상품기획(MD) 전문가라는 평을 받고 있다. 이 대표는 2006년 CJ올리브영 MD팀 경력으로 입사해 2009년 MD팀장, 2017년 MD사업본부장 2021년 영업본부장을 거쳐 2023년 정기임원인사에서 대표이사로 승진했다. CJ그룹 내에서는 최연소 대표이자 최초 여성 대표다. 이 대표가 지휘봉을 잡은 올리브영은 그룹 내 핵심 계열사로 자리잡을 정도로 성장 중이다. 올리브영은 2022년 매출 2조7775억원에서 이 대표가 본격적으로 이끌기 시작한 지난해 3조8682억원으로 뛰어올랐으며, 올해 연매출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활약이 기대되는 1989년생 젊은 뱀띠 수장도 있다.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삼(3)남으로, 현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전략부문장과 한화로보틱스 전략기획담당을 겸직하고 있다. 김 부사장은 식음료(F&B) 사업을 중심으로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수제버거 ‘파이브가이즈’ 국내 론칭을 시작으로 비노갤러리아 설립을 통해 주류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올해 6월에는 빈스앤베리즈를 운영하는 한화비앤비, 9월에는 비알콜 음료 생산 및 판매 전문기업인 퓨어플러스 지분을 취득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최근에는 국내 급식 업계 2위인 아워홈 인수를 타진하며 미래 먹거리인 ‘푸드테크’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2024-12-31 0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