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7건
-
-
-
-
-
-
-
-
-
-
-
-
-
-
SK매직, 공간 혁신 '초소형 플러스 직수 정수기' 출시
[이코노믹데일리] SK매직이 성능과 디자인을 대폭 강화한 '초소형 플러스 직수 정수기(모델명: WPU-JAC115S)'를 출시하고 기념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 제품은 기존 직수 정수기 대비 약 60% 작아진 컴팩트한 크기로 주방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신제품은 폭 164mm, 깊이 395mm, 높이 345mm의 콤팩트한 크기로, 성인 손 한 뼘 크기에 불과하다. 색상은 내추럴 화이트와 뉴트럴 실버 두 가지로 구성됐으며, 직관적인 고급형 디스플레이와 용기 높이에 따라 조절되는 '무빙코크', 야간 사용을 위한 '출수 유도등' 등 사용자 편의 기능을 높였다. 특히 물이 흐르는 유로는 오염, 부식, 세균에 강한 '올(ALL)-스테인리스' 소재로 제작돼 약 100°C 고온수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스테인리스 진공 시스템'을 적용해 제품 크기를 줄이고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50%까지 절감했으며, 냉각 시스템 내부까지 스테인리스를 적용해 위생성을 강화했다. 친환경 요소도 적극 반영했다. 기존 제품 대비 플라스틱 사용량을 약 18%, 스티로폼(EPS) 사용을 최대 96%까지 줄여 환경 오염 부담을 최소화했다. 위생 관리 기능으로는 '직수관 전해수 안심케어(5일마다)', '코크 UV케어(2시간마다)', '유로 순환케어(2시간마다)' 등 '스스로 트리플 케어' 시스템을 통해 정수기 내부를 자동 관리하며 추가 살균도 가능하다. 출수부의 코크와 클린엣지 등 외부에 노출돼 오염되기 쉬운 부분은 분리·세척이 가능하도록 설계해 항상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출수 용량은 120ml부터 1000ml 연속 출수까지 4단계로 이용 가능하며, 10ml 단위로 섬세한 용량 조절도 가능하다. 유아수(약 45~55°C), 차(약 70°C), 온수(약 85°C), 고온수(약 100°C)까지 4단계 맞춤 온도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필터는 프리 블록카본과 복합 나노PAC 필터를 적용한 총 6단계 필터링으로 유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물맛과 미네랄은 유지한다. SK매직은 전문가 방문 클리닝 서비스인 '안심OK서비스'를 고객 선택에 따라 4개월(방문관리형), 12개월(셀프관리형) 주기로 제공한다.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등록비 면제 혜택과 스타벅스 텀블러, 트레이 세트 등 사은품을 선착순으로 제공하는 프로모션도 진행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온라인몰인 'SK매직몰'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6-02 10:50:38
-
IBS, 금성의 비밀 풀 단서 찾는다…세계 첫 초소형위성 금성 장기 관측 돌입
[이코노믹데일리] 우리나라가 지구 저궤도의 초소형위성을 활용해 금성을 장기간 관측하는 세계 최초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금성 장기 관측 프로젝트(CLOVE·클로브)를 위한 첫 번째 초소형위성 제작 업체로 나노애비오닉스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IBS 기후·지구과학 연구단 행성대기 그룹은 3년 전부터 이 프로젝트를 수행해왔으며 이르면 내년 첫 위성인 ‘클로브샛-1(CLOVESat-1)’ 발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금성 탐사에 나설 계획이다. 나노애비오닉스는 초소형위성 플랫폼 설계·제작, IBS가 국내 협력사와 제작하는 과학 탑재체 통합, 환경 시험, 발사 서비스 조율, 발사 및 초기 궤도 운용을 담당한다. 클로브 프로젝트는 태양 활동 주기(약 11년)를 포괄하는 장기 데이터 확보를 목표로 3년마다 초소형위성을 지구 저궤도로 보내 총 15년 동안 금성 전체를 관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금성까지 탐사선을 직접 보내는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클로브샛-1을 포함한 위성들은 자외선부터 근적외선 영역까지의 네 개 파장대역을 활용하며 편광 필터를 포함한 총 8개 채널의 관측기기를 탑재한다. 이를 통해 구름 상단 고도의 변동성, 구름의 수직 구조, 이산화황 가스의 분포, 미확인 흡수체, 화산 활동, 태양과 대기의 상호작용, 행성 기후 변화 등 금성 대기의 다양한 변화를 조사할 예정이다. 연구진은 수집된 데이터가 금성 기후 진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과거 지구와 유사한 환경이었던 금성이 현재 생명체가 살 수 없게 된 원인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연주 IBS 행성대기 그룹 책임자(CI)는 “나노애비오닉스의 초소형위성 플랫폼을 통해 첫 위성인 CLOVESat-1 운용하면 더 발전적인 후속 위성들을 기획할 수 있다”며 “CLOVESat 시리즈로 기존에는 확보할 수 없었던 지속적인 우주 기반 자료수집이 가능해져 향후 금성 대기의 변화, 기후, 그리고 지구와의 비교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의 금성 탐사 임무와도 운용 기간이 겹쳐 상호보완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금성 연구에 대한 시너지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금성 장기 관측 프로젝트는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행성 탐사 역량을 강화하고 금성 연구 분야에서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한편 향후 저비용 고효율의 초소형위성 기반 탐사 모델을 제시하는 선도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5-06-02 10:4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