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5대 손보사 육아휴직 사용률 '뚝'…남성은 대부분 10% 미만
육아휴직은 더 이상 '엄마만의 권리'가 아닙니다. 금융권 전반에서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업종별·성별 격차는 뚜렷합니다. 조직 문화와 인사 제도가 실질적 양육 참여를 얼마나 뒷받침하는지를 가늠해 볼 시점입니다. 은행·증권·보험·카드업계를 중심으로 성별 육아휴직 현황과 그 이면을 들여다보고, 금융권의 진정한 변화는 어디까지 왔는지를 짚어봅니다. [편집자 주]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국내 주요 손해보험사들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기업마다 엇갈린 흐름을 보인 가운데, 현대해상을 제외한 대부분 보험사의 전체 사용률은 50% 미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10% 이하에 머무는 등 여전히 성별 간 격차가 뚜렷했다. 22일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해상의 육아휴직 전체 사용률은 51.5%로 5대 손해보험사 중 가장 높았다. 2022년 41.2%에서 2023년 36.8%로 떨어졌던 사용률은 지난해 14.7%p 반등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육아휴직 사용자 수도 꾸준히 늘어 2022년 101명에서 지난해 137명으로 증가했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대부분 기업이 운영하는 제도를 비슷하게 적용하고 있지만, 우리 회사는 특히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데 부담이 없는 조직 문화가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가장 낮은 사용률을 보인 보험사는 DB손해보험이었다. 전체 사용률은 33.6%로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사용자 수는 오히려 5대 손보사 중 가장 많았다. 이는 전체 직원 수 대비 비율로 계산되는 사용률과 총 사용자 수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육아휴직 사용률이 뚜렷하게 하락한 보험사도 있다. 메리츠화재는 2022년 51%였던 사용률이 매년 감소해 지난해에는 39%까지 떨어졌고, KB손해보험 역시 52.5%에서 40.7%로 하락했다. 두 회사 모두 사용자 수 역시 함께 줄었다. 보험업계는 평균 사용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5대 손보사 모두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 전체 평균(2023년 기준 32.9%)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일부 보험사의 하락세는 이전에 임단협 등을 통해 일시적으로 육아휴직 사용이 증가했던 효과가 정상화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성별에 따른 사용률 격차도 여전하다. 지난해 여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삼성화재가 88.7%, 현대해상 85.7%, DB손보 70.6% 등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남성은 메리츠화재 11%, 삼성화재 10.1% 외에는 대부분 10% 미만이었다. 특히 KB손보는 2023년 28.6%로 가장 높았던 남성 사용률이 지난해 0%로 급감해 대조를 이뤘다. 이에 대해 KB손보 측은 "집계 기준상 만 1세 미만 자녀가 있는 남성만 포함돼 지난해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직원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삼성화재는 전년 대비 남성 사용률이 7.6%p 오르며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그 외 메리츠화재(6%p), 현대해상(1.1%p), DB손보(0.7%p) 순으로 증가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10% 미만에 머무는 수준이다. 성별 간 사용률 격차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육아휴직은 일반적으로 여성이 먼저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외벌이 가정은 남성이 육아휴직을 덜 쓰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확대된다면 남성 사용률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기업 문화와 사회 분위기 역시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2025-04-22 17:26:39
-
'저출산 대응'에 나선 건설사들…'아빠의 육아휴직' 확산
[이코노믹데일리] 저출산과 인구감소가 심화하면서 경제 전반에 구조적 위기감이 번지고 있는 가운데, 전통적으로 보수성과 남성 중심 조직문화가 강한 건설업계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남성 임직원의 육아휴직 사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산업 내부의 인식 변화가 조용히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들의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률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고, 이 중에서도 남성 직원의 참여가 두드러졌다는 평가다. GS건설의 경우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이 21.2%에 달해 타사에 비해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DL이앤씨는 전년 7.3%에서 11.0%로 3.7%포인트 증가했고, HDC현대산업개발 역시 5.0%에서 14.0%로 9.0%포인트 상승했다. 그간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제로’였던 포스코이앤씨도 지난해 3.7%를 기록하며 첫 집계를 남겼다. 현대건설은 3.1%에서 4.2%로, 대우건설은 5.3%에서 6.4%로 각각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수의 건설사에서 남성 육아휴직 사용이 증가한 흐름은 산업 내부에서의 문화 변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의 증가에 따라 전체 육아휴직 비율도 함께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GS건설은 전체 사용률이 31.3%를 기록하며 업계 최고 수준을 보였고, DL이앤씨는 20.5%로 그 뒤를 이었다. 대우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도 각각 18.6%, 18.0%를 기록했다. 현대건설과 포스코이앤씨 역시 각각 6.7%, 7.6%로 전년에 비해 증가했다. 이와 같은 수치들은 업계가 일과 가정의 양립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점차 부응해 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아직까지 여성 임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평균 60%를 넘어서고 있어, 양성 간 격차는 여전히 뚜렷하다. 하지만 남성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건설업계에서는 이례적인 변화로 받아들여진다. 건설업은 전통적으로 강한 위계질서와 장시간 노동, 남성 중심의 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아온 산업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육아휴직이라는 제도가 실질적으로 작동하고, 특히 남성 임직원의 참여가 확산되는 것은 조직문화 전환의 단초로 평가될 수 있다. 이전까지는 육아휴직이 여성 직원만의 권리이자 의무처럼 여겨지던 풍토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건설업계의 변화는 더욱 주목된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 기조와 맞물려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특히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일과 삶의 균형’이 강조되면서, 기업 문화 전반에 변화 압력이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동시에 출산율 감소에 따른 미래 노동력 부족에 대한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도 풀이된다. 장기적으로는 우수 인재의 유입과 유지, 조직 충성도 제고라는 인사 전략과도 맞닿아 있는 움직임이라는 평가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업계 육아휴직 사용 증가는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 전체의 노력에 힘을 보태는 움직임”이라며 “직원들이 안심하고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문화가 뿌리내린다면 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국가 전체의 미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5-04-10 09: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