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가 최대치로 늘어난 가운데 남성 육아휴직 사용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2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 수는 25만6771명이다. 이는 전년도 23만9529명보다 1만7242명(7.2%)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육아휴직자는 13만2535명으로, 2023년 12만6008명 대비 6527명(5.2%) 늘었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는 4만1829명으로, 전체의 31.6%를 차지해 제도 시행 이래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2023년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5336명으로, 전체의 28%였다.
2015년 남성 육아휴직자 수가 4872명(5.6%)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9년 새 9배 가까이 증가했다. 출생아 수 감소 추세로 2023년 다소 줄었던 육아휴직 사용자가 일·가정 양립 제도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다시 증가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증가세는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올해 1월 1일 이후 30일 영업일 기준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9.2% 늘었다. 전체 육아휴직 사용자 수 증가율 42.6%를 웃돈다.
자녀 연령별로는 부모의 돌봄이 가장 필요한 0세(생후 12개월 이내) 육아휴직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80.0%(2.1%p↑), 남성은 46.5%(7.5%p↑)가 자녀 0세 때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지난해 중소기업 소속 육아휴직자는 7만5311명(56.8%)으로, 2023년 대비 1.2%p 증가했다. 100인 미만 소속 근로자도 6만128명(45.4%)으로 전년 대비 0.9%p 늘었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9.4개월, 남성은 7.6개월이다.